$\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 계류형 수경시설이 대학생의 생리·심리에 미치는 영향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an Interior Falling Waterscape Facility on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5, 2016년, pp.38 - 46  

박순남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환경기술협동과정) ,  조현주 (강릉원주대학교 동해안생명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조경공간에서의 수경시설의 도입이 이용자의 심리 및 생리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실험을 위해 실내에 식물로 구성된 조경공간과 수경시설이 추가된 조경공간을 조성하였다. 피험자에게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각각의 공간에서 휴식을 취하게 한 뒤 생리 및 심리적 변화를 비교한 결과, 수경시설이 설치된 조경공간에서 휴식을 취했을 때가 수축기 확장기 혈압이 유의하게 낮아졌다. SD법에 의한 의미평가에서도 수경시설이 설치된 공간이 '활기'와 '동적임', '생명력'과 '유쾌함' 등과 같은 긍정적인 의미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OMS(Profile of Mood States)에서는 수경요소가 심리적으로 피로 감소 및 활력 증강에 기여하였다. 이를 통해 실내조경에서 수경시설의 도입은 혈압 감소라는 생리적 변화에 기여하며, 심리 및 기분변화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임으로써 건강에 편익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examine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a waterscape facility in an interior landscape space. Data were collected as participants under stress relaxed in either an interior space with greenery(Type G) or an interior space with a waters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실내의 한정된 조경공간에 도입된 수경시설이 시각적․청각적으로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데 효과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이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생리 및 심리 지표를 통하여 검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내조경에서 활용되는 수경시설이 생리 및 심리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의학적 지표를 통해 검토함으로써 수경시설 도입이 주는 건강 편익에 대한 효과를 정량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식물의 스트레스 완화효과에 대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 결과, 건축 내부공간에 식물을 도입함으로써 자연과의 접촉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실내조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으며, 실내 공간에서의 식물과의 접촉이 스트레스 경감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짐으로써 실내조경의 도입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Lee and Bang, 1996). 실내식물의 스트레스 완화효과에 대한 연구로서, Lee and Lee(2001)는 피부저항기를 이용하여 실내조경공간의 시각적 노출은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정서반응을 유도하여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Chang and Chen(2005)은 EMG(electromyography)와 BVP(blood volume pulse) 등의 생리적 지표를 통해 직장인들이 창밖을 바라보거나, 실내식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근무하면 긴장과 불안감이 감소한다고 보고했다.
도시민들이 운동 및 식습관 등 질병예방과 건강관리에 대한 노력과 관심이 증가하는 배경은? 현대 도시민들이 만병의 근원인 스트레스로 둘러싼 도시환경에 노출되면서 운동 및 식습관 등 질병예방과 건강관리에 대한 노력과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Cohen and Williamson, 1991; Parsons et al., 1998; Lee and Lee, 2001; Karmanov and Hamel, 2008).
도시민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대표적 주거공간인 아파트나 업무공간의 대부분은 도시의 고층화로 인해 지상의 자연환경과 차단되어 나타나는 결과는? , 2006). 그 결과, 건축 내부공간에 식물을 도입함으로써 자연과의 접촉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실내조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으며, 실내 공간에서의 식물과의 접촉이 스트레스 경감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짐으로써 실내조경의 도입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Lee and Bang, 1996). 실내식물의 스트레스 완화효과에 대한 연구로서, Lee and Lee(2001)는 피부저항기를 이용하여 실내조경공간의 시각적 노출은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정서반응을 유도하여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Chang and Chen(2005)은 EMG(electromyography)와 BVP(blood volume pulse) 등의 생리적 지표를 통해 직장인들이 창밖을 바라보거나, 실내식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근무하면 긴장과 불안감이 감소한다고 보고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rawley, E. C.(2004) Gardens of memories. Alzheimer's Care Quarterly 5: 154-164. 

  2. Chang, C. and P. Chen(2005) Human response to window views and indoor plants in the workplace. HortScience 40(5): 1354-1359. 

  3. Cohen, S. and G. M. Williamson(1991) Stress and infectious disease in humans. Psychological Bulletin 109(1): 5-24. 

  4. Cooper Marcus, C. and C. Francis(1990) People Places Design Guidelines for Urban Open Space. Van Nostrand Reinbold Company Inc.: New York. 

  5. Cooper Marcus, C. and M. Barnes(1999) Healing Gardens: Therapeutic Benefits and Design Recommendations. JohnWiley &Sons, New York, NY. 

  6. Groenewegen, P. P., A. E. van den Berg, S. de Vries and R. A. Verheij(2006). Vitamin G: Effects of green space on health, wellbeing, and social safety. BioMed Central Public Health 6(149): 1-9. 

  7. Hartig, T., M. Mang and G. W. Evans(1991) Restorative effects of natural environmental experience. Environment and Behavior 23: 3-26. 

  8. Hirosue, S., H. J. Jo, H. Tonogi and E. Fujii(2010) Experimental study on physiological an psychological responses by vision an touch of turf grass,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Asia 5: 231-236. 

  9. Iwasaki, Y., H. Matsumoto, M. Ishii and M. Watanabe(2007) Study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 of lawn ground and lavender fileld in city park.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of Revegetation Technology 33(1): 116-121. 

  10. Iwasaki, Y., S. Matsumoto, H. Kwon and M. Watanabe(2006) Experimental study on effect of stress easing which existence of indoor plant in the indoor space. Journal of Japanese Society of Revegetation Technology 32(1): 247-249. 

  11. Jeong, N. R. and D. S. Ahn(2007) An analysis on the visual preference of waterscape facilities for healing gardens in psychiatric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3): 50-61. 

  12. Ji, G. B., K. N. Kim and G. S. Han(2012)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viewing and walking in forest and urban a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1(5): 605-611. 

  13. Jo, H. J., J. Y. Lee and E. Fujii(2007)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oriental herbs scents based on cerebral blood flow and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Papers on Japanese Environmental Information Science 21: 2017-212. 

  14. Jo, H. J., E. Fujii and T. D. Cho(2010) An experimental study of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pine sc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4): 1-10. 

  15. Jo, H. J., S. Rodiek., E. Fujii., Y. Miyazaki., B. J. Park and S. W. Ann(2013)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 to floral scent. HortScience 48(1): 82-88. 

  16. Karmanov, D. and R. Hamel(2008) Assessing the restorative potential of contemporary urban environment(s): Beyond the nature versus dichotom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6(2): 115-125. 

  17. Kim, E. and E. Fujii(1995) A fundamental study of physio-psychological effects of the color of plant. Journal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58(5): 141-144. 

  18. Kim, E. J., S. I. Lee, D. U. Jeong, M. S. Shin and I. Y. Yoon(2003) Standardization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edition of profile of mood states(K-POM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10(1): 39-51. 

  19. Kim, J. H., S. Y. Lee and Y. H. Yoon(2013a) The effects of urban stream landscape on psychological relaxation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ed on Chenggyecheon. Seoul, Korea-. Seoul City Research 14(1): 169-182. 

  20. Kim, J. H., S. H. Park, W. T. Kim and Y. H. Yoon(2013b) Anion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by fountain type in urba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12): 1599-1610. 

  21. Lafortezza, R., G. Carrus, G. Sanesi and C. Davies(2009) Benefits and well-being perceived by people visiting green spaces in periods of heat stres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8: 97-108. 

  22. Lee, J. H.(1998) The visual effect of plants used the measurement of GSR for the reduction of str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1): 96-111. 

  23. Lee, J. H. and C. R. Lee(2001) The effect of recovery frompsychological stress by interior landscape spac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6): 106-113. 

  24. Lee, J. Y., K. T. Park, M. S. Lee, B. J. Park, J. H. Ku, J. W. Lee, K. O. Oh, K. W. An and Y. Miyazaki(2011) Evidence-based field research on health benefits of urban green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5): 111-118. 

  25. Lee, N. H. and K. J. Bang(1996) The influence of the ratio of greenery on the visual preference in interior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5): 111-118. 

  26. Minter, S.(1995) The Healing Garden: A Natural Heaven for Body, Sense and Spirit. Tuttle Company Inc.: Miami. 

  27. Mizuho-Matsumoto, Y., Y. Tanaka, T. Hayashi, E. Okamoto, H. Nishimura and H. Inada(2010) A analysis of EEG and Plethysmogram on working environment under mental workload. Journal of Japanese Society for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48(1): 11-24. 

  28. Nakamura, R. and E. Fujii(1992)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encephalogram inspecting a hedge and a concrete block fence. Journal of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55(5): 139-144. 

  29. Osgood, C. E., J. S. George and P. H. Tannenbaum(1957) TheMeasurement of Meaning.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0. Park, B. J. and Y. Miyazaki(2008) Physiological effects of viewing forest landscape: Results of field tests in Atsugi city, Japa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7(6): 634-640. 

  31. Park, B. J.(2010) Experimental Approach of Therapeutic Effect of Forest Recreation Activities -Focused on Viewing and Walking in Forest Environments-.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91pp. 

  32. Park, O. K., J. A. Lee and C. H. Park(2006) Trends in the use of indoor plants and indoor gardens of apartment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9(2): 25-30. 

  33. Parsons, R.(1991) The potential influences of environmental perception on human health.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1: 1-23. 

  34. Parsons, R., L. G. Tassinary, R. S. Ulrich, M. R. HeblamandM. Grossmanalexander( 1998) The view fromthe road: implications for stress recovery and immuniz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8: 113-139. 

  35. Rodiek, S.(2002) Influence of an outdoor garden on mood and stress in older persons. Journal of Therapeutic Horticulture 13: 13-21. 

  36. Song, D. S. and G. S. Han(2014) The effect of landscape lighting in pedestrian street on perception of nightsca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5): 41-51. 

  37. Ulrich, R. S.(1984)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 Science 224: 420-421. 

  38. Ulrich, R. S.(1986) Human responses to vegetation and landscap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3: 29-44. 

  39. Yi, Y. K.(2003) Beneficial effect of forest landscape on relieving stress based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measur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2): 70-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