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색채기획을 위한 패션 라이프스타일 유형 분류와 선호색 연구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fashion lifestyle types and preferred colors for color planning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4 no.5, 2016년, pp.531 - 543  

신남진 (서울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이금희 (서울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fashion lifestyle types for color planning and to propose color planning of spring & summer by fashion lifestyle by analyzing preferred colors by fashion lifestyle typ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women between the ages of 30 and 59 using a separately prepa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이프스타일이란 무엇인가요? Lazer(1963)는 라이프스타일을 전체 또는 사회의 한 부분의 구성원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타입과 구별 되는 특징적인 생활양식이라고 정의하였으며, 구입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총량과 특징 그리고 소비되는 방법은 사회 또는 특정부문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다고 하였다. Joung and Kim(2002)은 라이프스타일의 개념을 소비자학 입장에서 정의하였는데, 개인의 문화, 사회계층, 준거집단의 영향을 받아 학습된 개인의 가치체계나 개성이 그 사람의 삶과 소비의 유형으로 나타나는 양식이라고 하였다.
패션 색채기획에서 색채는 크게 어떻게 구성되나요? 패션 색채기획에서 색채는 크게 기본색과 유행색으로 구성된다. 기본색은 시대가 변해도 항상 일정량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는 색채를 말한다.
색채기획이 상품의 경쟁력을 높이고 마케팅의 성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업무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패션산업에서 색채는 상품의 조형적 감성 요인의 하나이며 감성을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상품의 판매를 좌우하는 직접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패션상품에 적합한 색채를 반영할 수 있도록 색채의 다각적인 정보를 분석하여 색채의 방향을 예측하고 제시하는 색채기획은 상품의 경쟁력을 높이고 마케팅의 성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업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 H. K., Kim, J. S., & Lee, J. H. (2010). A study of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mart clothing based on the consumer's lifestyle.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3(1), 11-20. 

  2. Cho, P. G., & Jung, H. M. (1998). 패션 디자인과 색채 [Fashion design and color]. Seoul: Junwon munhwasa. 

  3. Choo, S. H. (2003). A study of the basic colors in men's fashion: '00FW-02SS' seasons in domestic men's fashion market.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17(1), 69-78. 

  4. Hong, S.-T., & Park, E.-A. (2005). Comparison of femal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by lifestyle types: In the case of cosmetics. Korea Marketing Review, 20(1), 55-89. 

  5. I.R.I. (n.d.). Color system: I.R.I. hue & tone. Retrieved March 13, 2015, from http://www.iricolor.com 

  6. Je, N. N. (2014). A study on properties of color preference according to variable fac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7. Je, N.-N., Yoo, Y.-S., & Choi, G.-S. (2012). Analysis of the study pattern on preferred colors: Focusing on papers published 2000-2011.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6(2), 27-40. 

  8. Joung, S. H., & Kim, H. J. (2002). A review of studies on lifestyle.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5(2), 107-128. 

  9. Kim, J. E. (2004). A study on th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foreign luxury brands and domestic fashion bran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 M. Y., Kim, B. S., & Han, H. J. (2011). Color story for color planning. Seoul: Gyohakyeongusa. 

  11. Kim, Y. J. (2001). A study on the foreign product preference in the cosmetics indust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2. Ko, E., Kim, E., Taylor, C. R., Kim, K. H., & Kang, I. J. (2007). Cross-national market segmentation in the fashion industry: A study of European, Korean, and US consumers.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24(5), 629-651. doi:10.1108/02651330710828022 

  13. Ko, E.-J., & Lee, J.-H. (2003). Case study of color marketing for fashion industry. Journal of Fashion Business, 7(1), 55-71. 

  14. Lazer, W. (1963). Life style concepts and marketing. In S. A. Greyesr (Ed.), Toward scientific marketing (pp.130-139). Chicago, IL: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15. Lee, H. J., & Jung, S. H. (2010). Fashion design & collection. Seoul: Gyohakyeongusa. 

  16. Lee, K. H. (2012). Fashion design 감성 [Fashion design and sensibility]. Seoul: Kyungchoonsa. 

  17. Lee, S. H., & Park, C. Y. (2008). 의류패션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패션이론의 구성개념과 스키마의 역할 [Clothing fashion consumer lifestyle]. Proceedings of the Joint Conference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08, 1-10. 

  18. Lee, S. J. (2011).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lor preference according to office worker's type of character and life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9. Moon, Y.-S., & Han, M. J. (2008). A fashion lifestyle approach to understanding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luxury brands consumer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9(3), 41-67. 

  20. Shin, N. J. (2015). A study on preferred color of promotion products of women's wear for color plan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1. Shin, N.-J., & Lee, K.-H. (2014). A study on preferred color of consumer for color planning: With focus on 30s-50s women's wear.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6), 997-1010. doi:10.7741/rjcc.2014.22.6.997 

  22. Shu, J. H. (2011). Characteristic of new silver generation's color preference.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31, 97-106. 

  23. Skorinko, J. L., Kemmer, S., Hebl, M. R., & Lane, D. M. (2006). A rose by any other name...: Colornaming influences on decision making. Psychology & Marketing, 23(12), 975-993. doi:10.1002/mar.201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