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시쇠퇴지역의 빈집 분포현황과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cant Hous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Urban Declining Area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2 no.1, 2016년, pp.105 - 122  

김진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남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대도시권 내 이주자의 주거 입지 선택의 결정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2010 인구주택총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이산선택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범위로 지난 5년 동안의 지역 내 이동 가구를 네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1) 서울에서 경기, 인천지역으로 이주한 가구, 2) 경기, 인천지역에서 서울로 이주한 가구, 3) 서울 내 이주가구, 그리고 4) 경기, 인천지역 내 이주가구.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로 다른 집단 사이에서 주거 입지 선택 결정 요인의 중요한 차이점들이 확인되었다. 둘째, 경기, 인천지역에서 서울로 이주한 가구는 적은 방 수를 가진 작은 주택을 선택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이는 그들의 주거 선택이 자발적인 선택보다는 서울에서의 높은 주거비용 압박에 의해 비롯된 것을 의미한다. 셋째, 모든 집단은 지하철을 포함한 대중교통에 대한 좋은 접근환경에 높은 선호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근린주구의 어메니티 요소가 주거 입지 선택에 역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people are starting to pay attention to the vacant house. Vacant house across the country are expected to be a Millio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as created a new legal provisions regarding maintenance to Vacant on the Construction Law. But Vacant house information 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의 빈집 분포현황, 발생 원인 및 그에 대한 대응 정책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우리보다 먼저 빈집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관리시스템을 구축한 해외사례를 토대로 향후 국내의 빈집 관리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 이 연구는 국내 빈집의 분포 현황과 관리 방안 현황을 파악하고 해외의 빈집 관리 시스템을 조사하여 국내 빈집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우선 이론 고찰을 통해 빈집이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 그리고 2010년 도시재생사업단에서 발간한 도시쇠퇴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빈집이 발생한 원인을 유형별로 분류한다. 그리고 국내에서 빈집 관리 방안이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 국내 빈집 관리의 문제점을 조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정책의 패러다임이 도시 확장 정책에서 무엇으로 변하고 있는가? 이러한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은 기반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 외곽의 거주자들의 도심으로 출퇴근시 발생하는 시간 비용 등 사회적 비용의 비효율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곽지역의 신시가지 개발 및 물리적 도시정비 중심에서 도시의 도심부와 같은 기성시가지를 중심으로 경제적·사회적·물리적·문화적을 종합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도시재생으로 도시정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도시의 인구구조가 변화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구의 유출 및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도시의 인구구조가 변화하고, 경제가 저성장 기조로 들어서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도시 외곽을 개발하여 도시가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도시 확장 정책은 한계에 도달했다고 할 수 있다.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이 초래하는 부작용은? 이에 따라 기존의 도시 외곽을 개발하여 도시가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도시 확장 정책은 한계에 도달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은 기반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 외곽의 거주자들의 도심으로 출퇴근시 발생하는 시간 비용 등 사회적 비용의 비효율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곽지역의 신시가지 개발 및 물리적 도시정비 중심에서 도시의 도심부와 같은 기성시가지를 중심으로 경제적·사회적·물리적·문화적을 종합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도시재생으로 도시정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미나, 김진범, 2013, 농촌지역 빈집정비 실태와 정책 방향,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2. 경기도 의회, 2013, 경기도 국공유지 현황분석 및 활용 방안. 

  3. 김광중 외, 2010, 도시쇠퇴 실태 자료구축 및 종합정보 시스템 구축, 도시재생사업단. 

  4. 김상훈 외, 2015, 도시재생을 위한 유휴공간 유형별 복합적 토지이용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 국토 - 도시계획학회 2015 추계학술대회. 

  5. 김찬호, 2015, 일본의 빈집 문제와 공가대책특별조치법, Economic Review, 전문가 칼럼(2015.09.10.). 

  6. 남지현, 2015, 빈집도 지역자산이다, 경기연구원. 

  7. 노승철, 2015, 은퇴 후 귀촌 희망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지역 간 차이분석 , 지역연구, 31(2), pp.29-45. 

  8. 도시재생사업단, 2014a, 한국 도시쇠퇴의 실태 및 유형화. 

  9. 박미영, 2011, 광주광역시 빈집 실태와 지역공동체 차원의 활용방안, 광주발전연구원. 

  10. 서윤정 외, 2012, 농촌지역의 유휴시설 활용 활성화 방안, 농어촌관광연구, 19(2), pp.65-88. 

  11. 안현진, 박현영, 2013, 재생사업지구 내 빈집 및 공터 활용을 통한 유연적인 도시재생 방안 연구, 국토계획, 48(6), pp.347-366. 

  12. 이재우, 2013, 영국의 빈집 정비, 활용체계와 수단 고찰, 국토계획, 48(4), pp.95-115. 

  13. 이창우.지남석, 2013,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한 빈집 활용방안 연구, 농촌계획, 19(3), pp.169-182. 

  14. 이화룡 외, 2013, 도시 미활용 공유재산의 관리 및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13(3), pp.5-14. 

  15. 임유경, 임현성, 2012, 근린 재생을 위한 도시 유휴공간 활용 정책방안 연구, AURI. 

  16. 조충현, 김원태, 2013, 빈집 등 유휴공간관리 및 활용 정책 사례검토, Incheon Urban Newsis. 

  17. 한국입법정책학회, 2014, 공익적 목적을 위한 유휴토지 활용방안연구. 

  18. 한승욱, 2015, 늘어가는 빈집, 지역재생의 새로운 자원으로 활용, 정책포커스. 

  19. AAccordino, J. and Johnson, G.T., 2000, Addressing The Vacant and Abandoned property Problem, Journal of Urban Affairs, 22(3), pp.301-315. 

  20. Tappendorf, J.A. and Denzin, B.O., 2011, Turning Vacant Properties into Community Assets Through Land Banking, The Urban Lawyer, 43(3), pp.801-812. 

  21. Schilling, J. and Logan, J., 2008, Greening the Rust Belt: A Green Infrastructure Model for Right Sizing America's Shrinking Citie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4(4), pp.451-4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