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실내공간정보를 활용한 비콘기반 화재위험감지와 재실자 피난지원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from Beacon 원문보기

Journal of KIBIM = 한국BIM학회논문집, v.6 no.3, 2016년, pp.15 - 23  

이선민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태경 ((주)한화건설) ,  홍성문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주형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재준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adopting beacons to implement the fire evacuation guidance system in order to reduce the evacuation time for a fire in complex buildings. A beacon-based evacuation system can quickly detect a fire's origin, optimal path of evacuation invol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를 시나리오 기반 비콘의 성능구현 평가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비콘이 전송한 신호 또는 먼저 전소된 비콘은 화재 발생지역 판단을 도우며, 양방향에 설치된 비콘 중, 먼저 연기를 감지한 비콘의 신호로 인해 연기하강이 덜 이루어진 경로로 피난이 가능하다.
  • 본 연구는 피난자의 안전과 직결된 연기의 거동에 대해 분석하고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신호와 연동해 GPS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비콘을 활용한 화재위험 감지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토대로 재실자의 안전한 피난을 지원하는 피난유도시스템을 제시하고, 3가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시스템 구현방법을 모사하여 화재 발생시 비콘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피난자의 안전과 직결된 연기의 거동에 대해 분석하고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신호와 연동해 GPS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비콘을 활용한 화재위험 감지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토대로 재실자의 안전한 피난을 지원하는 피난유도시스템을 제시하고, 3가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시스템 구현방법을 모사하여 화재 발생시 비콘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IT를 접목한 유비쿼터스 방재관리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로 고층화, 대형화, 복잡화 되는 건물에서 체계적인 재난대응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 , 2014; Lee, 2011).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무선통신기술인 블루투스 기반 비콘을 활용하여 실시간 실내공간정보를 수집하고, 화재발생시 송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상황을 감지하여 재실자들에게 스마트폰을 통해 피난경로를 안내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분이 된다. 그러므로 Bw3에서 15.2분 후에 감지가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였다(Table 1).
  • 모든 시나리오는 Figure 7과 같이 Hroom=2.4m, Hlim=1.5m의 조건을 갖는 건물에서 화재가 일어난다고 가정한다. 또한 벽에 설치하는 비콘은 천장에서 0.
  • 시나리오 1은 Figure 7의 A실에 재실자가 위치하였을 때 발생한 화재를 가정으로 하며 다음의 조건을 갖는다.
  • 시나리오 2는 피난자가 B실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각각 배치된 비콘의 감지여부와 감지를 한 후 마지막 신호전송 시간은 Table 3과 같다.
  • 일반적으로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량은 시간과 비례하나 다양한 변수가 증가되는 속도 및 양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기의 발생량 (Vs)을 0.01보다 큰 일정한 값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난 개시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피난 개시 과정은 화재 징후 발견, 인지 그리고 피난 개시로 나뉠 수 있다. 화재 징후는 화재의 연소 과정에서 알 수 있으며, 연기 냄새 같은 후각적 징후와 옅은 연기부터 짙은 연기까지 눈에 보이는 연기와 섬광 및 화염과 같은 시각적 징후가 있다.
비콘이란 무엇인가? 비콘은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통신규약에 근거하여 BLE 신호와 연동해 GPS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기술 및 위치 기반 서비스이다.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과 비교하여 장거리 무선 통신(최대 50m)을 할수 있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완전히 새로운 수준으로 제공하며, 근거리 접촉이 필요 없어 재실자에게 특정 행동을 요구하지 않는다(Kim,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S-Y., Kim, J-Y., Shin, H-J., Ryou, H-S. (2014). A Study of Effect of the Radiative Heat Flux on the Evacuation of Agents,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8, No. 1, pp. 31-36. 

  2. Baek, D-H. (2014). A Forum on Development Plan of Fire Detection Technology.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Korea Fire Industry. 

  3. Baek, E-S., Baek, G-J., Shin, H., S, M-J., Kook, C., Kim, S-W. (2010).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ire Safety and Evacuation Guide System.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4, No. 6, pp. 45-53. 

  4. Choi, J-W. (2013). A Study of the Intelligent Evacuee Guidance of Pictogram. Master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5. Choi, W-C. (2010). A Seminar on Introduction of the Latest Detection Technology and Creation of Residential Space. Seoul Metropolitan Fire Academy, The University of Seoul. 

  6. Do, D-M., Hyun, M-H., Hwang, J-S., Lee, J-H., Choi, Y-B. (2013). Route Exploration Algorithm for Emergency Rescue Support.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Vol. 2013, No. 11, pp. 459-460. 

  7. Kim, J-H. (2015). Preliminary Research on Implementation and Test-bed of Services Using Indoor Spatial and Location Information. Hanyang University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Group,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8. Hwang, Y-J., Koo, W-Y., Hwang, E-G., Yoon, H-J. (2011). A Development of Fire Evacuation Simulation System Based 3D Modeling.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5, No. 6, pp. 156-167. 

  9. Jun, N-S. (2013). NFS303.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10. Jung, Y-H., Lee, S-H., Hong, W-H. (2012).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Indoor Evacuation Information Application based on Smart Phone. KIFSE Proceeding of 2012 Fall Annual Conference, Vol. 2012, No. 11, pp. 50-53. 

  11. Kang, W-S. (2014). A Forum on Development Plan of Fire Detection Technology.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Korea Fire Industry. 

  12. Kim, H. (2003). Compound Semiconductor Epitaxy and Real-time Control.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13. Kim, J-S. (2012). A Study on Deducing Reasonable Evacuation Distance in the Underground Linked Complex Building. Master Thesis, The Kyonggi University. 

  14. Kim, S-I., Kim, T-H., Jun, K-Y., Hong, W-H. (2005). The Analyzing Survivors' Exiting Patterns and Rescuers' Activity on an Emergency in Underground Space (Daegu city subway arson).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005, No. 5, pp. 112-118. 

  15. Kim, Y-D., Kang, W-S., An, J-U., Lee, D-H., Yu, J-H. (2008).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eacon based Wireless Sensor Network for Realtime Safety Monitoring in Subway S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11, No. 4. pp. 364-370. 

  16. Koo, J-H. (2013).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Detection Performance of a Video-based Automated Fire Detec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3, No. 5, pp. 239-245. 

  17.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2006). High-rise Building Fire Prevention and Suppression Measures Study.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18. Lee, H-J. (2011). An Indoor Evacuation Routing Algorithm Considering Spatial Structure and Moving Load. Master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19. Lim, Y-J., Park, J-S., Ahn, S-H. (2008). A Geometric Approach for the Indoor Localization System.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Vol. 45, No. 12, pp. 97-104. 

  20. Moon, S-W., Sung, H-J. (2011). u-Disaster Prevention System based Real-Time Fire Monitoring in a Building Facility.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 agement, Vol. 12, No. 1, pp. 107-114. 

  21. Park, H-J. (2013). A Study on Network Improvement Method of Total Fire Protection System. Master Thesis, Gachon University. 

  22. Park, J-S. (2012). A Study on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the Process of Beginning Egress during the Fire at the Buildings - Focus on Overseas Fire Cases including the Japanes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2, pp. 59-68. 

  23. Seo, D-G., Kim, D-E., Gwon, Y-J. (2009). A Comparative Study on the Velocity of Smoke Drops for Buildings Fire. Korean Institute of Fire & Engineering, vol. 2009, No. 4, pp. 303-308. 

  24. Su, M-E. (2016). Propagation of Disaster using Beacons Positioning Technology and Administration Address system. Master Thesis, The Hannam University. 

  25. Woo, S-C., Chae, J. (2013). A Study on the Effective Fire Fighting Plan of the High-rise Building.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Vol. 9, No. 1, pp. 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