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가시나무 조림지의 임분밀도에 따른 임목 바이오매스 및 양분축적량
Biomass and Nutrient Stocks of Tree Components by Stand Density in a Quercus glauca Plantation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3, 2016년, pp.294 - 302  

최봉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백경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조창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박성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유병오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정수영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이광수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김춘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상남도 고성군에 식재된 상록활엽수인 27년생 종가시나무 조림지를 대상으로 고밀도(1,933본/ha)와 저밀도(1,200본/ha)구분한 후 총12본(고밀도 임분 6본, 저밀도 임분 6본)의 표본목을 벌채하고 임목부위별 바이오 매스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과 양분(C, N, P, K, Ca, Mg)축적량을 조사하였다. 흉고직경(DBH)을 독립변수로 하는 임분밀도별 줄기 목질부, 줄기 수피, 가지, 잎, 지상부 총량 등의 바이오매스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P < 0.05), 상대생장계수(slope)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일괄상대생장식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가시나무 조림지의 지상부 임목 바이오매스는 고밀도 임분이 177 Mg $ha^{-1}$로, 저밀도 임분 114 Mg $ha^{-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줄기 목질부, 줄기 수피, 가지, 잎 등의 임목부위별 양분 농도의 경우 임분밀도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 > 0.05). 임목부위별 양분축적량은 줄기 목질부의 질소 및 인축적량을 제외하고 고밀도 임분과 저밀도 임분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종가시나무 조림지의 임목부위별 양분농도의 경우 바이오매스 축적량에 비해 임분밀도의 영향이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boveground tree biomass and nutrient (C, N, P, K, Ca, and Mg) response of tree components by high (1,933 trees $ha^{-1}$) and low (1,200 tree $ha^{-1}$) stand densities in a 27-year-old Quercus glauca plantation. The study site was loc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3). 따라서 본 연구는 종가시나무 조림지를 대상으로 임분밀도가 상대생장식의 회귀계수와 임목 각 부위별 양분농도 및 축적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가시나무는 어떤 종인가? 우리나라 난대림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인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Thunberg)는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안 섬지역과 전남 도서지역의 표고 600 m 이하에서 자생하는 난대수종으로 건축재, 선박재, 악기재, 정원수, 공원수 등으로 그 용도가 다양한 경제수종으로 알려져 있다(Shin et al., 2006).
종가시나무의 임목부위 별 양분축적량에서 임분밀도에 따라 바이오매스의 차이가 있었지만 양분축적량은 차이가 없는 이유는? 임목부위 별 양분축적량은 일반적으로 고밀도 임분이 저밀도 임분에 비해 높은 축적량을 보이고 있으나 줄기목질부의 질소와 인축적량을 제외하고 임분밀도 간 유의 적인 차이는 없었다(Table 8). 두 임분밀도의 임목부위별 바이오매스의 유의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분축적량에 차이가 없는 것은 임목부위의 양분농도가 임분밀도 간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예를 들면, 줄기 목질부, 줄기 수피, 가지부위의 칼륨과 칼슘 같은 양분의 경우 저밀도 임분에서 양분농도가 높으나, 가지나 잎의 경우 고밀도 임분이 저밀도 임분에 비해 높은 질소농도를 보였다(Table 5).
상대생장식을 통한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무엇이 있는가? 산림 바이오매스는 수종 별 상대생장식(allometric equations)을 개발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추정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상대생장식은 동일 수종의 경우도 지역, 임분연령, 지위 등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11; Tomesg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ugusto, L., Meredieu, C., Bert, D., Trichet, P., Porte, A., Bosc, A., Lagane, F., Loustau, D., Pellerin, S., Danjon, F., Ranger, J., and Gelpe, J. 2008. Improving models of forest nutrient export with equations that predict the nutrient concentration of tree compartments. Annals of Forest Science 65: 808-808. 

  2. Augusto L., Bakker, M., Lavaissiere, S.D., Jordan-Meille, L., and Saur, E. 2009. Estimation of nutrient content of woody plants using allometric relationships: quant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concentration values from the literature and actuals. Forestry 82: 463-477. 

  3. Balboa-Murias, M.A., Rojo, A., Alvarez, J.G., and Merino, A. 2006. Carbon and nutrient stocks in mature Quercus robur L. stands in NW Spain. Annals of Forest Science 63: 557-565. 

  4. Barron-Gafford, G.A., Will, R.Y., Burkes, E.C, Shiver, B., and Teskey, R.O. 2003. Nutrient concentrations and contents, and their relation to stem growth of intensively managed Pinus taeda and Pinus elliottii stands of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Forest Science 49: 291-300. 

  5. Bravo, F., LeMay, V., Jandl, R., and von Gadow, K. 2008. Managing Forest Ecosystem: The challenge of climate change. Springer. pp. 338. 

  6. Hagen-Thorn, A., Armolaitis, K., Callesen, I., and Stjernquist, I. 2004. Macronutrients in tree stems and foliage: a comparative study of six temperate forest species planted at the same sites. Annals of Forest Science 61: 489-498. 

  7. Hwang, J., Lee, S.T., Kim, B.B., Kwon, B.S., and Shin, H.C. 2005. Standing biomass and inorganic distribution for a Camellia japonica stand at Mt. Cheongwan (Janghuenggun, Jeonnam). Korean Journal of Ecology 28(3): 163-168. 

  8. Jeong, J., Kim, C., Goo, K., Lee, C., Won, H., and Byun, J. 200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parent rock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2(3): 254-262. 

  9. Jeong, H.M., Kim, H.R., Cho, K.T., Lee, S.H. Han,, Y.S., and You, Y.H. 2014.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 of Quercus glauca in evergreen forest, Kotzawal wetland, Cheju Island, Korea. Journal of Wetland 16(2): 245-250. 

  10. Kalra, Y.P. and Maynard, D.G. 1991. Methods Manual for Forest Soil and Plant Analysis. North. For. Cent., Edmonton, Alberta. Inf. Rep. NOR-X-319. pp. 115. 

  11. Kim, C. 1999. Aboveground nutrient distribution in Pitch pine (Pinus rigida) and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plantat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8: 266-272. 

  12. Kim, C., Jeong, J., Kim, R.H., Son, Y.M., Lee, K.H., Kim, J.S., and Park, I.H. 2011. Allometric equations and biomass expansion factors of Japanese red pine on the local level.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7: 283-289. 

  13. Kim, C., Lee, K.S., Son, Y.M., and Cho, H.S. 2013. Allometric equations and biomass expansion factors in an agesequence of black pine (Pinus thunbergii) stand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 543-549. 

  14. Kim, C., Jeong, J., Park, J.H., and Ma, H.S. 2015. Growth and nutrient status of foliage as affected by tree species and fertilization in a fire-disturbed urban forest. Forests 6:2199-2213. 

  15.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0. Survey Manual for Biomass and Soil Carbon. pp. 60. 

  16. Lee, J.S. and Kim, C. 1988. Biomass production of Machilus thunbergii S. et. Z. stands at Bogil island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77(1): 10-16. 

  17. Lee, M.J. 1988. Changes in aboveground biomass and nutrient accumulation of the Korean-pine (Pinus korainesis) plantation by stand age at Kwangwondo 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7: 276-285. 

  18. Lee, S.T., Hwang, J. Kim, B.B., Lee, K.J., Shin, H.C., and Park, N.C. 2005. Estimation of biomass and nutrient distribution in natural forest for Machilus thunbergii. Korean Journal of Forest Measurement 8: 83-90. 

  19. Lee, S.T., Hwang, J.H., Lee, K.J. Shin, H.C. Kim, B.B. Park, M.S. Jun, K.S., and Cho, H.S. 2007. Biomass expansion factors (BEFs) for Quercus acuta according to age class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21: 554-558. 

  20. Nilsson, L.O., Huttle, R.F., and Johansson, U.T. 1995. Nutrient uptake and cycling in forest ecosystems. Plant and Soil 168-169: 5-685. 

  21. Osman K.T. 2013. Forest Soils, Properties and Management. Springer, Switzerland. pp. 217. 

  22. Noh, N.J., Kim, C., Bae, S.W., Lee, W.K., Yoon, T.K., Muraoka, H., and Son, Y. 2013. Carbon and nitrogen dynamics in a Pinus densiflora forest with low and high stand densities. Journal of Plant Ecology 6: 368-379. 

  23. Rubilar, R.A., Allen, H.L., and Kelting, D.L., 2005. Comparison of biomass and nutrient content equations for successive rotations of loblolly pine plantations on an Upper Coastal Plain Site. Biomass and Bioenergy 28: 548-564. 

  24. SAS Institute Inc. 2003. SAS/STAT Statistical Software. Version 9.1. SAS publishing Cary, NC. USA 

  25. Shin, H.C, Park, N.C., and Hwang, J.H. 2006. Warm temperate tree species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218. 

  26. Son, Y.M., Kim, R.H., Kang, J.T., Lee, K.S., and Kim, S.W. 2014. A practical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carbon emission factors for 4 major species of warm temperate forest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4): 593-598. 

  27. Temesgen, H., Affleck, D., Poudel, K., Gray, A., and Sessions, J. 2015. A review of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estimating above ground forest biomass using treelevel models. Scandinav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0: 326-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