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주시 도시생활권 등산로 훼손실태에 관한 연구
Damage Status of the Urban Forest Trails in Jinju, Gyeongsangnam-do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3, 2016년, pp.315 - 320  

강민정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박재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김기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한 도시숲을 대상으로 토양 물리화학성 및 등산로 훼손유형을 평가하여 등산로 노면의 피해양상과 훼손실태를 파악함으로써 도시생활권 등산로의 관리를 위하여 수행하였다. 등산로와 산림지역의 토양 물리화학성 분석 결과, 등산로 토양깊이 0 cm, 5 cm의 토양경도가 산림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 토양물리화학성에서는 모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아울러 훼손유형 중 노폭확대형이 66%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노면침식형 59%, 샛길형 57%, 경계침식형과 수목뿌리노출형이 각각 41%로 나타났으며, 노면배수불량형과 급경사형, 산사태 훼손유형은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대부분 인자에서 차이가 없는 것은 등산로뿐만 아니라 산림지역도 훼손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진주시 도시숲 등산로는 이용객의 과밀현상 등에 의해 토양경도 훼손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대책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management plan for urban forest trails with analysis of trail damage types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3 urban forest parks in Jinju, Gyeongnam-do. We found that soil hard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orest trails than forest area at 0 cm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경상남도 진주시에 소재한 도시숲(비봉산, 선학산, 망진산)을 대상으로 토양 물리화학성 분석과 훼손유형을 평가함으로써 도시생활권 등산로의 합리적인 관리의 근거자료와 그린트러스트 사업 진행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민들은 일반적으로 숲에 얼마나 체류하는가? 도시숲은 시민의 도시환경조절 측면과 여가활동 측면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용이한 접근성으로 도시민들에게 여러 가지 편익을 제공하고 있다. 도시민들은 숲이 도시민들의 휴양 및 쉼터 역할을 하기를 기대하고 숲에서는 주로 등산과 산책을 즐기며, 일반적으로 2시간 이상 체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et al., 2009; Leeet al.
왜 도시숲의 보전·관리를 위해서는 해당 등산로, 숲길의 관리 및 정비에 대한 정책과 연구의 폭을 넓혀 나가야 할 필요가 있는가? 이와 같이 전국적으로 생활권 내의 도시숲에서 주민들의 여가활동이 늘어남에 따라 탐방객의 과도한 토지이용에 따른 토양답압 발생이나 대기 및 수질 오염물질 유입 등에 따른 토양 산성화, 양분용탈 등으로 인하여 수목의 생육환경은 매우 열악한 편이며(Jim, 1998; Kim et al., 1999; McPhearson et al., 2010; Seo et al., 2015), 크게는 도시숲의 생태계까지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숲의 보전·관리를 위해서는 해당 등산로, 숲길의 관리 및 정비에 대한 정책과 연구의 폭을 넓혀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도시숲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 도시숲은 시민의 도시환경조절 측면과 여가활동 측면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용이한 접근성으로 도시민들에게 여러 가지 편익을 제공하고 있다. 도시민들은 숲이 도시민들의 휴양 및 쉼터 역할을 하기를 기대하고 숲에서는 주로 등산과 산책을 즐기며, 일반적으로 2시간 이상 체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Frissell, S.S. 1978. judging recreation impacts on wildness campsite. Journal of Forestry 76: 481-483. 

  2. Jeong, J.H., Koo, K.Y., Lee, C.H., and Kim, C.S. 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6): 694-700. 

  3. Jim, C.Y. 1998. Urban soil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for landscape in Hong Kong. Land. and Urban Planning 40: 235-249. 

  4. Kim, C., Yoo, J.H., Byun, J.K., Jeong, J.H., and Lee, B.S. 1999.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within Forest Soils in Seoul.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8(1): 111-116. 

  5. Kim, C., Park, J.H., Cho, H.S., Mam, H.S., and Lee, K.S. 2015.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and Soil Horizons in Restoration Area following Forest Landslide by Creeping soil.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9(6): 27-35. 

  6.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0. for Specialists Cultivating the Soil Conservation Practices. Seoul. pp. 168. 

  7.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3. A Study on Effective Management of Forest Tail and Activation Measures of Mountain Village. Seoul. pp. 513. 

  8. Korea National Park. 2009. National Trail Repair Manual. Seoul. pp. 161.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ww.kma.go.kr (2016.08.04.). 

  10. Kwon, T.H., Oh, K.K., and Kwon, S.D. 1991. Use Impact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nd Campsite in Chiri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5(1): 91-103. 

  11. Lee, Y.C. 2010. The Influence of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Flower and Leaf Fall on Soil Available Phosphoru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Lee, H.Y., Oh, C.H., Kim, E.S., Son, Y.W., and Park, K.S. 2010.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Urban Forest as Geological Location in Daeje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5): 566-574. 

  13. Lee, Y.H., Kim, K.W., and Byun, W.H. 2009. Visitors' Characteristics of Bukhansan National Park as a Urban Forest. Korean Journal of Forest Recreation Association 13(1): 53-61. 

  14. McPhearson, P.T., Feller, M., Felson, A., Karty, R., Lu, J.W.T., Palmer, M.I., and Wenskus, T. 2010. Assessing the Effects of the Urban Forest Restoration Effort of Million Tree NYC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ing of New York City Ecosystem. Cities and the Environment 3: 1-21. 

  15. NEWSIS. 2016. LH, Agreement of Green Trust together Local Society.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704_0014196757&cID10812&pID10800 (2016. 07. 01). 

  16. Oh, K.K., Kwon, T.H., and Jeun, Y.J. 1987. Trail Damage and Vegetational Change of Trail Side in Bukhan Mountai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1): 35-45. 

  17. Park, J.H., Huh, G.Y., and Lim, H.G., 2011. Degradation Assessment of Forest Trails in Gyeongnam Domain of Mt. Jiri.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3): 476-482. 

  18. Pack, I.H., Lee, H.T., Cho, K.J., and Jang, G.S. 2010. An Analysis of Major Trail Deterioration in Urban Natural Park -A Focus on Apsan Park in Daegu Metropolitan City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3): 33-40. 

  19. Scharenbroch, B.C. and Catanica, M. 2012. Soil Quality Attributes ad Indicators of Urban Tree Performance. Arobor. Urban For 38: 214-228. 

  20. Schoenholts, S.H., Van, M.H., and Burger, J.A. 2000. A Review of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s Indicators of Forest Soil Qualit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38: 335-356. 

  21. Seo, H.Y., Ma, H.S., Jung, S.Y., and Kim, C. 2015.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Restored Forests following Landslide Areas in Umyeonsan Mountain.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9(5): 145-156. 

  22. Woo, B.M. 2003.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Engineering. Seoul. pp. 520. 

  23. Woo, B.M., Park, J.H., and Kim, K.H. 1994. Variations of Soil Bulk Density and Natural Revegetation on the Logging Road of Timber Harvested-Site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3(4): 545-5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