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accharomyces cerevisiae의 폐달걀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감소효과
The Malodor Decreasing Effec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on Decomposing Waste Egg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4 no.3, 2016년, pp.177 - 182  

이창훈 (한경대학교 식물생명환경과학과) ,  이용호 (고려대학교 야생자원식물종자은행) ,  유재홍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박준영 (한경대학교 식물생태화학연구소) ,  심명용 (한경대학교 식물생태화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화장에서 폐기하는 달걀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를 이용 분해하여 비료화하는 데 있어 발생하는 악취는 폐기물 처리에 있어 중요한 제한요소 중 하나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두 개의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KACC 30008와 KACC 30068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효모 균주는 모두 세균만을 사용하여 분해 처리하였을 때보다 섞어서 사용한 경우 암모니아 발생을 약 35.4% 감소하였고, 두 균주를 같이 섞어 사용한 경우는 57.1% 감소시켰다. 두 균주는 황화수소 또한 42%와 90.4%씩 각각 감소시켰고, 동시에 두 균주를 같이 사용했을 때에는 황화수소 발생을 98.5% 감소시켰다. 메틸메르캅탄의 경우 KA30008은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나 KA30068은 40%, 두 균주를 함께 사용한 경우는 66.7% 감소시켰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는 효모의 처리가 B. amyloliquefaciens를 사용하여 폐달걀 분해 시 악취 발생을 저감하는 효과를 더 증진시킴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lodor emitted while producing fertilizer from hatchery egg waste treated with microorganism is an important limiting factor. To reduce this problem, we attempted to use two yeast strains, Saccharomyces cerevisiae, KACC 30008 and KACC 30068. Both yeast strains reduce ammonia gas emission 35.4% th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4), 여러 미생물 중에서 효모를 활용한 악취저감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B. amyloliquefaciens를 이용하여 폐달걀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저감에 S. cerevisiae가 유용한 효과를 내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 2014), 효모의 악취 제거 효과만 확인된다면 폐달걀을 처리하여 비료를 생산하는데 매우 효율적인 처리 미생물로 효모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효모의 악취제거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등의 발생을 감소시키는지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화수소의 냄새는 어떠한가? 이런 악취원은 2005년 제정된 악취방지법의 악취목록에 기재되어있다(환경부, The Ministry of Environment). 황화수소는 일반적으로 달걀 썩는 냄새로 표현되고 있고, 다른 두 성분도 악취로 인식되고 있어 폐달걀을 비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전환하는 과정에서 이 들 악취를 저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폐달걀은 어떻게 처리되는가? 한 달에 20만개의 달걀을 부화하는 경우에 약 13톤의 폐달걀이 생산되고 있다. 이 폐달걀은 거의 대부분 매립이나 소각 등으로 폐기하거나 소량은 처리하여 비료 등으로 재활용한다. 폐달걀을 처리하기 위하여 2013년에는 전국적으로 약 40억 원 이상의 비용이 필요하였다(축산물품질평가원, Korean Institute of animal product Evaluation).
미생물을 이용한 폐달걀 처리의 제한 요인은 무엇인가? 특히 미생물을 이용한 폐달걀 처리는 달걀을 분해하여 아미노산을 생산할 수 있어 액비 등의 생산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여 민원이 발생하고 있어 폐달걀을 비료로 이용하는데 제한 요인이 되고 있다. 대부분 동물상 폐기물의 악취는 암모니아 또는 황화수소나 메틸메르캅탄 같은 황 화합물에 의해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a JM, WS Cha and JH Lee. 1999. Removal of organo-sulphur odour compounds by Thiobacillus novellus SRM, sulphur-oxidizing microorganisms. Process Biochem. 34:659-665. 

  2. Chen XG, AL Geng, R Yan, WD Gould, YL Ng and DT Liang. 200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lphur-oxidizing Thiomonas sp.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biological deodorization. Letters Appl. Microbiol. 39:495-503. 

  3. Ho KL, YC Chung, YH Lin and CP Tseng. 2008. Microbial populations analysis and field application of biofilter for the removal of volatile-sulfur compounds from swin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J. Hazard. Mater. 152:580-588. 

  4. Kim JS, YK Yu and SS Lee. 2004a.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Removing Sulfur Compound Odor. Kor. J. Microbiol. 40:127-132. 

  5. Kim KY, HJ Ko, HT Kim, YS Kim, YM Rho, CM Lee and CN Kim. 2008. Odor reduction rate in the confinement pig building by spraying various additives. Bioresour. Technol. 99:8464-8469. 

  6. Kim TI, JS Ham, CB Yang and MK Kim. 2004b. Deodorization of pig feces by fungal application. Asian-Australasian J. Animal Sci. 17:1286-1290. 

  7. Korea Poultry Associ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http://www.poultry.or.kr 

  8. Korean Institute of animal product Evaluation. Animal product information. http://www.ekape.or.kr/view/user/main/main.asp 

  9. Lee EY, KS Cho and HW Ryu. 2003. Degradation characterization of sulfur-containing malodorous gases by Acidithiobacillus thiooxidans AZ11. Kor. J. Odor Res. Eng. 2:46-53. 

  10. Lee JK, JS Lee, IC Park, WK Kim and JH Yoo. 2016. Plant growth enhancing effect of decomposed hatchery waste egg using microorganism. Proc. Kor. Soc. Crop Sci. spring:104. 

  11. Lee SJ and EY Lee. 2009. Screening and isolation of ammonia removal microorganism for the improvement of livestock environment. Kor. J. Microbiol. Biotech. 37:408-412. 

  12. Lonhienne T, MG Mason, MA Ragan, P Hugenholtz, S Schmidt and C Paungfoo-Lonhienne. 2014. Yeast as a biofertilizer alters plant growth and morphology. Crop Sci. 54:785-790. 

  13. Nakasaki K, SH Kwon, H Tanaka and K Oyamada. 2006. Suppression of malodor from garbage during storage periods by yeast producing fragrances. Process Biochem. 41:1932-1939. 

  14. Park SJ, YH Lee, YJ Nam, BK Baik and TW Kim. 2013. Peptide-based biomarker discovery for identification of rice cultivars using sur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Crop Sci. 53:987-995. 

  15. Rappert S and R Muller. 2005. Odor compounds in waste gas emissions from agricultural operations and food industries. Waste Manage. 25:887-907. 

  16. Rappert S and R Muller. 2005. Microbial degradation of selected odorous substances. Waste Manage. 25:940-9547. 

  17.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alodor control act. 2014. 

  18. Yan Z, X Liu, Y Yuan, Y Liao and X Li. 2013. Deodorization study of the swine manure with two yeast strains. Biotech. Bioprocess Engin. 18:135-143 

  19. Yoo JH, IC Park and WK Kim. 2012. Decrease efficiency of offensive odor from pig excreta by yeast strain, Pichia farinose NASS-2 isolated from soy bean paste. Kor. J. Mycol. 40:254-257. 

  20. Yoon DH, DW Kang and KW Nam. 2009. The effect of yeast (Saccharomyces exiguus SJPAF1) on odor emission and contaminants reduction in piggy slurry. Kor. J. Environ. Agricul. 28:47-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