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딸기 수확 후 저장기간 연장 및 품질 개선을 위한 LPE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적정 처리농도 구명
Determination of Optimal Concentration of LPE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for Postharvest Stability and Quality of Strawberry Fruit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5 no.3, 2016년, pp.153 - 161  

최기영 (강원대학교 시설농업학과) ,  김일섭 (강원대학교 원예학과) ,  윤영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  최은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딸기 '매향' 품종의 과실을 수확 한 후 LPE 용액에 침지처리 한 뒤 저장기간 동안 당도, 색도, 경도 및 생체중 변화를 조사하여 적정 LPE 처리 농도 및 적정 숙도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숙도 70%인 과실을 LPE 0(증류수, 대조구), 10, 50, $100mg{\cdot}L^{-1}$ 농도에 1분간 침지하거나, 딸기 꼭지에서부터 익은 비율로 숙도 0%, 50%, 70%, 100%로 등급화한 후에 LPE 0(증류수, 대조구), 2.5, 5, 10, $25mg{\cdot}L^{-1}$ 농도에 1분간 침지한 후 실온($20^{\circ}C{\pm}1$)에서 40분간 자연건조 한 뒤 $4^{\circ}C$ 저장고에 12일간 저장하였다. 저장 기간 동안 생체중, 종경도, 횡경도, 색도 및 당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숙도 70% 과실을 수확 후 LPE 0, 10, 50, $100mg{\cdot}L^{-1}$ 농도에 침지 후 저장하며 과실의 생체중을 측정하였을 때 처리 농도별 유의차가 없었다. 종경도는 저장 3일째에는 무처리구와 LPE $10mg{\cdot}L^{-1}$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저장 6일째부터 12일까지는 $10mg{\cdot}L^{-1}$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횡경도는 저장 9일째 10과 $50mg{\cdot}L^{-1}$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나 12일째에는 $10mg{\cdot}L^{-1}$ 처리구는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고 50과 $100mg{\cdot}L^{-1}$에서 가장 낮았다. 색차계 $L^*$$b^*$ 값은 LPE 처리 농도별 저장 기간 별유의차가 없었고, $a^*$ 값은 저장 12일째에 LPE $10mg{\cdot}L^{-1}$ 처리를 포함한 모든 농도에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높았다. 숙도 0%, 50%, 70%, 100%로 등급화한 후에 LPE 0(증류수, 대조구), 2.5, 5, 10, $25mg{\cdot}L^{-1}$ 농도에 침지한 후 저장하였을 때 과실 생체중은 LPE 처리농도별 유의차가 없었다. 종경도와 횡경도는 LPE 처리농도와 상관없이 숙도 0% >50%> 70%> 100% 순으로 높았다. LPE 농도 처리에 의한 영향은 종경도는 숙도 70% 과실의 경우 저장 3, 6, 12일째 모두 LPE $5mg{\cdot}L^{-1}$에서 가장 높았고 12일째는 LPE 처리구 모두 무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숙도 100% 과실의 경우 저장 12일째에 LPE $10mg{\cdot}L^{-1}$에서 종경도가 무처리구에 비해 높았지만 $25mg{\cdot}L^{-1}$에서는 종경도 및 횡경도 모두 가장 낮았다. 색차계 L, b 값은 LPE 처리와 관계없이 숙도 0% > 50% > 70% > 100% 순으로 높아 숙도에 따라 유의차가 있었다. 숙도100%에서 가장 낮은 $L^*$$b^*$값이 측정되었다. 숙도 50%와 70% 과실의 경우 저장기간 중 다른 처리구에 비해 $5mg{\cdot}L^{-1}$에서 $L^*$, $b^*$ 값이 가장 높았다. 숙도 100%의 경우 $25mg{\cdot}L^{-1}$에서는 가장 낮은 값을 보여 과숙이 유발된 것으로 판단된다. 색차계 $a^*$ 값은 $L^*$$b^*$와는 반대로 그 값의 증가는 숙도가 높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숙도 0, 50, 70, 100% 모두에서 LPE 처리 효과를 구분할 수 없었고, 당도는 처리별, 기간별 유의차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LPE는 저장 중인 딸기 과실의 생체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경도 및 색도 변화에는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숙도 70% 과실은 타 숙도에 비해 저장성 증대효과가 크며, 숙도 70%일때 처리농도 LPE $5mg{\cdot}L^{-1}$에서 저장성 증대에 효과적 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optimal maturity of strawberry fruits as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 and its optimal concentration for postharvest stability and quality. Prior to application of treatments, fruits that were classified into levels of maturity (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은 딸기 저장기간 연장과 품질유지에 미치는 LPE 처리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수출용 딸기 ‘매향’ 품종의 과실을 수확한 후 LPE 용액에 침지처리한 후 저장기간 동안 당도, 색도, 경도 및 생체중 변화를 조사하여 적정 LPE 처리 농도 및 적정 숙도를 구명하였다.
  • 본 연구는 딸기 ‘매향’ 품종의 과실을 수확 한 후 LPE 용액에 침지처리 한 뒤 저장기간 동안 당도, 색도, 경도 및 생체중 변화를 조사하여 적정 LPE 처리 농도 및 적정 숙도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딸기가 비호흡급등형 과실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은? 딸기는 비호흡급등형(non-climacteric) 과실로 수확 후 저장 및 유통 과정에서 오염, 손상, 연화, 변색 등이 일 어나 외관품질이 저하 되어 수출 등 장거리 운송에 따 른 비용과 품질유지의 문제가 있다. 이런 과실의 수확 후 저장유통 중에 발생하는 과실의 외적·내적문제를 억 제하고자 예냉(Kim 등, 2013), 저온저장 및 1-MCP 처 리(Bower 등, 2003), 고농도 CO2 처리(Roger 등, 2000), 열처리(Vicente 등, 2002), 열탕처리(García 등, 1996), 시트르산 처리(Magdy Abd-Elhady, 2014), 살리실산과 칼슘침지 처리(Shafiee 등, 2010) 및 그 외 감마선처리나 AP포장(Jouki와 Khazaei, 2014)등 많은 수확 후 처리방 법이 개발되고 있다.
딸기의 특징은? 딸기(Fragaria spp.)는 페놀화합물, 카로티노이드, 안토 시아닌 등 항산화 물질과 비타민C 등을 함유하고 있는 (Zheng 등, 2007; Azzini 등, 2010) 기능성 채소이다. 딸 기의 국내 총 생산량은 2014년에 20.
딸기와 같은 원예작물의 저장성에 효과가 있는 LPE의 특징은? 최근 LPE(Lysophosphatidylethanolamine), 즉 난황에서 추출한 천연 인지질(Sotirhos 등, 1986)을 처리한 과실의 저장기간, 색깔, 품질 및 수량이 증가되었다는 보고가 있 다(Amaro와 Almeida, 2013; Cowan, 2009; Farag와 Palta, 1993a). LPE 처리방법에는 엽면살포법, 진공침투법, 침지 법, 용액법 등의 방법이 있고 그 효과는 과실의 경도향 상, 과실 성숙촉진, 색깔 균일화, 안토시아닌 함량 증가, 에틸렌 생성촉진, 내냉성 증가, 에틸렌생성 감소, 저장기 간 연장, 생체중 감소지연, 노화지연, 착과수 증가, 칼슘 부족장해 완화, 개화연장 및 촉진 등이 보고되었다 (Amaro와 Almeida, 2013). 수확 전과 수확 후 원예작물 에 대한 LPE 처리 사례로서 토마토, 바나나, 사과, 크랜 베리, 오렌지, 메론 등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보고되고 있으나(Cowan, 2009), 딸기에 관한 연구 자료는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med, Z.F.R. and J.P. Palta. 2010.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a natural phospholipid, may retard senescence and improve the shelf life of banana fruit. HortSci. 45:66 (Abstr.). 

  2. Ahmed, Z.F.R. and J.P. Palta, 2011. A natural lipid,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may promote ripening while reducing senescence in banana fruit. HortSci. 46:273 (Abstr.). 

  3. Alferez, F., Y. Lluch, and J.K. Burns. 2008. Phospholipase A2 and postharvest peel pitting in citrus fruit. Postharvest Biol. Technol. 49:69-76. 

  4. Amaro, A.L., J. Fundo, J.C. Beaulieu, R.E. Stein, J.P. Fernandez-Trujillo, and D.P.F. Almeida. 2012.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effects upon volatiles and quality of fresh-cut cantaloupe melon. Acta Hort. 934:959-965. 

  5. Amaro, A.L. and D.P.F. Almeid. 2013,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effects on horticultural commodities: A review. Postharvest Biol. Technol. 78:92-102. 

  6. Azzini, E., P. Vitaglione, F. Intorre, A. Napolitano, A. Durazzo, M.S. Foddai, A. Fumagalli, G. Catasta, L. Rossi, E. Venneria, A. Raguzzini, L. Palomba, V. Fogliano, and G. Maiani. 2010. Bioavailability of strawberry antioxidants in human subjects. Br. J. Nutr. 104:1165-1173 

  7. Bower, J.H., W.V. Biasi, and E.J. Mitcham. 2013. Effects of ethylene and 1-MCP on the quality and storage life of strawberries. Postharvest Biol. Technol. 28:417-423. 

  8. Cowan, A.K. 2009. Plant growth promotion by 18:0-lysophosphatidylethanolamine involves senescence delay. Plant Signal. Behav. 4:324-327. 

  9. Farag, K.M. and J.P. Palta. 1991. Enhancing ripening and keeping quality of apple and cranberry fruits using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a natural lipid. HortSci. 26:67 (Abstr.). 

  10. Farag, K. and J.P. Palta. 1993a. Use of lysophoshatidylethanolamine, a natural lipid, to retard tomato leaf and fruit senescence. Physiol. Plant. 87: 515-521. 

  11. Farag, K.M. and J.P. Palta. 1993b. Use of natural lipids to accelerate ripening and enhance storage life of tomato fruit with and without ethephon. HortTech. 3:62-65. 

  12. Garcia, J.M., C. Aguilera, and M.J. Antonia. 1996. Gray mold in and quality of strawberry fruit following postharvest heat treatment. HortSci. 31:255-257. 

  13. Hong, J.H., J.R. Altwies, M. Guelzow, and J.P. Palta. 2002. The influence of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a natural lipid, ethylene production and ACC oxidase activity on mature green vs. red tomatoes. In: XXVI International Horticultural Congress, Toronto, Canada, p.262 (Abstr.). 

  14. Hong, J.H. 2006.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enhances ripening and prolongs shelf life in tomato fruit: contrasting effect on mature green vs red tomatoes. Hortic. Environ. Biotechnol. 47:55-58. 

  15. Jouki, M. and N. Khazaei. 2014. Effect of low-dose gamma radiation and active equilibrium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shelf life extension of fresh strawberry fruits. Food Packaging Shelf Life.I:49-55. 

  16. Kaur, N. and J.P. Palta. 1997. Postharvest dip in a natural lipid,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may prolong vase life of Snapdragon flowers. HortSci. 32:888-890. 

  17.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 (aT). 2015. Import & export statistics. 

  18. Kim, T.I., W.S. Jang, J.H. Choi, M.H. Nam, W.S. Kim, and S. S. Lee. 2014. Breeding of Strawberry 'Maehyang' for Forcing Culture. Korean J. Hort. Sci. Tech. 22:434-437. 

  19. Kim, H.M. and S.J. Hwang. 2013. Qualitative Changes in Maturity, Precooling Temperatures and Light illumination on the postharvest management of the fruits in 'Maehyang' strawberry for export. Protected Hort. Plant Fac. 22:432-438. 

  20. Kim S.K., R.N. Bae, H. Na, K.D. Ko, and C. Chun. 2013.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fruit development in June-bearing strawberry cultivars. Hortic. Environ. Biotechnol. 54: 44-51. 

  21. Magdy Abd-Elhady. 2014. Effect of citric acid, calcium lactate and low temperature prefreezing treatment on the quality of frozen strawberry. Ann. Agric. Sci. 59:69-75. 

  2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5. Status of vegetable production statistics. 

  23. Ozgen, M., S. Ozgen, and J.P. Palta. 1999. Use of lysophosphatidylethanolamine(LPE), a natural lipid, to accelerate ripening and enhance self life of cranberry fruit. HortSci. 34:538. 

  24. Roger, H., F.H.J. Elgar, C.B. Watkins, P.J. Jackson, and I.C. Hallett. 2000. Physical and mechanical changes in strawberry fruit after high carbondioxide treatments. Postharvest Biol. Technol. 19:139-146. 

  25. Shafiee, M., T.S. Taghavi, and M. Babalar. 2010. Addition of salicylic acid to nutrient solution combined with postharvest treatments(hot water, salicylic acid, and calcium dipping) improved postharvest fruit quality of strawberry. Sci. Hortic. 124:40-45. 

  26. Sotirhos, N., B. Herslof, and L. Kenne. 1986. Quantitative analysis of phospholipids by 31P-NMR. J. Lipid Res. 27:386-392. 

  27. Zheng, Y., S.Y. Wang, C.Y. Wang, and W. Zheng. 2007. Changes in strawberry phenolics, anthocyanin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response to high oxygen treatments. LWT - Food Sci. Tech. 40:49-57. 

  28. Vicente, AR., G.A. Martinez, P.M. Civello, and A.R. Chaves. 2002. Quality of heat-treated strawberry frui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Postharvest Biol. Technol. 25:59-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