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성적 소비성향과 패션소재의 감성요소에 대한 선호도 연구
A Study of Emotional Consumption Propensity and Preferences for Sensibility Factors of the Fabrics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9 no.3, 2016년, pp.27 - 42  

김여원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최종명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인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감성적 소비성향과 패션소재의 감성요소(색채 톤, 무늬, 질감이미지)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 감성적 소비성향과 패션소재의 감성요소 선호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감성적 소비성향을 요인분석한 결과, 과시적 소비성향, 개성적 소비성향, 심미적 소비성향, 쾌락적 소비성향 등 4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조사대상자들은 심미적 소비성향, 개성적 소비성향, 상징적 소비성향의 순으로 중요시하였는데, 감성적 소비성향은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패션소재의 감성요소에 대한 선호도를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다양한 색채 톤을 선호하였고 밝은 색채 톤에 대한 선호도는 성과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플로럴 무늬에 대한 선호도는 성, 연령, 학력, 직업, 결혼여부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패션소재의 질감이미지 선호도는 학력을 제외한 인구 통계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성인 남녀 소비자의 감성적 소비성향과 감성요소 선호도 요인 간에는 대다수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consumption propensity and the preferences for sensibility factors of fabrics(color tone, pattern and texture image), and to analys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consumption prope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성인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감성적 소비성향과 패션소재의 감성요소 선호도를 파악하여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고찰하고 감성적 소비성향과 감성요소 선호도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것으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명도와 채도의 개념이 포함된 색채 톤이 감성적인 반응에 더 관여하여 색상보다는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색채 톤 선호도에 중점을 두어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소비자들이 기술적, 시각적 만족감을 넘어 감동을 이끌어 내는 감성적 제품에 구매동기를 가지는 상황임을 감안하여(Ha & Kim, 2010), 패션에 대해 민감하고 패션상품 구매력이 있는 성인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감성적 소비성향과 패션소재의 감성요소인 색채 톤, 무늬, 질감이미지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 감성적 소비성향과 패션소재의 감성 요소에 대한 선호도간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소비자의 감성을 반영한 패션소재 개발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각적 효과에 따라 패션제품에 대한 이미지와 감성이 달라지는 이유는? 다시 말해서 디자인이 동일하다고 하여도 패션소재의 표면적 특성인 색채 톤, 무늬, 질감 등의 시각적 효과에 따라 패션제품에 대한 이미지와 감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이는 패션소재의 표면에 나타나는 디자인 특성의 시각적 효과 차이로 패션 제품의 이미지가 창출되고 감성적 쾌적감을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패션소재의 색채 톤, 무늬, 질감과 같은 요소가 시각적 자극으로 작용하여 패션이미지를 형성하는 감성요소가 된다.
감성적 소비성향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본 연구에서는 성인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감성적 소비성향과 패션소재의 감성요소(색채 톤, 무늬, 질감이미지)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 감성적 소비성향과 패션소재의 감성요소 선호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감성적 소비성향을 요인분석한 결과, 과시적 소비성향, 개성적 소비성향, 심미적 소비성향, 쾌락적 소비성향 등 4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조사대상자들은 심미적 소비성향, 개성적 소비성향, 상징적 소비성향의 순으로 중요시하였는데, 감성적 소비성향은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감성적 소비자들이 중시하는 것은? 소비자의 감성적 소비성향은 소비자가 제품의 구매를 결정함에 있어 무의식적이고 본능적인 심리적 자극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그 자극의 요소가 심미성, 상징성, 쾌락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Whang, 2006). 즉 감성적 소비자들은 상품의 상징적 의미를 추구하고 상품에 내재된 이야기를 중시하며 기능보다는 가치와 의미, 필요보다는 욕구를 중시한다(Cui & Choi, 2011). 따라서 패션에서도 감성적 소비성향의 영향력이 점차 커짐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감안해 볼 때(Na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eak, H. E. & Kim, Y. S. (2011). Characteristics of total coordination in the pursuit of fashion sensibility among women in their 20'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6), 1163-1176. 

  2. Cha, G. E. & Moon, E. B. (2004). A study on digital hue & tone for color practical u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18(2), 23-34. 

  3. Cho, H. S. & Lee, J. H. (1998). A presentation of guidelines for layout techniques in design of floral-patterned scarves based on an analysis of consumer emotion: Part 1.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2), 23-33. 

  4. Choi, S. K. (2012). An analysis on consumer's preference and purchasing according to the form variable of a striped neckti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8(1), 474-480. 

  5. Choo, S. H. (2001). Images of Fashion Fabric Based on Color and Texture. Unpublished docto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6. Chung, I. H. (2001). The study on desired image and fabric preference of woman college student for apparel.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9(4), 629-638. 

  7. Cui, X. M. & Choi, K. H. (2011). The effect of shopping tourists' emotional consumption tendencies on luxury brand attachment and Loyalty: A moderation effect of brand benefit. The Journal of Business and Economics, 27(2), 197-219. 

  8. Davis, M. L. (1980). Visual Design in Dress. New York: Prentice-Hall. 

  9. Eun, S. Y., Jo, S. H., & Lee, K. H. (2002). A study on the visual sensibility of color combination for clothing: Part 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6), 833-842. 

  10. Ha, E. A. & Kim, S. A. (2010). Study on the industrial design trend with innovative fiber materi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3(4), 93-104. 

  11. Je, E. S. (2012). Impa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fashion consumption propensity and clothing satisfaction: Focusing on female smart phone users in 20's and 3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 14(4), 578-587. 

  12. Ju, J. A. & Ryu, H. S. (2004). Effect of weft kni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n the subjective texture and sensi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1), 1516-1523. 

  13. Kato, Y. (1995). Effectiveness factors for the impression of three-color design. Journal of Home Economics of Japan, 46(3), 249-259. 

  14. Kim, C. S. & Pak, J. E. (2010). Observation of textile design from 2005-2009 fashion collection and development of pattern design : Focused on conversational desig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6), 1179-1193. 

  15. Kim, J. S. & Lee, S. I. (2005). The effects of color, tones values on image perception of natural dyeing of Han-san Mosi and cott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5), 662-670. 

  16. Kim, J. W., Oh, H. S., & Jeon, M. J. (2013). Consumers' preference for colors of outdoor jacket according to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6(1), 81-88. 

  17. Kim, M. J., Lee, Y. M., Kim, Y. J., & Park, M. J. (2008). Visual sensibility evaluation of fancy yarns for hand knitting of using computer knitting simulation: Application of SDS-ONE paint fun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9), 1333-1342. 

  18. Kim, Y. I., Koh, A. R., & Hong, H. S. (2000). Fashion image segmentation of 20's female apparel market and apparel color pre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1), 3-14. 

  19. Kim, Y. W., Park, Y., & Choi, J. M. (2016). Relationships between preferences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for utilized fabrics and preferences of fashion imag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4(1), 27-40. 

  20. Ko, H. Z. (2008). The customized modern fashion product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3), 93-104. 

  21. Ko, S. G. (2002). Effect of the Structural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n the Texture Images of Woolen Fabric.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2. Kong, J. H. & Kwon, Y. A. (2013). Effect of stripe pattern for men's shirts on emotion.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6(1), 65-74. 

  23. Kwon, O. K., Kim, H. E. & Na, Y. J. (2000). Fashion and Sensibility. Seoul: Kyomunsa. 

  24. Kwon, H. J. & Kim, S. J. (2012). Periodic expression research on retro focusing on the motif and structuralizing method of pattern design.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3(4), 3-14. 

  25. Lee, E. O. (2007).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in Korean textile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3(3), 271-280. 

  26. Lee, G. M. & Lee, J. H. (2011). Study of emotional consumption for the application of industrial desig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raft, 14(4), 94-113. 

  27. Lee, H. J. (1999). Fashion Design. Seoul: Kyomunsa. 

  28. Lee, J. S. & Shin, H. W. (2003). The sensibilities of cotton fabr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7), 800-808. 

  29. Lee, M. S., Kim, E. A., Kim, J. J., & Ruy, H. S. (2002). Subjective hand evaluation of S/S blouse and shirt fabrics. Journal of the Korean Fiber Society, 39(1), 125-132. 

  30. Lee, M. S. (2010). The effect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n women consumers'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Focu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by age variabl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6), 1138-1152. 

  31. Lee, S. I. (2006). Design Strategy for the Han-san Mosi Fabrics Through Enhancement of the Quality and Sensibility. Unpublished docto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2. Lee, S. R. & Kim, J. S. (2007). Effect of motif designs on preferences and image percep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2), 193-202. 

  33. Lee, S. Y., Kim, J. H., & Lee, J. S. (2010). Needs and sensibility of functional fabrics for outdoor sportswear.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47(3), 168-197. 

  34. Lee, Y. J., Lee, N. K., & Kim. S. J. (2012). A comparison of color sensibility judgment in color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Focus on the respective contribution of hue and ton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26(4), 5-17. 

  35. Nam, H. K. Son, H. J., & Lee, Y. R. (2015). Effect of SPA brand consumers' emotional consumption value orientation and assessment of marketing mix attributes on brand loyal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4), 45-60. 

  36. Nam, K. S. & Han, M. S. (2004).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clothing pattern image by the personality typ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2(1), 59-72. 

  37. Park, S. J. (1999). A Study on Affective Space Model for Surface Design. Unpublished docto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8. Roh, E. K. & Kim, S. H. (2010). Subjective hand and sensibility of knit fabrics according to preference seg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10), 1611-1620. 

  39. Song, H. Y., Goo, Y. L., & Lee, J. H. (2008). Preference of neck-tie pattern designs according to male consumers' fashion life style.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1(4), 498-500. 

  40. Suk, H. J., & Irtel, H. (2010). Emotional response to color across media.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35(1), 64-77. 

  41. Whang, M. W. (2006). Study on the Innovativeness of Consumer and Propensity of Emotional Consumption Value in the Adoption of a New Product: A Broadband User Approach. Unpublished doctor's thesis, Jungang University, Seoul. 

  42. Yi, E. J. & Choi, J. M. (2009). Color sensibility factors for yellowish and reddish natural dyed fabrics by 40s middle-aged consumers.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2(1), 109-120. 

  43. You, K. S. & Lee, M. H. (1997). A study on clothing pattern preferences associated with sex role identity, gender, and 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3, 255-2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