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주지 주변의 식품환경과 비만의 관련성 연구: 2013 전국사업체조사와 2013-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s between Exposure to Unhealthy Food Outlets Within Residential District and Obesity: Using Data from 2013 Census on Establishments and 2013-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5, 2016년, pp.463 - 476  

김윤정 (질병관리본부 건강영양조사과) ,  한성림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Environmental, social and personal factors influence eating pattern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healthy food outlets within a residential area and obesity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Korean survey data and data from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거주지 주변의 불건강음식점 수에 따라 영양소 섭취량, 식품섭취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거주지 주변의 불건강 음식점 수와 비만발생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거주지 주변의 불건강음식점은 건강하지 않은 식품의 섭취와 비만발생과 양의 상관계가 나타났으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거주지 주변의 불건강음식점 수에 따라 영양소 섭취량, 식품섭취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거주지 주변의 불건강 음식점 수와 비만발생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거주지 주변의 불건강음식점은 건강하지 않은 식품의 섭취와 비만발생과 양의 상관계가 나타났으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거주지 주변의 식품환경 특히 불건강음식점의 분포 정도가 식품 섭취와 비만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불건강음식점이 많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은 라면, 피자, 햄버거, 빵, 치킨, 과자 섭취가 높았으며, 비만 발생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 섭취량 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 거주지역의 전국 식당 정보가 포함된 전국사업체조사(Census on Establishments, CE) 자료를 활용하여 거주지 주변의 불건강음식점의 분포정도에 따른 식품섭취량을 비교해 보고, 비만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한다.

가설 설정

  • 2) The p for trend obtained to trend as the levels of the predictor variable increas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학적 모형에서 개인의 행동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생태학적 모형(Ecological models)에 의하면 개인의 행동이란 개인, 물리적 환경(집, 학교, 음식점 등), 거시적 환경(사회 및 문화적인 규범, 대중매체, 정책 등)의 다양한 다수준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1]. 이러한 이론에 근거하여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 미국 의학연구소(IOM: Institute of Medicine)[3], 국제 비만특별대책팀(IOTF: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4], 미국 질병관리본부(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5]에서는 개인의 식행동, 신체활동, 체중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으로 개인과 환경수준의 복합적인 측면을 고려한 사회생태학적 접근을 강조하였다.
지역사회의 식생활 환경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된 것은? 식품환경(Food environment)이란 지역사회, 가정, 음식점, 학교, 직장, 미디어 및 정보 등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물리적 환경에서의 식생활 관련 요인을 의미하며[6], 미국 국립 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7] 및 캐나다의 보건복지부(Health Canada) [8]에서는 식품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 및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지역사회의 식품환경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음식점의 밀집도(density), 거리(proximity), 수(count), 비율(ratio), 존재여부(presence) 등을 사용하였으며[6,9-12], 식품환경과 개인의 식품섭취 및 비만발생이 관련이 있음을 미국, 영국, 호주 등에서 밝혀 왔다. 슈퍼마켓이 많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은 과일과 채소를 많이 섭취하고, 패스트푸드는 적게 섭취하였으며[13], 패스트푸드점과 가까운 거리에 거주할 수록 패스트푸드 섭취 빈도가 높았고[14], 패스트푸드점이 많이 밀집되어 있거나, 가까운 거리에 거주하는 사람은 비만 발생 위험이 높다고 보고[15-18]하였다.
식품환경이란? 식품환경(Food environment)이란 지역사회, 가정, 음식점, 학교, 직장, 미디어 및 정보 등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물리적 환경에서의 식생활 관련 요인을 의미하며[6], 미국 국립 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7] 및 캐나다의 보건복지부(Health Canada) [8]에서는 식품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 및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지역사회의 식품환경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음식점의 밀집도(density), 거리(proximity), 수(count), 비율(ratio), 존재여부(presence) 등을 사용하였으며[6,9-12], 식품환경과 개인의 식품섭취 및 비만발생이 관련이 있음을 미국, 영국, 호주 등에서 밝혀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Story M, Kaphingst KM, Robinson-O'Brien R, Glanz K. Creating healthy food and eating environments: policy and environmental approaches. Annu Rev Public Health 2008; 29: 253-272. 

  2.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strategy on diet,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Internet]. [cited 2016 Sep 21]. Available from: http://www.who.int/dietphysicalactivity/. 

  3. Institute of Medicine. Health and Behavior: The Interplay of Biological, Behavioral, and Societal Influenc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1. 

  4. Kumanyika S, Jeffery RW, Morabia A, Ritenbaugh C, Antipatis VJ. Obesity prevention: the case for action. Int J Obes 2002; 26(3): 425-436. 

  5. Koplan JP, Dietz WH. Caloric imbalance and public health policy. JAMA 2000; 282(16): 1579-1581. 

  6. Glanz K, Sallis JF, Saelens BE, Frank LD. Healthy nutrition environments: concepts and measures. Am J Health Promot 2005; 19(5): 330-333. 

  7. National Cancer Institute (US). Measures of the food environment [Internet].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6 [cited 2016 Sep 21]. Available from: http://epi.grants.cancer.gov/mfe./ 

  8. Health Canada. Measuring the Food Environment in Canada [Internet]. Health Canada; 2013 [cited 2016 Sep 21]. Available from: http://www.hc-sc.gc.ca/fn-an/nutrition/pol/som-ex-sum-environ-eng.php. 

  9. Charreire H, Casey R, Salze P, Simon C, Chaix B, Banos A et al. Measuring the food environment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a methodological review. Public Health Nutr 2010; 13(11): 1773-1785. 

  10. Fraser LK, Edwards KL, Cade J, Clarke GP. The geography of fast food outlets: a review.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0; 7(5): 2290-2308. 

  11. Fleischhacker SE, Evenson KR, Rodriguez DA, Ammerman AS. A systematic review of fast food access studies. Obes Rev 2011; 12(5): e460-e471. 

  12. McKinnon RA, Reedy J, Morrissette MA, Lytle LA, Yaroch AL. Measures of the food environment: a compilation of the literature, 1990-2007. Am J Prev Med 2009; 36(4): S124-S133. 

  13. Athens JK, Duncan DT, Elbel B. Proximity to fast-food outlets and supermarkets as predictors of fast-food dining frequency. J Acad Nutr Diet 2016; 116(8): 1266-1275. 

  14. Sharkey JR, Johnson CM, Dean WR, Horel SA. Association between proximity to and coverage of traditional fast-food restaurants and non-traditional fast-food outlets and fast-food consumption among rural adults. Int J Health Geogr 2011; 10(1): 37. 

  15. Kruger DJ, Greenberg E, Murphy JB, DiFazio LA, Youra KR. Local concentration of fast-food outlets is associated with poor nutrition and obesity. Am J Health Promot 2014; 28(5): 340-343. 

  16. Reitzel LR, Regan SD, Nguyen N, Cromley EK, Strong LL, Wetter DW et al. Density and proximity of fast food restaurants and body mass index among African Americans. Am J Public Health 2014; 104(1): 110-116. 

  17. Hollands S, Campbell MK, Gilliland J, Sarma S. Association between neighbourhood fast-food and full-service restaurant density and body mass index: a cross-sectional study of Canadian adults. Can J Public Health 2014; 105(3): e172-e178. 

  18. Hollands S, Campbell MK, Gilliland J, Sarma S. A spatial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restaurant density and body mass index in Canadian adults. Prev Med 2013; 57(4): 258-264. 

  19. De Vogli R, Kouvonen A, Gimeno D. 'Globesization': ecological evi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st food outlets and obesity among 26 advanced economies. Crit Public Health 2011; 21(4): 395-402.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1. Lee Y, Shim JE, Yoon JH. Change of children's meal structure in terms of temporal and spatial dimensions :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of 1998 and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1): 109-118. 

  22. Heo GJ, Nam SY, Lee SK, Chung SJ, Yoon JH.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energy/low nutrient food consumption and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2): 226-242. 

  23. Statistics Korea. 1994-2014 Census on Establishments [Internet].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6 Sep 21]. Available from: https://mdis.kostat.go.kr. 

  24. Kweon S, Kim Y, Jang MJ, Kim Y, Kim K, Choi S et al. Data resource profil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 J Epidemiol 2014; 43(1): 69-77. 

  25. Macintyre S, McKay L, Cummins S, Burns C. Out-of-home food outlets and area deprivation: case study in Glasgow, UK. Int J Behav Nutr Phys Act 2005; 2(1): 16. 

  26. Macintyre S, Macdonald L, Ellaway A. Do poorer people have poorer access to local resources and facilities? The distribution of local resources by area deprivation in Glasgow, Scotland. Soc Sci Med 2008; 67(6): 900-914. 

  27. Thornton LE, Crawford DA, Ball K. Neighbourhood-socioeconomic variation in women's diet: The role of nutrition environments. Eur J Clin Nutr 2010; 64(12): 1423-1432. 

  28. Block JP, Scribner RA, DeSalvo KB. Fast food, race/ethnicity, and income: a geographic analysis. Am J Prev Med 2004; 27(3): 211-217. 

  29. Cummins S, McKay L, MacIntyre S. McDonald"s restaurants and neighborhood deprivation in Scotland and England. Am J Prev Med 2005; 29(4): 308-310. 

  30. Lewis L, Sloane D, Nascimento L, Diamant A, Guinyard J, Yancey A et al. African Americans" access to healthy food options in south Los Angeles restaurants. Am J Public Health 2005; 95(4): 668-673. 

  31. Macdonald L, Cummins S, Macintyre S. Neighbourhood fast food environment and area deprivation substitution or concentration? Appetite 2007; 49(1): 251-254. 

  32. Pearce J, Blakely T, Witten K, Bartie P. Neighborhood deprivation and access to fast-food retailing: a national study. Am J Prev Med 2007; 32(5): 375-382. 

  33. Hemphill E, Raine K, Spence J, Smoyer-Tomic K. Exploring obesogenic food environments in Edmonton, Canada: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fast-food outlet access. Am J Health Promot 2008; 22(6): 426-432. 

  34. Smoyer-Tomic K, Spence J, Raine K, Amrhein C, Cameron N, Yasenovskiy V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and exposure to supermarkets and fast food outlets. Health Place 2008; 14(4): 740-754. 

  35. Kim SA, Choe JS, Joung H, Jang MJ, Kim Y, Lee SE. Comparison of the distribution and accessibility of restaurants in urban area and rural area. J Nutr Health 2014; 47(6): 475-483. 

  36. Joo, S, Ju S, Chang H. Comparison of fast food consumption and dietary guideline practic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by clustering of fast food outlets around schools in the Gyeonggi area of Korea. Asia Pac J Clin Nutr 2015; 24(2): 299-307. 

  37. Chung SJ, Kang SH, Song SM, Ryu SH, Yoon J. Nutritional quality of Korean adults' consumption of lunch prepared at home, commercial places, and institutions: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2006; 39(8): 841-849. 

  38. Suh Y, Kang J, Kim H, Chung YJ.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of the Daejeon metropolitan citizens by frequency of eating out. Korean J Nutr 2010; 43(2): 171-180. 

  39. Lee HS. Studies on salt intake through eat-out foods in Andong area. Korean J Soc Food Sci 1997; 13(3): 314-318. 

  40. Polsky JY, Moineddin R, Dunn JR, Glazier RH, Booth GL. Absolute and relative densities of fast-food versus other restaurants in relation to weight status: Does restaurant mix matter? Prev Med 2016; 82: 28-34. 

  41. Thornton LE, Lamb KE, Ball K. Employment status, residential and workplace food environments: associations with women's eating behaviours. Health Place 2013; 24: 80-89. 

  42. Burgoine T, Forouhi NG, Griffin SJ, Wareham NJ, Monsivais P. Associations between exposure to takeaway food outlets, takeaway food consumption, and body weight in Cambridgeshire, UK: Population based, cross-sectional study. BMJ 2014; 348: g1464. 

  43. Rundle A, Neckerman KM, Freeman L, Lovasi GS, Purciel M, Quinn J et al. Neighborhood food environment and walkability predict obesity in New York City. Environ Health Perspect 2009; 117(3): 442-4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