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텀업 기반의 반도체 나노와이어 합성방법 및 응용소자 연구
Application of Semiconductor Nanowires Based on Bottom-up Growth 원문보기

진공 이야기 = Vacuum magazine, v.3 no.3, 2016년, pp.10 - 14  

이원우 (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양동원 (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박원일 (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miconductor nanowires (NWs) refer to one-dimensional semiconductor materials that have a diameter constrained to tens of nanometers or less and an unconstrained length. Over the past few decades, most efforts in the semiconductor NWs have been focused on synthesis, structure and morphology control...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바텀업 기반의 단결정 나노와이어 합성방법인 금속촉매 기반의 VLS법 (Vapor-Liquid-Solid method), 비촉매 화학기상증창법, 액상공정법 등에 대해 소개하고, 나노 와이어의 위치 및 방향, 형상 및 구조 등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이용한 나노미터 크기의 초미세 바이오센서, 발광다이오드 (LED), 3차원 구조 구현 등에 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지난 십 수년간 나노와이어 합성, 구조 및 형상 제어, 나노와이어 배열 등 다양한 이슈들이 심도 있게 연구되었으며, 나노스케일의 반도체 와이어가 가지는 뛰어난 기계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 때문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태양전지, 발광다이오드(LED), 센서, 레이저, 등 다양한 응용 소자들이 개발되었다 [1-3].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바텀업 기반의 단결정 나노와이어 합성방법인 금속촉매 기반의 VLS법 (Vapor-Liquid-Solid method), 비촉매 화학기상증창법, 액상공정법 등에 대해 소개하고, 나노 와이어의 위치 및 방향, 형상 및 구조 등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이용한 나노미터 크기의 초미세 바이오센서, 발광다이오드 (LED), 3차원 구조 구현 등에 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반도체 나노와이어의 다양한 합성방법 및 이와 관련된 응용소자 연구의 최신동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VLS, MOCVD법과 같은 화학기상증착공정 및 액상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산화아연, 질화갈륨 등 다양한 반도체 나노와이어의 성장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노와이어를 원하는 기판에 전사시키는 기술의 예는? VLS법으로 성장시킨 나노와이어를 응용한 소자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나노와이어를 원하는 기판에 전사시키는 기술과 방향 및 밀도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미세유체 배열(Microfluidic alignment), 밀착프린팅(contactprinting), 유전이동(dielectrophoresis), 자가조립 (Self-assembly)법 등 이외의 수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었고 현재도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다양한 나노와이어 배열 방법 중, 그림 1에서 소개하고 있는 내용은 기존의 밀착프린팅법을 개선 한 최신 연구내용으로 좀더 정교한 대면적 나노와이어 배열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주목을 받은 연구이다.
반도체 나노와이어의 직경은? 반도체 나노와이어는 일반적으로 수~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직경을 가지며, 실리콘 등의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져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1차원 구조체를 일컫는다. 이러한 반도체 나노와이어는 구조적으로 표면적이 넓고, 유연성을 가진 물질로써 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은 크기의 집적소자를 만들기에 유리하다.
반도체 나노와이어의 구조적으로 유리한점은? 반도체 나노와이어는 일반적으로 수~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직경을 가지며, 실리콘 등의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져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1차원 구조체를 일컫는다. 이러한 반도체 나노와이어는 구조적으로 표면적이 넓고, 유연성을 가진 물질로써 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은 크기의 집적소자를 만들기에 유리하다. 지난 십 수년간 나노와이어 합성, 구조 및 형상 제어, 나노와이어 배열 등 다양한 이슈들이 심도 있게 연구되었으며, 나노스케일의 반도체 와이어가 가지는 뛰어난 기계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 때문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태양전지, 발광다이오드(LED), 센서, 레이저, 등 다양한 응용 소자들이 개발되었다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 K. Kim, K. D. Song, T. J. Kempa, R. W. Day, C. M. Lieber, H. G. Park, Acs Nano 8, 3707 (2014). 

  2. W. Shim, J. Yao, C. M. Lieber, Nano letters 14, 5430 (2014). 

  3. Q. Zhang, G. Li, X. Liu, F. Qian, Y. Li, T. C. Sum, C. M. Lieber, Q. Xiong, Nature communications 5, 4953 (2014). 

  4. J. Yao, H. Yan, C. M. Lieber, Nature nanotechnology 8, 329 (2013). 

  5. L. Chen, W. Lu, C. M. Lieber, 1 (2014). 

  6. L. Xu., Z. Jiang., L. Mai., Q. Qing., Nano letters 14, 3602 (2014). 

  7. K. Chung, H. Beak, Y. Tchoe, H. Oh, H. Yoo, M. Kim, G. C. Yi, Apl Materials 2, (2014). 

  8. Y. J. Hong, C. H. Lee, A. Yoon, M. Kim, H. K. Seong, H. J. Chung, C. Sone, Y. J. Park, G. C. Yi, Advanced materials 23, 3284 (2011). 

  9. Y. J. Kim, H. Yoo, C. H. Lee, J. B. Park, H. Baek, M. Kim, G. C. Yi, Advanced materials 24, 5565 (2012). 

  10. C. H. Lee, Y. J. Kim, Y. J. Hong, S. R. Jeon, S. Bae, B. H. Hong, G. C. Yi, Advanced materials 23, 4614 (2011). 

  11. C. H. Lee, J. Yoo, Y. J. Hong, J. Cho, Y. J. Kim, S. R. Jeon, J. H. Baek, G. C. Yi, Applied Physics Letters 94, (2009). 

  12. H. Oh, Y. J. Hong, K. S. Kim, S. Yoon, H. Baek, S. H. Kang, Y. K. Kwon, M. Kim, G. C. Yi, Npg Asia Mater 6, (2014). 

  13. W. I. Park, D. H. Kim, S. W. Jung, G.-C. Yi, Applied Physics Letters 80, 4232 (2002). 

  14. W. I. Park, G. C. Yi, M. Kim, S. J. Pennycook, Advanced materials 15, 526 (2003). 

  15. K. S. Kim, H. Jeong, M. S. Jeong, G. Y. Jung,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 3055 (2010). 

  16. W. W. Lee, J. Yi, S. B. Kim, Y.-H. Kim, H.-G. Park, W. I. Park, Crystal Growth & Design 11, 4927 (2011). 

  17. Z. R. Tian, J. A. Voigt, J. Liu, B. McKenzie, M. J. McDermott, M. A. Rodriguez, H. Konishi, H. Xu, Nature materials 2, 821 (2003). 

  18. H. Zhang, D. R. Yang, D. S. Li, X. Y. Ma, S. Z. Li, D. L. Que, Crystal Growth & Design 5, 547 (2005). 

  19. J. M. Lee, Y. S. No, S. Kim, H. G. Park, W. I. Park, Nature communications 6, 6325 (2015). 

  20. W. W. Lee, S. Chang, D. W. Yang, J. M. Lee, H.-G. Park, W. I. Park, CrystEngComm, (2016). 

  21. M. S. Kang, C.-H. Lee, J. B. Park, H. Yoo, G.-C. Yi, Nano Energy 1, 391 (2012). 

  22. C. Pan, L. Dong, G. Zhu, S. Niu, R. Yu, Q. Yang, Y. Liu, Z. L. Wang, Nature Photonics 7, 752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