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족관절 불안정증에서 건이식을 이용한 외측 인대 재건술의 적응증
The Indication of Ankle Lateral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Tendon Graft in Chronic Ankle Instability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20 no.1, 2016년, pp.12 - 18  

박재용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  최기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산병원) ,  조재호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  강찬 (충남대학교병원) ,  최경진 (최경진정형외과) ,  정진화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  김학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  배서영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  차승도 (새움병원) ,  김기천 (서울의료원) ,  한승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  2015 대한족부족관절학회 보험장애판정위원회 (대한족부족관절학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ndications of ankle lateral complex reconstruction using tendon graft. Materials and Methods: We searched PubMed using the index, "ankle, instability, lateral ligament, reconstruction" from 1990 to present (September 30, 2015). We excluded 1) mo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 이러한 수술이 많이 이용되고 있음에도 그 적응증에 대한 논의가 별로 없으며, 따라서 심사평가원의 보험 급여나 개별 사보험의 급여에 있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그때마다 개별 의사가 그 적응증을 제시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대한족부족관절학회 보험장애판정위원회(2015)에서는 현재 발표된 여러 논문을 조사하고, 대한족부족관절학회 평의원들의 의견을 모아서 건을 이용한 인대 재건술의 적응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활동은 개별 의사가 제시하지 못하는 최신의 치료 방법에 대하여 전문가 그룹의 최소한의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보험 급여자와 의사, 그리고 환자 사이의 공동 이익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향후 좀 더 객관적인 적응증 및 치료 방식을 개발하는 첫 작업으로 의미를 가질 수 있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을 이용한 외측 인대 재건술의 한계점은? 1,2) 그러나 외측 인대 복합체(lateral ligament complex)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이 증가하고, 해부학적 복원 방식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없는 상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건을 이용한 외측 인대 재건술(anatomical reconstruction or nearly anatomical reconstruction using tendon graft)에 대한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술 방법은 이전의 비해부학적 복원 방식과 달리 외측 인대 복합체의 해부학적 재건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각각의 논문에서 좋은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아직 그 추적관찰 기간이 길지 않고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변형 브로스트롬 술식(modified Brőstrom operation, MBO)과의 비교가 많지 않다. 따라서 장기 추시 결과나 MBO와의 비교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만성 불안정증에 대한 수술 요법은 어떻게 나뉘어지는가? 그러나 이러한 외측 인대 손상의 10%∼20%에서는 만성 족관절 외측 인대 불안정증이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지속적인 증상과 인대의 이완이 발생하면 수술적 치료가 고려될 수 있다. 만성 불안정증에 대한 수술 요법은 해부학적 복원 방식과 비해부학적 복원 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장기 추시에서는 해부학적 복원이 더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1,2) 그러나 외측 인대 복합체(lateral ligament complex)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이 증가하고, 해부학적 복원 방식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없는 상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건을 이용한 외측 인대 재건술(anatomical reconstruction or nearly anatomical reconstruction using tendon graft)에 대한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건을 이용한 외측 인대 재건술에 대한 보고가 증가하는 이유는? 만성 불안정증에 대한 수술 요법은 해부학적 복원 방식과 비해부학적 복원 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장기 추시에서는 해부학적 복원이 더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1,2) 그러나 외측 인대 복합체(lateral ligament complex)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이 증가하고, 해부학적 복원 방식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없는 상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건을 이용한 외측 인대 재건술(anatomical reconstruction or nearly anatomical reconstruction using tendon graft)에 대한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술 방법은 이전의 비해부학적 복원 방식과 달리 외측 인대 복합체의 해부학적 재건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각각의 논문에서 좋은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아직 그 추적관찰 기간이 길지 않고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변형 브로스트롬 술식(modified Brőstrom operation, MBO)과의 비교가 많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e Vries JS, Krips R, Sierevelt IN, Blankevoort L, van Dijk CN. Interventions for treating chronic ankle instability.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1;(8):CD004124. 

  2. Krips R, Brandsson S, Swensson C, van Dijk CN, Karlsson J. Anatomical reconstruction and Evans tenodesis of the lateral ligaments of the ankle. Clinical and radiological findings after follow-up for 15 to 30 years. J Bone Joint Surg Br. 2002;84:232-6. 

  3. Jung HG, Shin MH, Park JT, Eom JS, Lee DO, Lee SH. Anatomical reconstruction of lateral ankle ligaments using free tendon allografts and biotenodesis screws. Foot Ankle Int. 2015;36:1064-71. 

  4. Dierckman BD, Ferkel RD. Anatomic reconstruction with a semitendinosus allograft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Am J Sports Med. 2015;43:1941-50. 

  5. Kim HN, Jeon JY, Dong Q, Noh KC, Chung KJ, Kim HK, et al. Lateral ankl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the anterior half of the peroneus longus tendon.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5;23:1877-85. 

  6. Xu X, Hu M, Liu J, Zhu Y, Wang B. Minimally invasive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ankle ligaments using semitendinosus autograft or tendon allograft. Foot Ankle Int. 2014;35:1015-21. 

  7. Giannini S, Ruffilli A, Pagliazzi G, Mazzotti A, Evangelisti G, Buda R, et al. Treatment algorithm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Muscles Ligaments Tendons J. 2014;4:455-60. 

  8. Miyamoto W, Takao M, Yamada K, Matsushita T. Accelerated versus traditional rehabilitation after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reconstruction for chronic lateral instability of the ankle in athletes. Am J Sports Med. 2014;42:1441-7. 

  9. Miller AG, Raikin SM, Ahmad J. Near-anatomic allograft tenodesis of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Foot Ankle Int. 2013;34:1501-7. 

  10. Wang B, Xu XY. Minimally invasive reconstruction of lateral ligaments of the ankle using semitendinosus autograft. Foot Ankle Int. 2013;34:711-5. 

  11. Hua Y, Chen S, Jin Y, Zhang B, Li Y, Li H. Anatomical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ligaments of the ankle with semitendinosus allograft. Int Orthop. 2012;36:2027-31. 

  12. Kennedy JG, Smyth NA, Fansa AM, Murawski CD. Anatomic lateral ligament reconstruction in the ankle: a hybrid technique in the athletic population. Am J Sports Med. 2012;40:2309-17. 

  13. Jung HG, Kim TH, Park JY, Bae EJ. Anatomic reconstruction of the anterior talofibular and calcaneofibular ligaments using a semitendinosus tendon allograft and interference screws.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2;20:1432-7. 

  14. Youn H, Kim YS, Lee J, Choi WJ, Lee JW. Percutaneous lateral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allograft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Foot Ankle Int. 2012;33:99-104. 

  15. Ibrahim SA, Hamido F, Al Misfer AK, Ghafar SA, Awad A, Salem HKh, et al. Anatomical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ligaments using Gracillis tendon in chronic ankle instability; a new technique. Foot Ankle Surg. 2011;17:239-46. 

  16. Ellis SJ, Williams BR, Pavlov H, Deland J. Results of anatomic lateral ankl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tendon allograft. HSS J. 2011;7:134-40. 

  17. Ahn JH, Choy WS, Kim HY.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ankle ligament with a long extensor tendon graft of the fourth toe. Am J Sports Med. 2011;39:637-44. 

  18. Takao M, Oae K, Uchio Y, Ochi M, Yamamoto H. Anatomical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ligaments of the ankle with a gracilis autograft: a new technique using an interference fit anchoring system. Am J Sports Med. 2005;33:814-23. 

  19. Coughlin MJ, Schenck RC Jr, Grebing BR, Treme G. Comprehensive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ankle for chronic instability using a free gracilis graft. Foot Ankle Int. 2004;25:231-41. 

  20. Takahashi T, Nakahira M, Kaho K, Kawakami T. Anatomical reconstruction of chronic lateral ligament injury of the ankle using pedicle tendon of the extensor digitorum longus. Arch Orthop Trauma Surg. 2003;123:175-9. 

  21. Sugimoto K, Takakura Y, Kumai T, Iwai M, Tanaka Y.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ankle ligaments with bone-patellar tendon graft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a preliminary report. Am J Sports Med. 2002;30:340-6. 

  22. Nakata K, Shino K, Horibe S, Natsu-ume T, Mae T, Ochi T.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ligaments of the ankle using solventdried and gamma-irradiated allogeneic fascia lata. J Bone Joint Surg Br. 2000;82:579-82. 

  23. Paterson R, Cohen B, Taylor D, Bourne A, Black J.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ligaments of the ankle using semi-tendinosis graft. Foot Ankle Int. 2000;21:413-9. 

  24. Okuda R, Kinoshita M, Morikawa J, Jotoku T, Abe M. Reconstruction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using the palmaris longus tendon: is reconstruction of the calcaneofibular ligament necessary? Foot Ankle Int. 1999;20:714-20. 

  25. Horibe S, Shino K, Taga I, Inoue M, Ono K. Reconstruction of lateral ligaments of the ankle with allogeneic tendon grafts. J Bone Joint Surg Br. 1991;73:802-5. 

  26. Palladino SJ, Smith SB, Jackson JL. Plantaris tendon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ankle ligaments. J Foot Surg. 1991;30:406-13. 

  27. Beighton P, Horan F. Orthopaedic aspects of the Ehlers-Danlos syndrome. J Bone Joint Surg Br. 1969;51:444-53. 

  28. Sugimoto K, Takakura Y, Akiyama K, Kamei S, Kitada C, Kumai T. Long-term results of Watson-Jones tenodesis of the ankle. Clinical and radiographic findings after ten to eighteen years of follow-up. J Bone Joint Surg Am. 1998;80:1587-96. 

  29. Karlsson J, Bergsten T, Lansinger O, Peterson L.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ligaments of the ankle for chronic lateral instability. J Bone Joint Surg Am. 1988;70:581-8. 

  30. Jeys L, Korrosis S, Stewart T, Harris NJ. Bone anchors or interference screws? A biomechanical evaluation for autograft ankle stabilization. Am J Sports Med. 2004;32:165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