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족근관 증후군에서의 신경 전도 검사의 효용성
The Efficacy of Nerve Conduction Study on Tarsal Tunnel Syndrome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20 no.1, 2016년, pp.23 - 26  

윤지영 (가천대학교 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이경찬 (가천대학교 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오원석 (가천대학교 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홍진헌 (가천대학교 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곽지훈 (가천대학교 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박홍기 (가천대학교 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Nerve conduction study (NCS) test is a standard diagnostic study of the tarsal tunnel syndr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the NCS and postoperative clinical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2004 to July 2015, 104 patients were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리고 족근관 증후군의 수술적 치료 시 완치율도 50%∼90%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족근관 증후군의 진단 검사 중 신경 전도 검사가 표준 진단 검사로 여겨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신경 전도 검사와 수술 후 예후와의 연관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족근관 증후군이란? 족근관 증후군은 하지에서 가장 많이 보고되는 신경 포착 증후군의 하나로, 60%∼80%1)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발병률에 대하여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리고 족근관 증후군의 수술적 치료 시 완치율도 50%∼90%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족근관 증후군 수술 후 완치율은? 족근관 증후군은 하지에서 가장 많이 보고되는 신경 포착 증후군의 하나로, 60%∼80%1)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발병률에 대하여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리고 족근관 증후군의 수술적 치료 시 완치율도 50%∼90%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족근관 증후군의 진단 검사 중 신경 전도 검사가 표준 진단 검사로 여겨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신경 전도 검사와 수술 후 예후와의 연관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족근관 증후군의 주원인으로 Sammarco와 Chang이 꼽은 것은? 족근관 증후군의 원인으로는 결절종,5) 지방종,7) 신경종,8) 건초염, 정맥류 등의 압박 이상 구조물(space occupying lesion)과 거종 결합, 반흔, 종골 골절의 부정 유합,9) 거골 골절,10) 부속근육,11) 장무 지 굴곡근 비대,12) 건막염성 골연골증(tenosynovial osteochondromatosis),13) 복막 투석 환자에서의 아밀로이드증(amyloidosis)14) 등 여러 가지 보고가 있으며, 60%∼80%에서 원인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1) Sammarco와 Chang15)은 가장 주된 원인으로 혈관벽과 신경 및 주위 조직의 반흔을 꼽았으며, 이는 정맥류가 아닌 정상 혈관에도 발생할 수 있는데 환자가 오래 서 있을 경우에 하지 부종이 발생하여 만성적으로 신경을 누르게 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Cimino16)는 정맥류는 주로 환자가 서 있을 때 증상이 발생하므로,유발 검사 및 정맥 지혈대(venous tourniquet) 개념을 주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au JT, Daniels TR. Tarsal tunnel syndrome: a review of the literature. Foot Ankle Int. 1999;20:201-9. 

  2. Kinoshita M, Okuda R, Morikawa J, Jotoku T, Abe M. The dorsiflexion-eversion test for diagnosis of tarsal tunnel syndrome. J Bone Joint Surg Am. 2001;83:1835-9. 

  3. Gondring WH, Shields B, Wenger S. An outcomes analysis of surgical treatment of tarsal tunnel syndrome. Foot Ankle Int. 2003;24:545-50. 

  4. Lee CH, Dellon AL. Prognostic ability of Tinel sign in determining outcome for decompression surgery in diabetic and nondiabetic neuropathy. Ann Plast Surg. 2004;53:523-7. 

  5. Takakura Y, Kumai T, Takaoka T, Tamai S. Tarsal tunnel syndrome caused by coalition associated with a ganglion. J Bone Joint Surg Br. 1998;80:130-3. 

  6. Kim DH, Ryu S, Tiel RL, Kline DG. Surgical management and results of 135 tibial nerve lesions at the Louisiana State University Health Sciences Center. Neurosurgery. 2003;53:1114-24; discussion 1124-5. 

  7. Myerson M, Soffer S. Lipoma as an etiology of tarsal tunnel syndrome: a report of two cases. Foot Ankle. 1989;10:176-9. 

  8. Tsai CC, Lin TM, Lai CS, Lin SD. Tarsal tunnel syndrome secondary to neurilemoma--a case report. Kaohsiung J Med Sci. 2001;17:216-20. 

  9. Manasseh N, Cherian VM, Abel L. Malunited calcaneal fracture fragments causing tarsal tunnel syndrome: a rare cause. Foot Ankle Surg. 2009;15:207-9. 

  10. Stefko RM, Lauerman WC, Heckman JD. Tarsal tunnel syndrome caused by an unrecognized fracture of the posterior process of the talus (Cedell fracture). A case report. J Bone Joint Surg Am. 1994;76:116-8. 

  11. Sammarco GJ, Conti SF. Tarsal tunnel syndrome caused by an anomalous muscle. J Bone Joint Surg Am. 1994;76:1308-14. 

  12. Rodriguez D, Devos Bevernage B, Maldague P, Deleu PA, Leemrijse T. Tarsal tunnel syndrome and flexor hallucis longus tendon hypertrophy. Orthop Traumatol Surg Res. 2010;96:829-31. 

  13. Sugimoto K, Iwai M, Kawate K, Yajima H, Takakura Y. Tenosynovial osteochondromatosis of the tarsal tunnel. Skeletal Radiol. 2003;32:99-102. 

  14. Sekiya H, Arai Y, Sugimoto N, Sasanuma H, Hoshino Y. Tarsal tunnel syndrome caused by a talocalcaneal joint amyloidoma in a long-term haemodialysis patient: a case report. J Orthop Surg (Hong Kong). 2006;14:350-3. 

  15. Sammarco GJ, Chang L. Outcome of surgical treatment of tarsal tunnel syndrome. Foot Ankle Int. 2003;24:125-31. 

  16. Cimino WR. Tarsal tunnel syndrome: review of the literature. Foot Ankle. 1990;11:47-52. 

  17. Baylan SP, Paik SW, Barnert AL, Ko KH, Yu J, Persellin RH. Prevalence of the tarsal tunnel syndrome in rheumatoid arthritis. Rheumatol Rehabil. 1981;20:148-50. 

  18. Olivieri I, Gemignani G, Siciliano G, Gremignai G, Pasero G. Tarsal tunnel syndrome in seronegative spondyloarthropathy. Br J Rheumatol. 1989;28:537-9. 

  19. Frey C, Kerr R.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the evaluation of tarsal tunnel syndrome. Foot Ankle. 1993;14:159-64. 

  20. Reade BM, Longo DC, Keller MC. Tarsal tunnel syndrome. Clin Podiatr Med Surg. 2001;18:395-408. 

  21. Oh SJ, Arnold TW, Park KH, Kim DE. Electrophysiological improvement following decompression surgery in tarsal tunnel syndrome. Muscle Nerve. 1991;14:407-10. 

  22. Pfeiffer WH, Cracchiolo A 3rd. Clinical results after tarsal tunnel decompression. J Bone Joint Surg Am. 1994;76:1222-30. 

  23. Dumitru D, Kalantri A, Dierschke B.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of the medial and lateral plantar and calcaneal nerves. Muscle Nerve. 1991;14:665-71. 

  24. Felsenthal G, Butler DH, Shear MS. Across-tarsal-tunnel motor-nerve conduction technique. Arch Phys Med Rehabil. 1992;73:64-9. 

  25. DiStefano V, Sack JT, Whittaker R, Nixon JE. Tarsal-tunnel syndrome.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wo case reports. Clin Orthop Relat Res. 1972;88:76-9. 

  26. Oh SJ, Kim HS, Ahmad BK. The near-nerve sensory nerve conduction in tarsal tunnel syndrom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85;48:999-1003. 

  27. Takakura Y, Kitada C, Sugimoto K, Tanaka Y, Tamai S. Tarsal tunnel syndrome. Causes and results of operative treatment. J Bone Joint Surg Br. 1991;73:125-8. 

  28. Goodgold J, Kopell HP, Spielholz NI. The tarsal-tunnel syndrome. Objective diagnostic criteria. N Engl J Med. 1965;273:742-5. 

  29. Le Quesne PM, Casey EB. Recovery of conduction velocity distal to a compressive lesion.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74;37:1346-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