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연성 PET 섬유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부착 및 휨 거동
Bond and Flexural Behavior of RC Beams Strengthened Using Ductile PET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20 no.6, 2016년, pp.30 - 39  

박혜선 (한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전공) ,  김소영 (한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전공) ,  임명관 (송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최동욱 (한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고연성과 낮은 탄성계수를 갖는 PET 섬유로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부착특성과 휨거동을 각각 부착실험 및 휨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부착실험은 CSA S806에 따라 수행하였고, 실험변수는 섬유 종류와 보강량(CFGF 시트 각 1겹, PET 시트 10겹)이었다. 총 8개의 보 실험에서 주요 실험변수는 단면의 연성비(${\mu}=3.4$, 7.0), 보강섬유 종류(CF, GF, PET) 및 보강량이었다. 보 단면의 모멘트-곡율 해석을 병행하였다. 부착실험의 결과, CF, GF 시트 1겹 보강에서 유효 부착길이는 각각 120, 60 mm 이었고 최대부착응력은 각각 3.25, 2.99 MPa 이었다. PET 10겹 보강에서 유효 부착길이는 60 mm, 최대 및 평균 부착응력은 각각 2.30, 2.10 MPa 이었다. 또한 최대 강도 시 CF, GF, PET의 변형율은 각각 0.36%, 0.49%, 6.29% 였으며 CF, GF 부착실험체는 계면에서 시트가 최종적으로 탈락하였지만 PET 부착 실험체에서 박리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휨실험의 결과, PET 10, 20, 30겹으로 보강한 RC 보의 휨강도, 휨강성이 모두 무보강 보에 비해 증가하였고, 연성적인 휨파괴 양상을 보였으나 PET 30겹의 경우 20겹에 비하여 연성이 감소하였다. 모멘트-곡율 해석의 결과, PET 보강 보에서 접착제의 물성을 해석에 포함시키면 해석의 정확도가 향상하였다. 한편 PET 의 내구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문헌이 없어서 현재 연구 진행 중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flexural performance and bond characteristics of RC beams strengthened using ductile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with low elastic modulus. Bond tests were planned and completed following CSA S806. Test variables were fiber type and fiber amou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고연성 PET 섬유를 다루므로, 접착제 역시 가능한 한 연성이 큰 접착제를 사용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총 4종의 상용 접착제에 대해 ASTM D638에 따라 인장시험을 각 5회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ASTM D638-08, 200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ET의 특징은 무엇인가? PET는 변형율이 15%에 달하는 고연성 섬유이며, 인장강도도 비교적 우수하지만 탄성계수가 매우 낮다. PET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거동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수행되어 왔다(Anggawidjaja et al.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로 보강된 휨부재는 어떤 위험성을 가질 수 있는가? 우리나라에서 철근콘크리트 보 및 슬래브 등 휨부재의 보강에 많이 사용하는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는 강도, 강성, 경량성 등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고 있으나, 연신율은 1~3% 수준이다. 따라서 이러한 낮은 변형률의 섬유로 보강된 휨부재는 취성파괴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Kim et al.
우리나라에서 철근콘크리트 보 및 슬래브 등 휨부재의 보강에 많이 사용하는 탄소섬유와 유리섬유의 특징은? 우리나라에서 철근콘크리트 보 및 슬래브 등 휨부재의 보강에 많이 사용하는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는 강도, 강성, 경량성 등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고 있으나, 연신율은 1~3% 수준이다. 따라서 이러한 낮은 변형률의 섬유로 보강된 휨부재는 취성파괴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CI 440.1R-06 (2006), Guide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Concrete Reinforced with FRP Bars, ACI Committee 440, American Concrete Institute, Detroit, MI. 

  2. ACI 440.2R-08 (2008), Guide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Externally Bonded FRP Systems for Strengthening Concrete Structures, ACI Committee 440, American Concrete Institute, Detroit, MI. 

  3. Anggawidjaja, D., Ueda, T., Dai, J., and Nakai, H. (2006), Deformation Capacity of RC Piers Wrapped by New Fiber-reinforced Polymer with Large Fracture Strain.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28, 914-927. 

  4. ASTM D638-08 (2008), Standard Test Method for Tensile Properties of Plastics, American Society of Testing and Materials, West Conshohocken, PA. 

  5. CSA S806 (2012), Design and Construction of Building Structures with Fibre-reinforced Polymers, Canadian Standard Association. 

  6. ISO 10406-2 (2015), Fibre-reinforced polymer (FRP) reinforcement of concrete-Test methods-Part. 2: FRP sheets, Geneva, Switzerland. 

  7. Kim, J. Y., Kim, K. S., Park, S. K., and Lee, Y. J. (2007), Behavior and Ductility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by CFRP. Journal of Korea Concrete Institute, 19(2), 225-231. 

  8. Ko, H. B. (2006), Bond Characteristics between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Sheet and Corcret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tructural Division, 22(8), 69-76. 

  9. Nakaba, K., Kanakubo, T., Furuta, T., and Yoshizawa, H. (2001), Bond Behavior between Fiber-Reinforced Polymer Laminates and Concrete. ACI Structural Journal, 98(3), 1-9. 

  10. Sorrasak Vachirapanyakun, Lim, M. K., and Choi, D. U. (2016), Seismic Performance of Circular RC Columns Retrofitted Using Ductile PET Fibers. Journal of Korea Concrete Institute, 28(3), 279-288. 

  11. Teng, J. G., Chen, J. F., Smith, S. T., and Lam, L. (2002), FRP STRENGTHENED RC STRUCTURES, Wiley. 

  12. You, Y. C., Choi, K. S., and Kim, K. H. (2007), An Experimental Study to Prevent Debonding Failure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GFRP Sheets. Journal of Korea Concrete Institute, 19(6), 677-6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