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9 no.11, 2016년, pp.716 - 719
임영택 (인하대학교 전기공학과) , 이선우 (인하공업전문대학 전기정보과)
In this paper, we fabricated flexible CNT/PVDF (carbon nanotube / polyvinylidene fluoride) piezoelectric composite device with flexible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 polystyrene sulfonate (PEDOT:PSS) conducting polymer electrode using spray coating method. We tried to improve the piezoelectric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PVDF 압전소자에서 압전출력은 어디서 어디까지 이동하는가? | PVDF 압전소자에서 압전출력은 압전특성을 가지는 β형 PVDF 결정에서 형성되어 전극과 전선을 통해 배터리 또는 부하까지 이동한다. 형성된 전하량이 일정하다고 할 경우에, 이동하는 경로인 전극과 전선에서의 저항을 작게 하여야 효율적으로 전하를 이동시킬 수 있다. | |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극의 전기전도도를 극대화하여 압전소자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는? | PVDF 압전소자에서 압전출력은 압전특성을 가지는 β형 PVDF 결정에서 형성되어 전극과 전선을 통해 배터리 또는 부하까지 이동한다. 형성된 전하량이 일정하다고 할 경우에, 이동하는 경로인 전극과 전선에서의 저항을 작게 하여야 효율적으로 전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극의 전기전도도를 극대화하여 압전소자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
CNT/PVDF 압전 복합막은 어떻게 제작하는가? | CNT/PVDF 압전 복합막은 PVDF 용액과 0.075 wt%의 분산된 CNT 용액을 혼합하여 제작한 CNT/ PVDF 혼합 용액을 스프레이 코팅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12]. 본 연구에서 제작한 CNT/PVDF 압전 복합막을 유연소자에 응용하기 위해 PEDOT:PSS 전도성 고분자를 전극으로 사용하였으며, 스프레이 코팅법을 이용하여 압전 복합막의 양면에 증착하였다. |
R. Yang, Y. Qin, C. Li, G. Zhu, and Z. L. Wang, Nano Lett., 9, 1201 (2009). [DOI: http://dx.doi.org/10.1021/nl803904b]
P. Ueberschlag, Sensor Review, 21, 118 (2001). [DOI: http://dx.doi.org/10.1108/02602280110388315]
W. Ma, J. Zhang, S. Chen, and X. Wang, J. Macromol. Sci. Phys., B47, 434 (2008). [DOI: http://dx.doi.org/10.1080/00222340801954811]
B. Mohammadi, A. A. Yousefi, and S. M. Bellah, Polym. Test., 26, 42 (2007). [DOI: http://dx.doi.org/10.1016/j.polymertesting.2006.08.003]
L. Li, B. Li, M. A. Hood, and C. Y. Li, Polymer, 50, 953 (2009). [DOI: http://dx.doi.org/10.1016/j.polymer.2008.12.031]
J. J. Peterson, M. Werre, Y. C. Simon, E. B. Coughlin, and K. R. Carter, Macromolecules, 42, 8594 (2009). [DOI: http://dx.doi.org/10.1021/ma901703r]
N. Lim, B. Lee, D. Choi, G. Kim, H. Kim. J. Kim, J. Lee, Y. Kahng, and K. Lee, American Physical Society., 109, 106405 (2012).
A. J. Heeger, Rev. Mod. Phys., 73, 681 (2001). [DOIl http://dx.doi.org/10.1103/RevModPhys.73.681]
A. Lenza, H. Kariisc, A. Pohlc, P. Perssonb, and L. Ojamaea, Chem. Phys., 384, 44 (2011). [DOI: http://dx.doi.org/10.1016/j.chemphys.2011.05.003]
K. E. Aasmundtveit, E. J. Samuelsen, L.A.A. Pettersson, O. Inganas, T. Johansson, and R. Feidenhans'l, Synth. Met., 101, 561 (1999). [DOI: http://dx.doi.org/10.1016/S0379-6779(98)00315-4]
J. Ouyang, Q. Xu, C. W. Chu, Y. Yang, G. Li, and J. Shinar, Polymer, 45, 8443 (2004). [DOI: http://dx.doi.org/10.1016/j.polymer.2004.10.001]
S. Lee,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28, 462 (2015). [DOI: http://dx.doi.org/10.4313/JKEM.2015.28.7.46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