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지 공저자 네트워크 특성에 관한 연구
Co-author Network Characteristics of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원문보기

한국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17 no.3, 2016년, pp.31 - 50  

김선덕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신철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정형기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만형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basic conditions of joint authorship research activities in the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and points out the structural co-author network characteristics among co-authored papers based on the social network analysis(SNA) techniques. In specific, this study identifie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의 연구자들의 공동연구를 통해 형성되고 있는 공저자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과 중심성 특성을 고찰하여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의 지식 창출과 지식 교류와 전파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2006년부터 2016년까지 발표된 학회지의 논문 212편을 대상으로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동향에 대한 기초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고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유의한 연구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 지난 10년간 발표된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의 논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의 공저자 연구의 기초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형성된 지식의 흐름과 지식의 구조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자들의 상호관계를 통해 형성된 공저자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형태를 파악하고 네트워크의 중심적 특성 고찰을 통해 학회 내 영향력 있는 연구자들 찾아 탐색 발굴하고자 함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해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의 지속가능한 공동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한 유의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의 지속가능한 공동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한 유의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의 연구 성과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 새로운 지식의 창출과 지식 확산을 통해 응용사회과학 분야에서 본 학회의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도록 선순환적 연구 환경 조성에 이바지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 본 연구는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의 지난 10년 동안 축적된 연구 성과와 연구자들 상호관계를 사회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을 시도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본 연구를 통해 학회 내 연구개발 사업과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해 주요한 연구자 혹은 연구그룹들을 결정할 시 유용한 기초자료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본 연구는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의 연구자들의 공동연구를 통해 형성되고 있는 공저자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과 중심성 특성을 고찰하여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의 지식 창출과 지식 교류와 전파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2006년부터 2016년까지 발표된 학회지의 논문 212편을 대상으로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동향에 대한 기초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고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유의한 연구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저자 네트워크에서 연구 집단 간의 응집형태를 고찰하고자 E-I, SMI, Cohension Index 등의 지표를 활용한 커뮤니티 분석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연구들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차별성을 찾고자 한다
  • 이를 통해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의 지속가능한 공동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한 유의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온전한 공저자 네트워크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연구자 개인 간의 네트워크 관계를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거시적인 측면에서 연구자들의 연구 집단 간의 응집형태와 응집 네트워크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저자 네트워크에서 연구 집단 간의 응집형태를 고찰하고자 E-I, SMI, Cohension Index 등의 지표를 활용한 커뮤니티 분석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연구들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차별성을 찾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지난 10년간 발표된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의 논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의 공저자 연구의 기초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형성된 지식의 흐름과 지식의 구조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자들의 상호관계를 통해 형성된 공저자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형태를 파악하고 네트워크의 중심적 특성 고찰을 통해 학회 내 영향력 있는 연구자들 찾아 탐색 발굴하고자 함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 네트워크란? 현재는 사회과학을 비롯한 인문학, 경제,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사회학 분야에서의 사회 네트워크는 인간관계의 행동 패턴과 관계 속에서 나오는 사회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네트워크 이론과 같이 그래프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 사회를 구성하는 노드(Node)와 각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링크(Link) 및 라인(Line)으로 묶어 표현한 구조를 사회 네트워크라 한다(강동준, 2013). 즉, 사회 네트워크는 일정 범위 내 행위자들이 정보교환 및 상호 연관된 사회적 행위자의 그룹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사회 네트워크 분석의 핵심은 다양한 통계 및 시각적 분석을 활용하여 그룹 내에서 사회적 행위자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는 방법이다.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에 있어 사회네트워크 방법론을 적용하여 무엇이 가능하는가? 그렇기 때문에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에 있어 학문 내부의 지식 흐름과 지식 구조화 경향을 밝히기에 유용한 연구방법으로 판단되는 사회네트워크 방법론(SNA)을 적용하기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제적인 협력연구에 의한 공저 네트워크와 이에 따른 사회적 관계의 유추가 가능하다.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지표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사회 네트워크 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은 네트워크 분석 방법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지표로는 밀도(Density), 포괄성(Inclusiveness), 집중도(Centralization), 연결거리(Distance), 직경(Diameter), 연결정도(Degree), 연결강도(Strength), 근접중심성(Closeness centralization),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zation), 군집(Clustering) 분석, 구조적 등위성(Structural equivalence) 분석, 컴포넌트(Component) 분석, 파당(Clique) 분석 등으로 구분된다(이수상, 2012). 이 중 본 연구에서 핵심적으로 다룰 분석은 공저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적 특성분석(밀도, 포괄성, 경로거리, 직경, 연결정도 등)과 개별 공저자의 중심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심구조 분석(연결정도, 매개, 커뮤니티)을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동준(2013). 정기선사의 항만 네트워크 지수가 항만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강동준.이길남(2015). SNA(Social Network Analysis)를 활용한 한국무역학회지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무역학회지 40(5), 1-23. 

  3. 김태훈(2010). 지역사회연구 학술지의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공저자 네트워크 및 인용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학회, 18(4), 91-107. 

  4. 김용학(2003). 사회연결망분석, 박영사. 

  5. 김용학.윤정로.조혜선.김영진(2007). 과학기술 공동연구의 연결망 구조 : 좁은 세상과 위치 효과, 한국사회학회, 41(4), 68-103. 

  6. 김현수(2010), 연구자 네트워크의 구조적 위치가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 나노테크놀로지 분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사이람(2008), SNA 방법론 기초교육. 

  8. 손동원(2008). 사회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9. 이수상(2010). 공저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297-315. 

  10. 이수상(2013). 연구자 네트워크의 중심성과 연구성과의 연관성 분석 :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3), 405-428. 

  11. 이만희. 박미라. 이효정. 진서훈(2011). 공저자 네트워크를 활용한 응용통계연구 분석, 응용통계연구, 24(6), 1259-1270. 

  12. 임병학(2011). 논문 공동저자 네트워크가 연구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로고스경영연구의 공동저자를 중심으로, 로고스 경영연구, 10(1), 1-20. 

  13. 임혜선.장태우(2012). 물류 분야 학술지의 공저자 네트워크 및 연구주제 분석, 산업공학, Vol.25 No.4, pp.458-471. 

  14. 임혜선(2012). SNA 기반의 물류분야 협력연구 지식구조 분석, 경기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석사 학위 논문. 

  15. 조윤정(2015). 경영전략 분야의 공저자 관계 구조 분석 : 사회네트워크 분석 활용, 부경대학교 경영학과 석사 학위 논문. 

  16. 충북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2011). 충북지역산업 진흥사업 성과분석. 

  17. 최일영.안병주.정승혜(2015). 무용예술학연구의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4(3), 1263-1271. 

  18. Cappell, C. L. & T. M. Guterbock(1992). Visible Colleges: The Social and Conceptual Structure of Sociology Specialt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7, 266-273. 

  19. Haythornthwaite, C.(1996). Social Network Analysis: An Approach and Technique for the Study of Information Exchang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Vol.18 No.4, pp.323-342. 

  20. Katz, J. S. and Martin, B. R.(1997). What is research collaboration?, Research Policy, Vol.26 No.1, pp.1-18. 

  21. Kim, Y. H. (2011), Social Network Analysis, Pakyoungsa, Seoul, Korea. 

  22. Lee, S. and Bozeman, B.(2005). The impact of research collaboration on scientific productivity, Social Studies of Science, Vol.35 No.5, pp.673-702. 

  23. Landry, R., Traore, N., and Godin, B.(1996). An Econometric Analysis of the Effect of Collaboration on Academic Research Productivity, Higher Education, Vol.32 No.3, pp.283-301. 

  24. Liebowitz, J.(2005). Linking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knowledge mapping in organizations,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Vol.9 No.1, pp.76-86. 

  25. Melin, G. and Persson, O.(1996). Studying Research Collaboration Using Coauthorships, Scientometrics, Vol.36 No.3, pp.363-377. 

  26. Moody, J. (2004). The Structure of a Social Science Collaboration Network: Disciplinary Chohesion from 1963 to 1999.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9(2), 213-2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