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산화제가 Bromopropane에 의해 손상된 돼지 과립막세포의 생존율, 원형질막 온전성 및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oxidants on viability, plasma membrane integrity and apoptosis in porcine ovarian granulosa cells damaged by bromopropane 원문보기

Journal of embryo transfer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v.31 no.3, 2016년, pp.145 - 151  

이승형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박희우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이상희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정희태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  박춘근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양부근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aurine and vitamin E on ovarian granulosa cells damaged by bromopropane (BP) in pigs. We evaluated cell viability, plasma membrane integrity (PMI) and apoptotic morphological change in porcine ovarian granulosa cells. The cells were treated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포유동물에 bromopropane의 노출은 번식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 본 연구에 서는 1-BP 및 2-BP와 같은 bromopropane 가 돼지 과립막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제로 1-BP와 2-BP는 과립막세포의 생존율과 원형질막을 손상시켰을 뿐 아니라 apoptosis를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 이러한 결과는 bromopropane은 암컷의 번식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romopropane은 어떤 특징을 가진 물질인가? Bromopropane(BP)는 두개의 이성체인 1-bromopropane (n-propyl bromide, 1-BP) 및 2-bromopropane(isopropyl bromide, 2-BP)이 존재하며, 높은 휘발성과 낮은 가연성의 특징을 가진 물질이다(Ichihara, 2005). BP는 포유동물의 면역, 번식 및 신경계의 장애를 일으키며, 최근에는 1-BP와 2-BP가 인간과 rat 의 신경계에 독성을 미친다고 보고 (Ichihara 등, 2002; Honma 등, 2003; Raymond 등, 2007; Mohideen 등, 2011)하였으며, 세포의 체외배양시 활성산소를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었다 (Wu 등, 2002; Subramanian 등, 2012).
활성산소는 세포의 apoptosis의 pathway를 조절하여 세포 사멸을 촉진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데, 이 물질의 농도에 따라 난포에는 어떤 영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과립막세포는 난포 내 존재하며 , 뇌하수체에서 분비하는 FSH 의 자극에 의해 estrogen을 분비하며 난포의 성장 , 난자의 성숙 및 배란에 영향을 미친다 (Zhu 등, 2012). 적절한 수준의 활성산소는 과립막세포의 기능을 조절하여 난포의 성장과 난자의 성숙에 도움을 주지만 , 과도할 경우 과립막세포의 생존율을 감소시키거나 apoptosis를 유발한다고 보고되어있다(Zhu 등, 2012). 따라서 세포의 체외 배양 시 발생한 활성산소의 유해한 영향을 제거 또는 경감시키는 항산화제를 이용 하여 과립막세포의 생존 기전 및 apoptosis를 억제하는 결과가 보고되었다(Tilly 등, 1995).
1-BP 는 세포와 동물에 어떤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는가? BP는 포유동물의 면역, 번식 및 신경계의 장애를 일으키며, 최근에는 1-BP와 2-BP가 인간과 rat 의 신경계에 독성을 미친다고 보고 (Ichihara 등, 2002; Honma 등, 2003; Raymond 등, 2007; Mohideen 등, 2011)하였으며, 세포의 체외배양시 활성산소를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었다 (Wu 등, 2002; Subramanian 등, 2012). 이 중 1-BP은 대식세포 활성과 관련된 신호전달 체계를 조절하며 , 쥐의 난소 장애를 일으킨다고 보고되었다(Yamada 등, 2003; Han 등, 2008). 또한 2-BP는 설치류의 발육을 감소시키며 , 난소의 기능 장애를 일으켜 번식 효율을 감소 (Kamijima 등, 1997; Nakajima 등, 1997)시키고, 정원세포와 원시난포 및 미성숙 난자에도 유해한 악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Omura 등, 1999; Yu 등,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an EH, Kim JY, Kim HK, Hwang YP and Jeong HG. 2008. o,p'-DDT induces cyclooxygenase-2 gene expression in murine macrophages: role of AP-1 and CRE promoter elements and PI3-kinase/Akt/MAPK signaling pathways. Toxicol. Appl. Pharmacol. 233:333-342. 

  2. Han EH, Yang JH, Kim HK, Khanal T, Do MT, Chung YC, Lee KY, Jeong TC and Jeong HG. 2012. 1-Bromopropane up-regulates cyclooxygenase-2 expression via NF-kB and C/EBP activation in murine macrophases. Food Chem. toxicol. 50:1616-1622. 

  3. Herrera E and Barbas C. 2001. Vitamin E: action, metabolism and perspectives. J. Physiol. Biochem. 57:43-56. 

  4. Higuchi M, Celino FT, Shimizu-Yamaguchi S, Miura C and Miura T. 2012. Tauri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tection of spermatogonia from oxidative stress. Amino Acids 43:2359-2369. 

  5. Honma T, Suda M and Miyagawa M. 2003. Inhalation of 1-bromopropane causes excita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male F344 rats. Neurotoxicology 24:563-575. 

  6. Ichihara G, Miller J, Ziolkowska A, Itohara S and Takeuchi Y. 2002. Neurological disorders in three workers exposed to 1-bromopropane. J. Occup. Health 44:1-7. 

  7. Ichihara G. 2005. Neuro-reproductive toxicities of 1-bromopropane and 2-bromopropane.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78:79-96. 

  8. Jeong HM, Choi YH, Jeong HG, Jeong TC and Lee KY. 2014. Bromopropane compounds inhibit osteogenesis by ERKdependent Runx2 inhibition in C2C12 cells. Arch. Pharm. Res. 37:276-283. 

  9. Kamijima M, Ichihara G, Yu X., Xie Z, Kitoh J, Tsukamura H, Maeda K, Nakajima T, Asaeda N, Hisanaga N and Takeuchi Y. 1997. Ovarian toxicity of 2-bromopropane in the non-pregnant female rat. J. Occup. Health 39: 144-149. 

  10. Liu Q, Wang X, Wang W, Zhang X, Xu S, Ma D, Xiao Z, Xiao Y and Li J. 2015. Effect of the addition of six antioxidants on sperm motility, membrane integrity and mitochondrial function in red seabream sperm cryopreservation. Fish Physiol. Biochem. 41:413-422. 

  11. Lonergan P, O'Kearney-Flynn and Boland MP. 1999. Effect of protein supplementation and presence of an antioxidant on the development of bovine zygotes in synthetic oviduct fluid medium under high or low oxygen tension. Theriogenology 51:1565-1576. 

  12. Mohideen SS, Ichihara G, Ichihara S and Nakamura S. 2011. Exposure to 1-bromopropane causes degeneration of noradrenergic axons in the rat brain. Toxicology 285:67-71. 

  13. Nakajima T, Shimodaira S, Ichihara G, Asaeda N, Kumazawa T, Iwai H, Ichikawa I., Kamijima M, Yu X, Xie Z, Kondo H and Takeuchi Y. 1997. 2-Bromopropane-induced hypoplasia of bone marrow in male rats. J. Occup. Health 39: 228-233. 

  14. Omura M, Romero Y, Zhao M and Inoue N. 1999. Histopathological evidence that spermatogonia are the target cells of 2-bromopropane. Toxicol. Lett. 104:19-6. 

  15. Raymond LW and Ford MD. 2007. Severe illness in furniture makers using a new glue: 1-bromopropane toxicity confounded by arsenic. J. Occup. Environ. Med. 49:1009-1019. 

  16. Simon HU, Haj-Yehia A, and Levi-Schaffer F. 2000. Role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apoptosis induction. Apoptosis. 5:415-418. 

  17. Subramanian K, Mohideen SS, Suzumura A, Asai N, Murakumo Y, Takahashi M, Jin S, Zhang, L, Huang Z, Ichihara S, Kitoh J and Ichihara G. 2012. Exposure to 1-bromopropane induces microglial changes and oxidative stress in the rat cerebellum. Toxicol. 302:18-24. 

  18. Tilly JL and Tilly KI 1995. Inhibitors of oxidative stress mimic the ability of follicle-stimulating hormone to suppress apoptosis in cultured rat ovarian follicles. Endocrinology 136:242-252. 

  19. Van Soom A, Yuan YQ, Peelman LJ, De Matos DG, Dewulf J and Laevens H. 2002. Prevalence of apoptosis and inner cell allocation in bovine embryos cultured under different oxygen tensions with or without cysteine addition. Theriogenology 57:1453-1465. 

  20. Walker SK, Heard TM and Seamark RF. 1992. In vitro culture of embryos without co-culture: successes and perspectives. Theriogenology 37:111-126. 

  21. Wu X, Faqi AS, Yang J, Pang B, Ding X, Jiang X, and Chahoud I. 2002. 2-Bromopropane induces DNA damage, impairs functional antioxidant cellular defenses, and enhances the lipid peroxidation process in primary cultures of rat Leydig cells. Reprod. Toxicol. 16:379-384. 

  22. Yamada T, Ichihara G, Wang H, Yu X, Maeda KI, Tsukamura H, Kamijirna M. Nakajirna T and Takeuchi Y. 2003. Exposure to 1-bromopropane causes ovarian dysfunction in rats. Toxicol. Sci. 71:96-103. 

  23. Yu X, Kamijima M, Ichihara G, Li W, Shibata E, Hisanaga N and Takeuchi Y. 1999. 2-Bromopropane causes ovarian dysfunction by damaging primordial follicles and their oocytes in female rats. Toxicol. Appl. Pharmacol. 159:185-193. 

  24. Zhang Q, Zheng RZ, Zhang ZH, Yang LS, Wang H, Ning H and Huang F. 2013. Effects of bromopropane exposure on expression of DNA methyltransferases and level of histone acetylation in testis of male rats. Zhonghua Lao Dong Wei Sheng Zhi Ye Bing Za Zhi 31:92-95. 

  25. Zhu L, Yuan H, Guo C, Lu Y, Deng S, Yang Y, Wei Q, Wen L and He Z. 2012. Zearalenone induces apoptosis and necrosis in porcine granulosa cells via a caspase 3 and caspase 9 dependent mitochondrial signaling pathway. J. Cell. Physiol. 227:1814-18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