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힙합의 음악적 특성이 여성 힙합 패션에 미친 영향 - 국내 최초 여성 힙합 서바이벌 프로그램 『언프리티 랩스타(Unpretty Rapstar)』를 중심으로 -
Effects of the Musical Characteristic of Female Hip-hop on Female Hip-hop Fashion - Focus on Unpretty Rapstar the First Female Hip-hop Survival Program in Domestic -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8 no.3, 2016년, pp.129 - 144  

이서도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염미선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urrent trends in hip-hop fashion in korea and how they are influenced by musical characteristics of female hip-hop. This study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hip-hop music and their fashion through the history of hip-hop. Data has been collected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힙합 패션은 어떤 패션인가? 힙합 패션은 하위문화의 한 장르인 힙합 음악의 영향을 받아 시대정신과 상황을 반영한 스트리트 패션이다(이지현, 정은숙, 1999). 힙합 패션이 나타나기 시작한 1970년대는 경제적 불황기로 기성 사회에 저항하는 세력인 젊은 세대들에 의해 반문화 뮤지션들의 영향으로 유행하였다 (김영인 외, 2006).
힙합의 어원은? 이러한 힙합은 1973년 뉴욕 브롱스의 경제적으로 가장 황폐화된 특정지역에 국한하여 나타난 지역적 현상이다(Starr & Waterman, 김영대, 조일동, 2015). 힙합의 어원은 엉덩이를 뜻하는 힙(hip) 과 ‘뛰다’라는 움직임을 뜻하는 합(hop)의 합성으로 흑인들의 정서를 문화적으로 포괄한다(이인성 외, 2006). 또한 ‘힙’과 ‘합’은 시대별로 뜻이 조금씩 달랐는데, ‘힙’은 1960년대 히피를 뜻했으며, 1990년대 이후에는 유행에 민감한 신세대를 지칭하는 뜻으로 사용되었다(김태한, 2008).
얼터너티브 (Alternative) 힙합의 특징은? 여성 힙합 뮤지션들의 음악은 얼터너티브 (Alternative) 힙합으로 분류되는데 이것은 미국과 영국의 반상업적이고 비주류적인 면에 속하는 반문화 뮤지션들을 지칭하기 위해 1960년대 말에 사용된 말로(Shuker, 이정엽, 장호연, 1999), 기존 음악에 저항하는 음악을 묘사하는데 쓰이며, 여성의 관점 혹은 페미니스트적인 색을 띠는 음악과 관련되어서도 쓰인다(Starr, & Waterman, 김영대, 조일동, 2015). 이러한 얼터너티브 힙합의 페미니즘적인 음악은 컨템포러리 알앤비 (Contemporary R&B) 혹은 네오소울(neo-soul)이라고도 하며, 이는 힙합과 알앤비가 섞인 것으로 힙합의 거친 느낌을 줄이고 알앤비의 부드러운 느낌을 더한 음악이 특징이다(Jeff, 유명희, 2014). 1990년대 말에는 거의 모든 주류 장르 밑에 대안적 서브 장르인 얼터너티브 섹션이 존재하였으며(Starr, & Waterman, 김영대, 조일동, 2015), 이를 통해 여성 힙합 음악이 자리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수진. (2015. 2. 11). 이 가수를 주목해봐-러버소울. 스포츠경향. 자료검색일 2015. 3. 1, 자료출처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1503011741313&sec_id540301&ptnv 

  2. 강은지. (2010). 국내 힙합뮤지션의 패션스타일 유형별특징.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은지, 이정민. (2010). 국내 힙합뮤지션의 패션유형별 스타일링 분석. 한국복식학회. 60(6), 62-73. 

  4. 김영대, 김봉현, 윤호준, 조일동, 최지호, 이상현. (2008). 한국힙합: 열정의 발자취. 서울: 한울. 

  5. 김영인, 김신우, 김정신, 김희연, 송금옥. (2006), 룩패션을 보는 아홉가지 시선. 경기: 교문사 

  6. 김윤. (2012). 대중문화로서 국내 힙합 패션 트렌드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2(1), 19-38. 

  7. 김정원, 김현호, 박준우, 심은보, 이인성. (2014). 아메리칸 힙합2. 경기: 휴먼카인드북스. 

  8. 김지후. (2016. 4. 14). 다시 돌아온 1990년대 스타일. allure. 자료검색일 2016.08.06, 자료출처 http://www.allurekorea.com/2016/04/14/ 

  9. 김태한. (2008). 한국 힙합음악의 성장과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권석정. (2014. 2. 20.). 트레비스 페인, 투애니원 보면 엠보그 TLC 떠올라, 텐아시아, 자료검색일 2016. 8. 6, 자료출처 http://tenasia.hankyung.com/archives/218127 

  11. 네이버뮤직. (2016. 2. 22). 믿고 듣는 아티스트, 지코 컴백. 네이버뮤직. 자료검색일 2016. 8. 16. 자료출처 http://music.naver.com/promotion/specialContent.nhn?articl eId6595 

  12. 박송애. (2015). 셀러브리티 패션에서 표현된 게토 스타일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7(3), 197-206. 

  13. 박찬은. (2013. 10. 30). 응답하라 1990's 걸그룹이여.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16. 8. 6, 자료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1057812 

  14. 박한힘. (2011). 힙합문화의 음악적 특성 변화가 대중 패션에 미친 영향. 복식, 19(2), 416-429. 

  15. 양미경. (2003). 하위문화 맥락에서 본 패션스타일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학회지, 5(1), 33-45. 

  16. 양재영. (2002). 여성 힙합의 제목소리 찾기1. weiv. 자료검색일 2015. 10. 25. 자료출처http://www.weiv.co.kr/archives/11141 

  17. 유지윤. (2015. 4. 22). 힙합 패션의 변천사 (Part1). hiphople. 자료검색일 2015.10.25, 자료출처 http://hiphople.com/lifestyle/3886045 

  18. 유지윤. (2015. 4. 28). 힙합 패션의 변천사 (Part2). hiphople. 자료검색일 2015.10.25, 자료출처 http://hiphople.com/index.php?midlife_feature&category500219& document_srl3921388 

  19. 이규탁. (2011). 한국 힙합 음악 장르의 형성을 통해 본 대중문화의세계화와 토착화. 한국학연구, 36, 59-84. 

  20. 이동연, 신현준, 이정엽, 김병오. (2012). 대중음악의 이해. 서울: 한울. 

  21. 이보연. (2015). 한국 여성 힙합 아티스트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영미. (2014). 한국 대중가요 속의 여성. 서울: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3. 이인성, 이순자, 최보영, 이민정, 손이정. (2006). 힙합 뮤지션의 패션 스타일 연구-흑인 뮤지션 스타와 국내 힙합 뮤지션의 비교 연구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 8(1), 127-136. 

  24. 이지현, 정은숙. (2002). Hip-hop Fashion에 나타난 스타일 연구 -국내외 Hip-hop 뮤지션을 중심으 로-.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6(1), 116-127. 

  25. 윤여훈. (2004). 비주류 문화의 산업화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한동윤. (2015. 5). 랩하는 여자는 다 예뻐. GEEK, 자료검색일 2016. 8. 6, 자료출처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798&contents_id89546 

  27. Edwards, P. (2015). 힙 투더 합 힙합(최경은 역). 서울: 한스미디어. (원저 2015 출판) 

  28. Frith, S., Straw, W., Street, J. (2005). 케임브리지 대중 음악의 이해(장호연 역). 서울: 한나래. 

  29. HIPHOPPLAYA. (2016. 4. 6). 유행은 돌고 돈다, 돌아온 힙합패션. HIPHOPPLAY A. 자료검색일 2016. 8. 6, 자료출처 http://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968616&memberNo16707781 

  30. Judith, T., & Ellen, K. (2002). 음악에서의 여성(이미배 역). 한국서양음악학회. 5, 115-156. 

  31. Jeff, C. (2014). 힙합의 역사: 멈출 수 없는 질주(유영희 역). 경기: 음악세계. (원저 2007 출판) 

  32. Shuker, R. (1999). 대중음악사전(이정엽, 장호연 역). 서울: 한나래. (원저 1998 출판) 

  33. Starr, L., & Waterman, C. (2015). 미국대중음악: 민트럴시티부터 힙합까지, 200년의 연대기(김영대, 조일동 역). 경기: 한울. (원저 2013 출판)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