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술폰화 공정을 통해 제조한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용 폴리(아릴렌 이서 케톤) 블록 코폴리머
Poly(arylene ether ketone) block copolymer prepared through sulfonation process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원문보기

에너지공학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25 no.3, 2016년, pp.66 - 72  

장혜리 (전북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교 에너지저장.변환공학과, 연료전지 시스템 전주기 R&D 고급트랙 사업단 및 수소연료전지센터) ,  남기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교 에너지저장.변환공학과, 연료전지 시스템 전주기 R&D 고급트랙 사업단 및 수소연료전지센터) ,  유동진 (전북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교 에너지저장.변환공학과, 연료전지 시스템 전주기 R&D 고급트랙 사업단 및 수소연료전지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술폰화된 sodium 5,5'-carbonylbis(2-fluorobenzene sulfonate) 단량체를 이용하여 친수성 올리고머를 합성한 뒤 소수성 올리고머와 1:1로 공중합반응을 시켜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ketone) (SPAEK)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제조한 공중합체의 구조 분석$^1H$-NMR, FT-IR, GPC를 사용하여 실시하였고, GPC에서 공중합체의 평균분자량은 $209,700g\;mol^{-1}$, 다분산지수(PDI)는 1.25이었다. 열적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TGA 분석을 실시하였고, $200^{\circ}C$이상에서의 열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고분자 전해질 막의 양이온 전도도는 상대습도 100%, $80^{\circ}C$의 온도에서 약 $9.0mS\;cm^{-1}$이었다. 측정된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제조한 탄화수소계 전해질 막은 술폰화 정도를 증가시키거나 약간의 구조적 변형을 통해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ketone) block copolymer was prepared from hydrophilic oligomer and hydrophobic oligomer. The structure of the prepared membrane was characterized by $^1H$-NMR, FT-IR and GPC. The $M_w$(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s) of the poly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술폰화과정을 통해 술폰산기를 포함한 단량체를 제조한 후, 술폰산 그룹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고분자는 DMSO(dimethyl sulfoxide)용매를 사용하여 제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료전지는 무엇인가? 연료전지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기존의 이차전지와 달리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을 통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시키는 발전장치로서, 산업용 전원으로부터 소비전원에 이르기까지 사용 가능한 최선의 대안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연료전지 기반의 에너지 디바이스는 화석 연료계 수송 시스템을 대신할 수 있는 매력적인 해결책으로 각광받고 있다 [1, 2].
연료 전지의 사용 시 발생하는 부산물은 무엇인가? 연소과정을 통한 발전과 달리, 연료 전지는 공해물질을 생성하지 않으며 사용 시 발생하는 유일한 부산물은 물이다. 게다가 내연기관과 같은 작동 중 폭발현상이 없어 소음이 없으며 전력효율이 30 ∼ 40%에 온수로부터 회수되는 30 ∼ 40%의 열효율을 더하여 70 ∼ 80%의 발전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3].
연료 전지의 전력효율과 발전효율은 얼마인가? 연소과정을 통한 발전과 달리, 연료 전지는 공해물질을 생성하지 않으며 사용 시 발생하는 유일한 부산물은 물이다. 게다가 내연기관과 같은 작동 중 폭발현상이 없어 소음이 없으며 전력효율이 30 ∼ 40%에 온수로부터 회수되는 30 ∼ 40%의 열효율을 더하여 70 ∼ 80%의 발전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Park. J., Enomoto. K., Yamashita. T., Takagi. Y., 2013, Polymerization mechanism for radiation-induced grafting of styrene into alicyclic polyimide films for preparation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J. Membr. Sci. Vol. 438, pp. 1-7 

  2. Hickner. M. A., Ghassemi. H., Kim. Y. S., Einsla. B. R., McGrath. J. E., 2004, Alternative Polymer System for Proton Exchange Membranes (PEMs), Chem. Rev, Vol. 104, No. 10, pp. 4587-4612 

  3. Chang. K. C, 2012, Fuel cell, Magazine of the SAREK, Vol. 41, No. 6, pp. 11-11 

  4. Rikukawa, M., Sanui, K., 2000, Proton-conducting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based on hydrocarbon polymers, Polym. Sci. Vol. 25, No. 10, pp. 1463-1502 

  5. Mauritz, K., A., Moore, R., B., 2004, State of Understanding of Nafion, Chem. Rev. 104, No. 10, pp. 4535-4586 

  6. Chengji, Z., Haidan, L., Ke, S., Xianfeng, Hongzhe, N., Zhe, W., Hui, N., 2006, Block sulfonated poly (ether ether ketone)s (SPEEK) ionomers with high ion-exchange capacities for proton exchange membranes, J. Pow. Sour. Vol. 162, No. 2, pp. 1003-1009 

  7. Lei, W., Ke, L., Guangming, Z., Junqin, L., 2011,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highly branched sulfonated poly(ether ether ketone)s doped with antioxidant 1010 as proton exchange membranes, J. Membr. Sci, Vol. 379, No. 1-2, pp. 440-448 

  8. Song, J., M., Lee, S., Y., Woo, H., S., Shin, D., W., Sohn, J., Y., Lee, Y., M., Shin, J., H., 2014, EB-crosslinked SPEEK electrolyte membrane with 1,4-butanediol divinyl ether/triallyl isocyanurate for fuel cell application, J. Membr. Sci. Vol. 469, pp. 209-215 

  9. Kobayashi, T., Rikukawa, M., Sanui, K., Ogata, N., 1998, Proton-conducting polymers derived from poly(ether-etherketone) and poly(4-phenoxybenzoyl-1,4-phenylene), Solid State Ionics. Vol. 106, No. 3-4, pp. 219-225 

  10. Wang, F., Chen, T., Xu, T., 1998, Sodium sulfonatefunctionalized poly(ether ether ketone)s, Macromol. Chem. Phys. Vol. 199, No. 7, pp. 1421-1426 

  11. Schauer, J. Brozova., L., 2005, Heterogeneous ionexchange membranes based on sulfonated poly(1,4- phenylene sulfide) and linear polyethylene: preparation, oxidation stability, methanol permeability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J. Membr. Sci. Vol. 250, No. 1-2, pp. 151-157 

  12. Zhao, Y., Yin. J., 2010, Synthesis and evaluation of all-block-sulfonated copolymers as proton exchange membranes for fuel cell application, 2010, J. Membr. Sci. Vol. 351, No. 1-2, pp. 28-35 

  13. Park, S.,Ruoff. R., S., 2009, Chemical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graphenes, Nat Nanothechnol. Vol. 4, pp. 217-224 

  14. Guo, W., Li, X., Wang, H., Pang, J., Wang, G., Jiang. Z., 2013, Synthesis of branched sulfonated poly(aryl ether ketone) copolymers and their proton exchange membrane properties, J. Membr. Sci. Vol. 444, pp. 259-267 

  15. Kopitzke, R., W., Linkous. C., A., 2000, Conductivity and water uptake of aromatic-based proton exchange membrane electrolyte, J. Electrochem. Soc., Vol. 147, No. 5, pp. 1677-1681 

  16. Kumar, G., G., Kim, A., R., Nahm, K., S., Yoo. D., J., Elizabeth. R., 2010, High ion and lower molecular transportation of the poly vinylidene fluoride- hexa fluoro propylene hybrid membranes for the high temperature and lower humidity direct methanol fuel cell applications, J. Pow. Sour, Vol. 195, No. 18, pp. 5922-5928 

  17. Chu, J., Y., Kim, A., R., Nahm, K., S., Lee, H., K., Yoo, D., J., 2013,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artially fluorinated sulfonated poly(arylene biphenylsulfone ketone) block copolymers containing 6FBPA and perfluorobiphenylene units, J. Hydrogen, Energy, Vol. 38, No. 14, pp. 6268-62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