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ost-2020 신기후체제의 발전부문 대응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Economic Effects of the Post-2020 Climate Change Mitigation Commitments: From the Generation Industry's Perspective 원문보기

에너지공학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25 no.3, 2016년, pp.136 - 148  

윤태식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 중앙연구원 원전사후기술센터 해체팀) ,  이봉용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 경영혁신실 경영연구소) ,  노재엽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 경영혁신실 경영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최근 공표된 Post-2020 신기후체제의 국가적 대응에 따른 발전부문의 역할들을 시나리오로 설정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제시한 2030년 발전원별 추정 발전량에 IAEA에서 발표한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예측하여 발전부문에서 발생시키는 초과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초과 배출량 감축을 위해 세 가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원자력발전소로 대체, 신재생발전설비 확대, CCS 도입 등이다. 분석 결과 원자력 발전소 대체 시나리오가 배출량 감소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가장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 economic effects of GHG reduction measures of the generation industry to meet 2030 GHG reduction target using the scenario based approach. We estimate the GHG emission of the Korean power industry in 2030 based on both the $7^{th}$ Electricity Supply & Demand Plan and the GHG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연구 결과들은 우선 온실가스 감축에 있어서 발전 부문 역할과 함께 감축 정책의 중요성을 인지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최근정책의 변화를 연구에 반영하기 위해 2014년에 발표된 국가온실가스 감축 로드맵과 2015년에 발표된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기반으로 하여 Post-2020 국가감축목표(2030년 감축목표)에 대한 국가적 대응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와 원전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감축 시나리오별 경제적 파급효과를 투자비용, 필요부지, 전력요금 영향을 중심으로 감축 시나리오를 분석 하는 것이다. 우선 투자비용 산정을 위해서 석탄 발전소 대체를 위한 시나리오별 대체 발전원의 건설단가를 사용 하여 식(1)과 같이 투자비용을 산정 하였다.
  • 본 연구는 국가적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발전부분에서의 감축해야 하는 배출량을 제7차 전력수급 계획기반1)으로 산정하고 이를 위한 감축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이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함이 주요목적이다.

가설 설정

  • Post-2020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2030년 국가감축 목표는 제시한 상황이나, 발전부문에 대한 감축목표는 아직 미정이므로 Post-2020 국가감축목표에서 제시된 온실가스 배출 예상량(BAU) 중 전환부문의 2030년 배출예상의 95%를 발전부문 온실가스 배출 예상치로 가정하여 산정 하였다. Post-2020 감축목표,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그리고 WASP 기반 발전부문 배출 Base Line간의 배출량 차이를 분석하여 2030년 발전부문에서 추가적으로 감축해야할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 을 활용하여 2030년 발전원별 발전량을 계산하였으며, 이렇게 산정된 발전량을 기준으로 발전원별 배출계수(IAEA, 2006)를 적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하였다.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029년까지의 발전원별 발전량 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2029년의 전원구성비가 2030년까지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발전 부문 온실가스 배출 Base Line을 산정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정책적 정합성을 유지하여 2030년 발전부문 온실가스 배출 Base Line을 제7차 전력수급기본 계획에 제시된 발전설비 구성을 기반으로 산정하였다.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주요 특징은 저탄소 전원믹스가 강화되었다는 점이다. 연료의 온실가스 취약성 때문에 허가받지 못한 석탄발전소 4기를 계획에서 제외하여 온실가스 배출부담이 큰 석탄 발전 비중이 줄어들었다4).
제7차 전력수급기본 계획에서 제외된 석탄발전 설비들은 어떠한 것으로 대체되었는가? 연료의 온실가스 취약성 때문에 허가받지 못한 석탄발전소 4기를 계획에서 제외하여 온실가스 배출부담이 큰 석탄 발전 비중이 줄어들었다4). 제외된 석탄발전설비들은 원자력발전소 2기로 대체하였고 이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원자력발전 비중 목표 (2035년, 29%)에도 부합하는 결과가 되었다.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도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제4차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에 따라 계획되어 2029년 신재생에 너지의 설비용량은 33,890MWe, 발전량은 83,090GWh으로 전망하고 있다.
초과 배출량 감축을 위한 시나리오는 무엇이 있는가? 이를 위해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제시한 2030년 발전원별 추정 발전량에 IAEA에서 발표한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예측하여 발전부문에서 발생시키는 초과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초과 배출량 감축을 위해 세 가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원자력발전소로 대체, 신재생발전설비 확대, CCS 도입 등이다. 분석 결과 원자력 발전소 대체 시나리오가 배출량 감소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가장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4, AR5:Fifth Assessment Report, pp. 4-34 

  2.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 Right way to know climate change, pp. 5-14 

  3. Cooperation of relevant ministries, 2015 Post-2020 GHG reduction target setting plan, pp. 3-20 

  4. Cooperation of relevant ministries, 2015, 2030 GHG reduction target proposal, pp.1-15 

  5. Greenhouse Gas Inventory & Research Center of Korea, 2014,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pp. 13-28 

  6. Greenhouse Gas Inventory & Research Center of Korea, 2011, Greenhouse energy target management statement, http://www.gir.go.kr 

  7. International Energy Agency, 2015, Energy Technology Perspectives Executive Summary, pp. 4-9 

  8. Lee, S.Y.; Kim, G.M; Kim, L.J, 2014, A study on the status of greenhouse gas mitigation policy instruments and its improvement(II): focusing on realization of the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roadmap, pp. 42-48, 180-183 

  9. Korea Energy Agency;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orea Southern Power, 2014, Greenhouse gas reduction roadmap of the Korean power industry, pp. 135-147 

  10.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5, 7th Electricity Supply & Demand Plan, pp. 7-59 

  11.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2006, A guide of life-cycle GHG emissions from electric supply technologies, pp. 11-18 

  12. Nuclear Energy Institute, 2015, Land Requirements for Carbon-Free Technologies 

  13. Electric Power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2001-014, Wholesale price, http://www.kpx.or.kr 

  14.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olution and Planning, 2013, Energy technology vision roadmap, pp.74-98 

  15. Korea exchange, Emission credit price, 2015, http://www.ets.co.kr 

  16. Eenergy Information Agency, 2013, Capital Cost Estimates for Utility Scale Electricity Generation Plants, pp. 51-5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