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Influences of Self-efficacy and Mindfulness on Job Satisfaction on General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7 no.5, 2016년, pp.107 - 116  

김은휘 (대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직무만족도 증진을 위한 내적 강화 요인인 자기효능감마음챙김이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된 융합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D시에 소재하는 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71명의 임상간호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5년 9월 20일부터 10월 4일 사이에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직무만족도는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r=.439, p<.001), 마음챙김과 직무만족도(r=-.067, p=.583), 자기효능감(r=-.142, p=.241) 간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beta}=.429,$ p<.001), 설명력은 25.9%이었다(F=5.772, p<.001). 마음챙김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014$, p=.844). 본 연구결과, 자기효능감은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주요한 요소로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효능감 증진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 개발과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convergence study to examine influences of self-efficacy and mindfulness on job satisfaction of nurses. For this explanatory survey research, 71 clinical nurses working for a general hospital in D city were recruited.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20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내적 강화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직무만족도의 주요한 예측요인인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조절 요인이 되는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내적 강화 요인으로 자기효능감과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직무만족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D시에 소재하는 일 종합병원의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마음챙김, 직무만족도의 차이와 자기효능감과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에 종사하는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마음챙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과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내적 강화 프로그램의 전략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연구자는 본 연구의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 후 자발적 참여의사가 있는 경우 동의서에 서명을 받고 연구도중 언제든지 연구참여를 철회할 수 있으며 모든 자료는 익명으로 처리되며 연구의 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임을 설명하였고 설문 후 소정의 선물을 제공하여 최대한의 윤리적 고려를 하고자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증진하기 위해 무엇이 요구되는가?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증진을 위하여 일반간호사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 간호관리자의 지지적 리더십 환경, 충분한 간호인력의 수급, 결혼생활의 지지 및 의사와 간호사 사이의 협력관계 등을 포함하는 간호실무환경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된다[4]. 하지만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증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조직차원의 구조적 외적 요인의 강화와 더불어 개인의 내적 요인의 강화가 함께고려되어져야 한다[5].
자기효능감과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본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이 있는가? 하지만,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여 그 연구결과를 전체 임상간호사로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의 해석과 적용에 한계를 지닌다. 또한 선행연구결과에서 직무만족도에 영항을 미치는 주요한 내적 요인으로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를 제시하였고[6,7], 직무스트레스의 효과적인 조절요인으로 마음챙김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나[9,10], 본 연구의 결과에서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보다 많은 다양한 연령층을 포함하는 다음의 후속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간호사로 하여금 다른 동료 및 보건의료제공팀과 원만한 관계로 긍정적인 조직 문화를 형성하고 더불어 조직의 생산성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게 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최근들어 의료경쟁이 심화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환자 간호의 최일선에 있는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간호사로 하여금 다른 동료 및 보건의료제공팀과 원만한 관계로 긍정적인 조직 문화를 형성하고 더불어 조직의 생산성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게 하는 요인은 직무만족도이다[1].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질에도 차이를 보여[2],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환자안전관리와 같은 간호활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한다고 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 M. Bang, S. Y. Lee, J. O. Cheong, "Empirical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 205-213, 2015. 

  2. L. H. Aiken, D. S. Havens, D. M. Sloane, "The Magnet Nursing Services Recognition Program: a Comparison of Two Groups of Magnet Hospitals, J Nurs Adm, Vol. 39, No. 7-8 Suppl, pp. 5-14, 2009. 

  3. H. H. Gong, Y. J. Son, "Impact of Nur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ertiary Hospitals", J Korean Acad Fundam Nurs, Vol. 19, No. 4, pp. 453-462, 2012. 

  4. Y. K. Ko, "Relationship of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Work-Family Conflict to Job Satisfaction in Hospital Nurses in Korea", J Korean Acad Nurs Adm, Vol. 19, No. 2, pp. 207-216, 2013. 

  5. L. M. Pineau Stam, H. S. Laschinger, S. Regan, C. A. Wong, "The Influence of Personal and Workplace Resources on New Graduate Nurses' Job Satisfaction",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 23, No. 2, pp. 190-199, 2015. 

  6. Y. S. Bong, H. S. So, H. S. You,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Vol. 15, No. 3, pp. 425-433, 2009. 

  7. S. Min, H. S. Kim, Y. J. Ha, "The Controlling Effect of the Job Stress of Nurse on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Self-Efficacy", Conference on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rea, pp. 513-533, April, 2010. 

  8. E. H. Boo,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Program on the New Staff Nurse's Self-Efficacy and Organizaitonal Socialization Outcome", Ph.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06. 

  9. T. Gauthier, R. M. L. Meyer, D. Grefe, J. I. Gold, "An On-the-Job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for Pediatric ICU Nurses: A Pilot",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Vol. 30, No. 2, pp. 402-409, 2015. 

  10. L. Fortney, C. Lucbterband, L. Zakletskaia, A. Zgierska, D. Rakel, "Abbreviated Mindfulness Intervention for Job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and Compassion in Primary Care Clinicians: A Pilot Study", Annals of Family Medicine, Vol. 11, No. 5, pp. 412-420, 2013. 

  11. P. Charoensukmongkol, "Benefits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Emotional Intelligence, General Self-Efficacy, and Perceived Stress: Evidence from Thailand", Journal of Spirituality in Mental Health, Vol. 16, No. 3, pp. 171-192, 2014. 

  12. A. Michel, C. Bosch, M. Rexroth, "Mindfulness as a Cognitive-Emotional Segmentation Strategy: An Intervention Promoting Work-Life Balance", Journal of Occupational &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87, No. 4, pp. 733-754, 2014. 

  13. H. S. Oh, C. K. Koh,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ss among Clinic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 22, No. 3, pp. 139-147, 2014. 

  14. K. Y. Lee, Y. S. Park, "The Relationship among Mindfulness, Job Stress, Teacher Efficacy and Care-Giving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in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Journal of Life-Span Studies, Vol. 5, No. 3, pp. 47-63, 2015. 

  15. J. H. Hanan, E. J. Kang, "Mindfulness, Stress, and Job Burnout with the Role of Leisure Life", Conference on Korean Acad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pp. 1-20, 2010. 

  16. S. Penque,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Effects on Registered Nurse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2009. 

  17. M. Sherer, J. E. Maddux,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 51, No. 2, pp. 663-671, 1982. 

  18. A. S. Jung,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a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General Hospital Nurse",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07. 

  19. S. H. Park, "Development of the Mindfulness Scale", Ph.D.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2006. 

  20. Y. H. Lee,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Christian Hospitals", Korean J. of Preventive Medicine, Vol. 20, No. 1, pp. 67-83, 1987. 

  21. S. J. Ha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Korean Acad Nurs Adm, Vol. 8, No. 3, pp. 441-456, 2002. 

  22. E. J. Park, J. Y. Han, N. Y. Jo, "Effec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on the Job Satisfac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7, No. 1, pp. 191-201, 2016. 

  23. Y. M. Kim, Y. S. Kang,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Plateau, Sef-Efficacy,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10, pp. 5078-5090, 2013. 

  24. Y. H. Kim, "The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on Occupational Self-efficacy and Role-based Perform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4, pp. 101-108, 2013. 

  25. J. W. Lee, "Influences of Job Stress, Coping, Self-Efficacy on Burno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 26, No. 5, pp. 1003-1012, 2014. 

  26. J. H. Lim, S. H. Lee, J. A. Yoon, M. Y. Chon, "A Study o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Hemodialysis Unit Nurses", Korean J Rehabil Nurs, Vol. 15, No. 1, pp. 54-62, 2012. 

  27. N. S. Park, "Mindfulness Mediator Effects in Stress, Burnout, Resistance to Organizational Change and Job Satisfaction of Public Enterprise Office Employees",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 33, pp. 109-134, 2013. 

  28. J. K. Jung, D. J. Lee, D. Y. Kim, Y. C. Nam, S. K.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by Employment Typ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8, No. 4, pp. 83-95, 2010. 

  29. H. J. Lim, M. H. Gang, K. O. Oh, "Nursing Activity,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Community Mental Facilit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2, pp. 507-513, 2013. 

  30. Y. S. Song, E. K. Ahn, H. S. Sim, "Time Management Behavio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5, pp. 345-351, 2014. 

  31. M. S. Choi, D. H. Ji, "The Comparative Study on Changes i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Convergence Mediating Factors and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in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 27-34, 2015. 

  32. E. S. Shin, "Job Satisfaction and Relating Factors of Medical Record Technician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337-346, 2015. 

  33. A. K. Lee, J. Y. Yeo, S. W. Jung, S. S. Byun, "Relation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Stress and Job-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The Journal of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12, pp. 299-308, 2013. 

  34. S. Min, H. S. Kim, Y. J. Ha, E. A. Kim, H. Y. Kim, H. J. Kim, Y. J. Kim, "The Controll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in the Job Stress of Hospital Nurse on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 25, No. 1, pp. 1-21, 2011. 

  35. H. J. Kim, J. Y. Bae, "The degree of Job Stres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Psychiatric Nurs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Vol. 6, No. 2, pp. 21-32, 2014. 

  36. H. M. Park, H. S. Lee, "A study of Communication Styl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Hospital Nurse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 8, No. 2, pp. 105-112,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