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병원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업무수행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Self-Efficacy,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6 no.3, 2019년, pp.726 - 736  

김미영 (충북대학교병원 간호과) ,  이혜경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병원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업무수행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3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은 5점 만점에 평균 3.24점, 업무수행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2.74점, 직무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10점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업무수행능력, 직무만족도과의 관계는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기효능감(${\beta}=.39$, p<.001), 30~34세의 연령(${\beta}=-.27$, p=.001), 근무부서 중 수술실(${\beta}=-.17$, p=.029), 내과병동(${\beta}=-.17$, p=.025), 미혼(${\beta}=-.20$, p=.012)순이었고, 모형의 설명력은 30.4%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병원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연령, 근무부서 등을 고려한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기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on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0 nurse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in C city and collected data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병원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업무수행능력, 직무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병원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업무수행능력, 직무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결과 직무만족도는 연령, 결혼상태, 임상경력, 근무부서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직무만족도는 자기효능감과 업무수 행능력과는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 본 연구는 대학병원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업무 수행능력, 직무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병원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업무수행능력, 직무만족도의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이 높은 간호사의 장점은 무엇인가? 자기효능감은 Bandura(1977)에 의해[9] 처음 사용 되었으며, 발전적이고 성숙한 간호사일수록 내적 동기부여가 강하고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나아갈 수 있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간호사는 간호현장에서 간호활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어려운 상황에도 잘 직면하여 업무수행을 잘 할 수 있다[10].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사는 환자 간호의 질에 책임을 지는 중요한 전문직으로 대상자의 건강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간호사 자신이 직무에 만족하는 것은 중요하다[2]. 간호사의 직무 만족은 자신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환자에게 보다 나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자신의 업무환경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하지만[3], 간호사 자신이 업무에 만족하지 못하면 직무를 효과적, 효율적으로 수행 하기 어렵다[4]. 그러므로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5], 직무만족도는 자기효능감과 연관이 있어[6]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다[7].
업무수행능력은 무엇인가? 업무수행능력은 학습되어진 지식, 기술, 태도, 판단 등을 임상교육과정을 통하여 임상상황에서 적절하게 보여주며 유능하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다[11]. 간호에 있어서 업무수행능력은 기대되는 표준에 부응하기 위해 요구되는 업무와 역할을 수행하는 능력이고, 의사소통과 지식, 기술, 임상추론, 정서, 가치, 반영을 매일의 실무에 사용하는 것이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M. Y. Choi, H. S. So, E. Ko. "Influences of Occupational Stress, Ethical Dilemma,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26, No.1 pp. 42-51, (2019). 

  2. B. S. Lee, S. R. Kang, H. O. Kim. "Experience of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 Application of Focus Group Methodolog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7, No. 1 pp. 114-124, (2007). 

  3. J. Choi, H. J. Park.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in Schoolwor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5, No. 1 pp. 37-44, (2009). 

  4. S. H. Kim, M. A. Lee, "A Study of the Reward and the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2, No.1 pp. 122-130, (2006). 

  5. Y. S. Cho, J. Park, S. Y. Ryu, M. G. Kang, S. Min, H. S. Kim, Y. J. Ha, E. A. Kim.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Health Promotion Life Style on Job Satisfaction in General Hospitals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26, No.1 pp.5-15, (2012). 

  6. J. H. Lim, S. H. Lee, J. A. Yoon, M. Y. Chon., "A Study o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Hemodialysis Unit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15, No.1 pp.54-62, (2012). 

  7. S. H.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0, No.1 pp. 10-20, (2008). 

  8. Duggleby. D, Copper. D, & Penz. K. "Hope, self-efficacy, spiritual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5, No.11 pp. 2376-2385, (2009). 

  9. Bandura, A. "Perceived self-efficacy in connec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Vol.28, No.2 pp.117-148, (1994). 

  10. Judge, T. A., & Bono, J. E. "Relationship of core self-evaluations traits--self-esteem, generalized self 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emotional stability--with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6, No. 1, pp.80-92. (2001). 

  11. C. Barrett, F. Myrick,.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27, pp. 364-371. (1998) 

  12. K. S. Jang.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 Development Model of Nurses" Unpublished doctoral Yonsei University, (2000). 

  13. D. S. Byun, Y. H. Yom.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 Focused on Emotional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5, No.3 pp.444-454, (2009). 

  14. K. S. Yoon, S. A. Par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of Perioperative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5, No.1 pp. 93-106, (2009). 

  15. Tzeng, H. M, "The influence of nurses' working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on intention Tto quit;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39, No.8 pp. 867-887, (2002). 

  16. LU, H., White, A. E., & Barriball, K. L.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2, No.2, pp. 211-227, (2005). 

  17. I. S. Yoo.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Nurses' Personality Typ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University, (2014). 

  18. Y. K. Kong. "Clinic Nurse's Job Stress, Self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mbu University, (2015). 

  19. Y. S. Bong, H. S. So, H. S. You.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5, No.3, pp.425-433, (2009). 

  20. S. S, Son, S. J. Yang.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Gastrointestinal Endoscopy Uni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20, No.2 pp. 189-199, (2014). 

  21.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and Rogers. R.W.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Vol.51, pp.663-670, (1982). 

  22. A. S. Jung.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a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General Hospit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07). 

  23. W. H. Lee, J. J. Kim, S. J. Yu, H. K. Hur, K. S. Kim, S. M. Lim, "Research for development of clinical performance measurement tool of nursing college students", Yonsei University Nursing Journal, Vol.13, pp. 17-29, (1991). 

  24. Stamps, P. L., Piedmont, E. B., Slavitt, D. B., Haase, A. M.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Care, Vol.16, No.4 pp. 337-352, (1978). 

  25. S. A. Park, S. N. Yun. "Measurement of job Satisfaction of Nurses and Health Workers in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2, No.3 pp. 316-324, (1992). 

  26. A. K. Lee, J. Y. Yeo, S. W. Jung, S. S. Byun. "Relation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stress and Job-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12 pp. 299-308, (2013). 

  27. H. Kim, Y. S. Park,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on Psychosocial Stress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1, No.1 pp. 111-121, (2015). 

  28. N. H.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Job Stress and Self-Efficacy in Psychiatric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11). 

  29. H. Y. Son, K. M. Su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ve Competence within the Medical team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12 pp. 300-309, (2017). 

  30. M. H. Sung, O. B. Eum.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5 No.1, pp. 26-36, (2009). 

  31. M. R. Kim. "Clinical Nurses' Professionalism, Nursing Performance and Intention of Re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08). 

  32. Rane-Szostak, D., Robertson, J.F. " Issues in measuring critical thinking: Meeting thd challeng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35. pp5-11, (1996). 

  33. Y. G. Kim." The Teamwork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2014). 

  34. J. Y. Choi. "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6, No.2 pp. 227-243, (2000). 

  35. Seomun, G. A. The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outcome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1, No.1 pp.1-13, (2005). 

  36. K. J. Song, S. H. Park, J. S. Cho, M. K. Kwon, J. S. Park, S. N. Nam, M. You, M. A. Kim. "A Study on the Nurse Performance Appraisal in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2, No.1 pp. 97-108, (2006). 

  37. E. H. Kim. "A Convergence Study about Influences of Self-efficacy and Mindfulness on Job Satisfaction o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7, No.5 pp. 107-116, (2016). 

  38. K. S. Er, H. K. Her, K. K. Kim, Y. J. Cho, E. H. Kim, S. J.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Intents to Leave among Hospital Nurses"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9, No.2 pp. 81-92, (2004). 

  39. Y. H. Lee. "Competency of Nursing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the Nurses in the Operating Ro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1). 

  40. Willemsen-McBride Tara. " Preceptorship planning is essential to perioperative nursing retention: Matching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Canadian Operating Room Nursing Journal, Vol.28, No.1 pp. 8, 10-1, (2010). 

  41. Ma, Cben-Chung., Samuels, Micbael. E., Alexander, Judith. W. "Factors that influence nurses's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33, No.5 pp, 293-299, (2003). 

  42. G. B. Wi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Job Stresses in Hospital Staff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Regional Development Studies, Vol.18, No.2 pp. 163-185, (2009).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