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능형 IT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개방성 평가지표 개발
Developing Data Openness Evaluation Index for Intelligent IT Service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5 no.3, 2016년, pp.97 - 114  

진윤선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권오병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of the key success factors for the intelligent IT service which is characterized by personalization and automation, is to obtain relevant data from either sensors or data storage for reasoning, analyzing and forecasting. The availability of the open data sources such as public portal sites rem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웹 개방성의 요건은 ‘웹에 공개된 정보는 제한 없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자유로운 정보 공유를 통해 정보의 사용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공공데이터포털의 경우 미국을 시초로 영국, 호주 등의 주요 나라에서 공통적인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개방성 정도 및 평가 비교를 위해 각 나라마다 어느 부분을 중점으로 개방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수요자 관점에서 데이터 개방성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집중하는 지능형 IT서비스를 위해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관점에서 볼 때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지능형 IT서비스의 입장에서는 원하는 데이터 원천을 누가 제공하는지를 파악한 후에 그 제공자가 허용한 사이트를 방문하여 데이터의 위치를 찾은 후 지능형 IT서비스에 잘 맞게 데이터를 다운로드, 변환하고 최종적으로 그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좋은지를 참조하며 서비스를 개발할 것이다.
  •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임의의 웹사이트가 데이터를 어느 정도 개방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모형 및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활용 프로세스 관점으로 평가하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 2까지 허용할 수 있다(Saaty, 1990). 따라서 평가 항목의 상대적 가중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지금까지 AHP 기법을 통하여 데이터 개방성 웹사이트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설계하고 각 항목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측정하였다.
  • 마지막으로 활용 및 고도화 단계는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의 형태, 다운로드 방식 등으로 제공하는지를 평가한다. 또한 데이터 개방성 웹사이트의 상대적 중요도를 밝혀내어 신뢰성을 확보하고, 웹사이트 구축 및 운영, 관리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들의 분석과 웹사이트로부터 평가요인을 도출하고, 계층분석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 AHP)을 이용하여 평가항목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 탐색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무엇인지를 신속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메타정보를 잘 제공하는지 등을 평가한다. 또한 접근 단계에서는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까지 얼마나 잘 접근하게 하는지를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활용 및 고도화 단계는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의 형태, 다운로드 방식 등으로 제공하는지를 평가한다.
  •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접근성 범위에서만 국한된 기존 연구와 달리 데이터 개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데이터 활용 프로세스라는 관점에 따라 데이터 개방성 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데이터 개방성 웹사이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성공적인 웹사이트를 구축, 운영 및 관리를 위한 요인과 웹사이트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자료공급자인식, 자료이해, 자료접근, 자료 활용, 자료고도화를 평가영역으로 하는 데이터 개방성 평가모델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공공데이터포털을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평가를 통해 개방성 정도 및 현황과 문제를 진단하고 고려해야 할 요인의 중요도를 측정 및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임의의 웹사이트가 데이터를 어느 정도 개방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모형 및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활용 프로세스 관점으로 평가하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기존 개방성 평가는 사이트 접근성으로 범위를 제한하는 데 비해(Welch and Wong, 2001; Wirtz and Piehler, 2016), 본 연구에서는 제공기관의 인식, 이해, 접근, 활용, 고도화까지 범위를 확대하였다.
  • 이것은 데이터 활용에 대한 프로세스 관점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데이터 활용 관점에서 개방성 평가모형을 제안하였다.
  • 공공데이터 개방은 데이터를 통한 다양한 자동화 서비스나 콘텐츠 사업과 같은 고부가가치 창출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공공데이터의 접근성, 편의성 향상을 통한 활용 확산이 필수적이다. 특히 데이터 포털은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공공데이터를 국민에 개방하여 이를 편리하고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목적으로 가지고 있다. 미국 공공데이터포털은 2009년 정식 오픈하여 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고 있으며, 영국은 2010년 개설하여 원천데이터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데이터 개방성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기존 웹 개방성의 요건은 ‘웹에 공개된 정보는 제한 없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자유로운 정보 공유를 통해 정보의 사용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데이터 개방성에서 중요한 것은 개방 데이터(Open Data)를 보유하고 제공할 수 있는 역량 및 그 실천이다. 여기서 개방이란 비영리단체인 열린지식재단(Open Knowledge Foundation : OKF)에서는 누구든지 어떤 목적을 위해 자유롭게 사용하고, 수정하고 공유할 수 있는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
수요자 관점에서 데이터 개방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지금까지 데이터 개방성에 문제가 있었던 것은 데이터의 예상 수요자를 고려하지 않고 공급자 중심적으로 데이터를 배치, 표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요자 관점에서 데이터 개방성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개방성이란 무엇인가? 데이터 개방성(Data Openness)이란 데이터가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상에서 누구나 특별한 제한 없이 접근 가능하도록 게재하는 역량 또는 상태를 의미한다(Tammisto and Lindman, 2012). 데이터 개방성을 보장하려면 비공식적인 정보의 공유 활동보다는 데이터 공유에 대한 철저한 원칙을 세우고 그대로 실천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Parsons and Fox, 21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lcala-Fdez, J., L. Sanchez, S. Garcia, M.J. del Jesus, S. Ventura, J.M. Garrell, J. Otero, C. Romero, J. Bacardit, V.M. Rivas, and J.C. Fernandez, "KEEL : A Software Tool to Assess Evolutionary Algorithms for Data Mining Problems", Soft Computing, Vol.13, No.3, 2009, 307-318. 

  2. Aldarra, S. and E. Munoz, "A Linked Data-Based Decision Tree Classifier to Review Movies", In 4th International Workshop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Meets Linked Open Data, Portoroz, Slovenia, 2015. 

  3. Bailey, J.E. and S.W. Pearson, "Development of a Tool for Measuring and Analyzing Computer User Satisfaction", Management Science, Vol.29, No.5, 1983, 530-545. 

  4. Bauer, C. and A. Scharl, "Quantitive Evaluation of Web Site Content and Structure", Internet Research, Vol.10, No.1, 2000, 31-44. 

  5. Belkindas, M.V. and E.V. Swanson, "International Support for Data Openness and Transparency", Statistical Journal of the IAOS, Vol.30, No.2, 2014, 109-112. 

  6. Borglund, E. and T. Engvall, "Open Data? : Data, Information, Document or Record?", Records Management Journal, Vol.24, No.2, 2014, 163-180. 

  7. Buenadicha Mateos, M., A. Chamorro Mera, F.J. Miranda Gonzalez, and O. Rodrigo Gonzalez Lopez, "A New Web Assessment Index : Spanish Universities Analysis", Internet Research, Vol.11, No.3, 2001, 226-234. 

  8. Davies, T., "Open Data Barometer: 2013 Global Report", World Wide Web Foundation and Open Data Institute, 2013, Available at http://www.opendataresearch.org/dl/odb2013/Open-Data-Barometer-2013-Global-Report.pdf(Downloaded June 12. 2015). 

  9. Drucker, P.F., Post-capitalist Society, Harper Business, New York, 1994. 

  10. Edwards, J., "The Good, the Bad and the Useless : Evaluating Internet Resources", Ariadne, Vol.16, No.2, 1998, 83-102. 

  11. Edwards, R., L.E. Parker, and D.R Resseguie, "Robopedia : Leveraging Sensorpedia for Web-Enabled Robot Control", In Pervasiv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Workshops(PERCOM Workshops), 2010 8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Mannheim, Germany, 2010, 183-188. 

  12. Elliot, S.R., A.S. M'rup-Petersen, and N. Bj'rn-Andersen, "Towards a Framework for Evaluation of Commercial Web Sites", Proceedings of the 13th Bled Electronic Commerce Conference, Bled, Slovenia, 2000, 69-86. 

  13. Eschenfelder, K.R., J.C. Beachboard, C.R. McClure, and S.K. Wyman, "Assessing U.S. Federal Government Website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Vol.14, No.2, 1997, 173-189. 

  14. Ghosheh, E., S. Black, and J. Qaddour, "Design Metrics for Web Application Maintainability Measurement", In 2008 IEEE/AC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Systems and Applications, 2008, 778-784. 

  15. Jang, Y.C. and B.S. Ahn, "A Study on the Selection of Information System Developer using AHP",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Vol.5, No.3, 2006, 187-200. (장양철, 안병석, "AHP를 이용한 정보시스템 개발업체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5권, 제3호, 2006, 187-200.) 

  16. Kang, H.M. and G.Y. Gim, "A Study on the Indicator of Knowledge Activities in Public Institu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Vol.6, No.1, 2007, 1-15. (강형모, 김광용, "공공부문의 지식활동 측정 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6권, 제1호, 2007, 1-15.) 

  17. Kim, H.C. and G.Y. Gim, "A Study on Public Data Quality Factors Affecting the Confidence of the Public Data Open Polic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Vol.14, No.1, 2015, 53-68. (김현철, 김광용, "공공데이터 품질 요인이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4권, 제1호, 2015, 53-68.) 

  18. Lasek, I. and P. Vojtas, "Various Approaches to Text Representation for Named Entity Disambigu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Web Information Systems, Vol.9, No.3, 2013, 242-259. 

  19. Lee, G. and Y.H. Kwak, "Open Government Implementation Model : A Stage Model for Achieving Increased Public Engagement", Proceedings of the 12th Annual International Digital Government Research Conference : Digital Government Innovation in Challenging Times, ACM, 2011, 254-261. 

  20. Lin, C.S. and H.C. Yang, "Data Quality Assessment on Taiwan's Open Data Sites", In International Conference, MISNC,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4, 325-333. 

  21. Lin, J.C.C. and H. Lu, "Towards an Understanding of the Behavioural Intention to Use a Web Site",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20, No.3, 2000, 197-208. 

  22. Ludvall, B.A. and B. Johnson, "The Learning Economy", Journal of Industry Studies, Vol.1, No.2, 1994, 23-42. 

  23. Martin, S., M. Foulonneau, and S. Turki, "1-5 Stars : Metadata on the Openness Level of Open Data Sets in Europe", In Metadata and Semantics Research 2013,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3, 234-245. 

  24. McKinney, V., K. Yoon, and F.M. Zahedi, "The Measurement of Web-Customer Satisfaction : An Expectation and Disconfirmation Approach",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3, No.3, 2002, 296-315. 

  25. OECD, Knowledge Based Economy, Paris : OECD, 1996. 

  26. Oliver, K.M., G.L. Wilkinson, and L.T. Bennett, "Evaluating the Quality of Internet Information Sources", 1997, Available at http://files.eric.ed.gov/fulltext/ED412927.pdf(Downloaded June 12. 2015). 

  27. O'Riain, S., E. Curry, and A. Harth, "XBRL and Open Data for Global Financial Ecosystems : A Linked Data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s, Vol.13, No.2, 2012, 141-162. 

  28. Pang, M.S. and W.J. Suh, "Developing a Comprehensive Set of Website Quality Dimens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e-Business Studies, Vol.9, No.1, 2008, 329-358. (방민석, 서우종, "문헌연구를 통한 포괄적 웹사이트 품질 차원 개발", e-비즈니스연구, 제9권, 제1호, 2008, 329-358.) 

  29. Park, C. and T.M. Lee, "Information Direction, Website Reputation and eWOM Effect : A Moderating Role of Product Typ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2, No.1, 2009, 61-67. 

  30. Parsons, M.A. and P.A. Fox, "Is Data Publication the Right Metaphor?", Data Science Journal, Vol.12, 2013, 32-46, doi:http://doi.org/10.2481/dsj.WDS-042 

  31. Romero, C., S. Ventura, and E. Garcia, "Data Mining in Course Management Systems : Moodle Case Study and Tutorial", Computers and Education, Vol.51, No.1, 2008, 368-384. 

  32. Saaty, T.L., "How to Make a Decision :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48, No.1, 1990, 9-26. 

  33. Kang, H.M. and G.Y. Gim, "A Study on the Indicator of Knowledge Activities in Public Institu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Vol.6, No.1, 2007, 1-15. (강형모, 김광용, "공공부문의 지식활동 측정 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6권, 제1호, 2007, 1-15.) 

  34. Smith, A., "Librarians and the Web : A Report on a Study Tour", LASIE : Library Automated Systems Information Exchange, Vol.25, No.1/2, 1994, 4-15. 

  35. Tammisto, Y. and J. Lindman, "Definition of Open Data Services in Software Business",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Software Business, Cambridge, MA, USA, Vol.114, 2012, 297-303. 

  36. Tillman, H.N., "Evaluating Quality on the Net", 1996, Available at http://www.hopetillman.com/findqual.php(Accessed August 23. 2015). 

  37. Veljkovic, N., S. Bogdanovic-Dinic, and L. Stoimenov, "Benchmarking Open Government : An Open Data Perspective",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Vol.31, No.2, 2014, 278-290. 

  38. Wang, R.Y. and D.M. Strong, "Beyond Accuracy : What Data Quality Means to Data Consumer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2, No.4, 1996, 5-33. 

  39. Welch, E.W. and W. Wong,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Pressure and Government Accountability : The Mediating Effect of Domestic Context on Website Opennes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11, No.4, 2001, 509-538. 

  40. Wirtz, B.W. and R. Piehler, "eGovernment Applications and Public Personnel Acceptance :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Public Servant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39, No.3, 2016, 238-247. 

  41. Zaveri, A., A. Rula, A. Maurino, R. Pietrobon, J. Lehmann, and S. Auer, "Quality Assessment for Linked Open Data : A Survey", Semantic Web, Vol.7, No.1, 2015, 63-93. 

  42. Zhang, J., X. Yao, G. Han, and Y. Gui, "A Survey of Recent Technologies and Challenges in Big Data Utilization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vergence (ICTC), 2015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Jeju Island, South Korea, 2015, 497-4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