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개발투자에 따른 비용저감 효과 분석: ICT산업을 중심으로
An Analyzing the Cost-Saving Effect of R&D Investment: Focusing on the ICT Industry 원문보기

기술혁신연구, v.24 no.3, 2016년, pp.81 - 105  

박철민 (UST 과학기술경영정책학과) ,  한정민 (기초과학연구원 이노베이션팀,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  구본철 (기초과학연구원, UST 과학기술경영정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ICT산업의 연구개발투자에 따른 비용저감 효과를 계측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연구개발투자는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을 유발하고, 또 이들은 각각 매출증대와 비용저감 효과를 견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 수행된 실증연구들을 살펴보면, 그 대부분이 연구개발투자의 매출증대 기여부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ICT산업을 중심으로 연구개발투자의 비용저감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초월대수 비용함수와 비용점유율 방정식을 설정하였으며, SUR방법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분석결과, 연구개발투자에 따른 총비용의 감소효과는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연구개발투자와 각 생산요소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연구개발투자와 중간투입은 상호 대체관계, 노동 및 자본과는 보완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ost-saving effect of R&D investment in the ICT industry. As is well known, the R&D investment induces both the product innovation and the process innovation, in turn leads the effect of creating profit and cutting cost. However, it appears that studies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용함수를 이용하여 연구개발투자의 비용저감 효과를 분석하고, 아울러 연구개발투자와 각 투입물의 가격변수들 사이의 관계 또한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ICT산업의 연구개발 투자효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 근거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연구개발투자의 확대를 통한 성장전략이 보다 중요한 관심을 갖는 현시점에서 대표적인 R&D 집약적 산업인 ICT산업을 중심으로 연구개발투자로 인한 비용저감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초월대수 비용함수와 비용점유율 방정식이 결합된 연립방정식체계 내모수들을 추정하기 위한 분석방법으로 Zeller(1962, 1963)가 제안한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모형을 활용하고자 한다.
  • 비용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통상 사용되던 생산함수 대신 생산함수와 쌍대관계(duality)에 있는 비용함수를 이용하고자 한다. 이는 생산자의 이윤극대화(maximizing profit)를 가정해야 하는 생산함수에 비해 비용함수는 비용최소화(minimizing cost)만을 가정해도 되는 편의성(convenience)을 갖는 동시에, 생산함수의 경우 외생적으로 결정되어 있는 투입물과 산출물 가격 모두를 필요로 하는 반면, 비용함수의 경우 투입물의 가격변수만을 필요로 한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노재선 외, 2004).
  • 이에 본 연구는 연구개발투자가 생산비용을 얼마나 저감시켰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는 바이며,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산업을 그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3가지의 비용점유율방정식들(Si) 중 임의로 자본투입의 비용점유율방정식(SK)을 제외한 노동과 중간투입의 비용점유율방정식을 추정하고자 하였으며, 생산요소 가격변수들 중 임의로 자본가격(PK)을 나누어 정리해주었다.
  • 하지만, 기존연구들 대부분이 제조업부문의 기업데이터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ICT산업을 대상으로 특정하고 국가단위의 자료를 활용한다는 데서 그 차별성을 두고자 한다.
  • 한편, 본 연구의 목적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연구개발투자에 따른 비용저감효과분이며, 이는 다른 조건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경우(ceteris paribus) 다음 (16)과 같은 식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가설 설정

  • 이상 실증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각 생산요소에 대해 연속으로 2차 미분 가능한 생산함수가 있다고 가정하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혁신이론 관점에서 연구개발투자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 여기서, 제품혁신은 성능이나 용도에 있어 기존 제품과는 완전히 다른 제품 또는 서비스의 사업화에 성공하여 기업의 매출에 영향을 준 경우를 뜻하고, 공정혁신은 생산 공정, 납품, 유통 등에서 완전히 새롭거나 크게 개선된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의미한다(OECD, 2005). 즉, 혁신이론 관점에서 보면 연구개발투자는 이들 혁신을 통해 각각 부가가치 창출과 비용저감 효과가 유발되고, 더 나아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Griliches, 1980).
생산함수는 무엇을 가정하고 있는가? 비용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통상 사용되던 생산함수 대신 생산함 수와 쌍대관계(duality)에 있는 비용함수를 이용하고자 한다. 이는 생산자의 이윤극대화(maximizing profit)를 가정해야 하는 생산함수에 비해 비용함수는 비용최소화(minimizing cost)만을 가정해도 되는 편의성(convenience)을 갖는 동시에, 생산함수의 경우 외생적으로 결정되어 있는 투입물과 산출물 가격 모두를 필요로 하는 반면, 비용함수의 경우 투입물의 가격변수만을 필요로 한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노재선 외, 2004). 그뿐만 아니라 비용함수를 통해 도출된 추정치들은 통상 생산함수의 경우에 비해 편의(bias)될 가능성이 더 적은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정성철 외, 1993).
최근 국가 연구개발의 투자규모가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까닭은 무엇인가? 최근 국가 연구개발(R&D, Research and Development) 투자규모의 지속적인 증대가 이루어져 오고 있다. 이는 그동안 경제성장을 주도해오던 노동과 물적 자본의 양적투입에 의한 성장전략이 더 이상 실효를 거두지 못하게 되면서 기술혁신, 즉 연구개발투자 확대를 통한 경제성장 전략이 새롭게 모색되고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KISTEP (2014), 2013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 김규남.김정언.정현준.이영수 (2013), ICT R&D 투자의 효율성 분석과 중장기 투자방향 연구, 충북: 정보통신정책연구원. 

  3. 김상호.한광호 (1999), "한국 제조업에 있어서 사회간접자본과 공공연구개발 자본의 생산효과",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1권 제1호, pp. 139-157. 

  4. 김선근.오완근 (2004), "정부와 민간의 R&D 투자 및 국민소득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미.일 국제비교", 기술혁신학회지, 제7권 제2호, pp. 257-281. 

  5. 남준우 (2000), "초월대수함수를 통하여 본 연구개발투자의 가격에 대한 장기효과 분석", 시장경제연구, 제29권 제2호, pp. 201-212. 

  6. 노재선.홍준표.권오상 (2004), "한국 농업의 연구개발투자 효과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제31권 제2호, pp. 311-328. 

  7. 박수경 (2003), "목표좌표를 이용한 다차원 선호도 분석의 최적좌표화",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승록 (2014), "창조경제에서 정보통신기술의 활용과 일자리 창출 및 성장", 생산성논집, 제28권 제2호, pp. 51-86. 

  9. 박철민.구본철 (2015), "우리나라 R&D 디플레이터의 산출 및 분석", 기술경영경제학회 2015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0. 박철민.한정민.구본철 (2016), "R&D기여율 차등적용에 관한 탐색연구: ICT R&D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19권 제1호, pp. 29-47. 

  11. 송문갑.전태갑 (1992), "SUR 모형을 이용한 농가소비구조 분석",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 제28권, pp. 67-85. 

  12. 신강원.최기주 (2014), "SUR 모형을 이용한 강수량과 대중교통 승객 수간 관계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32권 제2호, pp. 83-92. 

  13. 신태영 (2004),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 충남: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양희승 (2010), "R&D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편익 추정의 정형화 가능성에 관한 고찰", 정책분석 평가학회보, 제20권 제2호, pp. 77-101. 

  15. 이경석.박명철.이덕희 (2006), "시차분석을 통한 정보통신산업 연구개발투자가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31권 제2B호, pp. 154-163. 

  16. 이달석 (2000), "한국 제조업의 생산구조와 에너지수요요소간 대체와 기술변화의 영향",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이헌준.백철우.이정동 (2014), "기업 R&D투자의 시차효과분석", 기술혁신연구, 제22권 제1호, pp. 1-22. 

  18. 장진규.정성철.김기국 (1994), 연구개발 투자의 경제효과 분석, 서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 정기순 (2001), "초월대수가변비용함수모형을 이용한 정보통신기기 제조업의 기술진보 측정",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정성철.장진규 (1993), 기술개발투자의 경제효과분석: 모형개발을 위한 사전조사 연구, 서울:한국과학기술연구원. 

  21. 정순기.이병호 (2013), "ICT 융합 진화과정의 동태성: 실리콘밸리 지식 융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2권 제1호, pp. 143-161. 

  22. 조헌주 (2015), "초월대수 비용함수 추정을 통한 KLEM 요소간 대체성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추정엽 (2008), "부품소재기업의 연구개발투자와 비용효율성의 관련성에 관한 실증연구", 산업경제연구, 제21권 제6호, pp. 2413-2431. 

  24. 한국은행 (2014), 한국의 국민대차대조표 해설, 서울: 한국은행. 

  25.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3), 정보통신부문 상품 및 서비스 분류체계 표준, 경기: 정보통신기술협회. 

  26.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2015), 2014 ICT실태조사, 서울: 정보통신진흥협회. 

  27. 한은정 (2015), "연구개발지출이 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허재준.이영수.서환주, (2003), 정보통신기술과 숙련노동,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9. 홍재표.최나린.김방룡 (2012), "IT산업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37권 제9호, pp. 837-848. 

  30. Autor, D. H., L. F. Katz and A. B. Krueger (1998), "Computing Inequality: Have Computers Changed the Labor Market?",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113, No. 4, pp. 1169-1213. 

  31. Berman, E, J. Bound and S. Machine (1998), "Implications of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International Evidenc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113, No. 4, pp. 1245-1279. 

  32. Berman, E, J. Bound and Z. Griliches (1994), "Changes in the Demand for Skilled Labor within U.S. Manufacturing Industries",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109, No. 2, pp. 367-398. 

  33. Bernstein, J. I. and Nadiri, M. I. (1988), "Interindustry R&D spillovers, rates of return, and production in high-tech industries", American Economic Reivew, Papers and Proceedings, pp. 429-434. 

  34. Bernstein, J. I. and Mamuneas, T. P. (2006), "R&D depreciation, stocks, user costs and productivity growth for US R&D knowledge intensive industries", Structural Change and Economic Dynamics, Vol. 17, No. 1, pp. 70-98. 

  35. Bretschger, L. (2005), "Economics of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natural environment: How effective are innovations as a remedy for resource scarcity?", Ecological Economics, Vol. 54, No. 2, pp. 148-163. 

  36. Christensen, R. G., Jorgenson, D. W. and L. J. Lau (1971), "Conjugate duality and transcendental logarithmic production function", Econometrica, Vol. 39, No. 4, pp. 255-256. 

  37. Christensen, L. R. and W. H. Greene (1976), "Economies of scale in U.S. electric power generation", Th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84, No. 4, pp. 655-676. 

  38. Diewert W. E. (1974), Applications of Duality Theory, In Frontier of Quantitative Economics, edited by M. D. Intriligator and D. A. Kendrick, Amsterdam: North-Holland. 

  39. Griliches, Z. (1979), "Issues in Assessing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o Productivity Growth", Bell Journal of Economics, Vol. 10, pp. 92-116. 

  40. Griliches, Z. (1980), "R&D and the Productivity Slowdown",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70, pp. 343-348. 

  41. Hall, R. E. and D. E. Jorgenson (1967), "Tax Policy and Investment behavior",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pp. 391-414. 

  42. Hall, B. H. (2002), "The financing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Vol. 18, No. 1, pp. 35-51. 

  43. Jaffe, A. (1986), "Technological opportunity and spillovers of R&D: evidence from firms' patents, profits and market valu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76, No. 5, pp. 984-1001. 

  44. Levin, R. C. and P. C. Reiss (1984), "Tests of a Schumpeterian model of R&D and market structure", in Z. Griliches (ed.), pp. 175-208. 

  45. Lundvall, B. A. (1992), National Innovation System: Towards a Theory of Innovation and Interactive Learning, Lundon, UK: Printer. 

  46. Nadiri, M. I. and Mamuneas, T. P. (1994), "The Effects of Public Infrastructure and R&D Capital on the Cost Structure and Performance of U.S. Manufacturing Industrie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 76, No. 1, pp. 22-37. 

  47. Nieto, M. J., and Santamaria, L. (2007), "The importance of diverse collaborative networks for the novelty of product innovation", Technovation, Vol. 27, No. 6, pp. 367-377. 

  48. OECD (2001), Measuring Productivity: OECD Manual, Measurement of Aggregate and Industrial-level Productivity Growth. 

  49. OECD (2002), "The Measurement of Scientific and Technical Activity", Frascati Manual. 

  50. OECD (2005), Oslo Manual, Paris, France: OECD Publishing. 

  51. OECD (2015), Addressing the Tax Challenges of the Digital Economy, Paris, France: OECD Publishing. 

  52. Von Hippel, E. (1976), "The dominant role of users in the scientific instrument innovation process", Research Policy, Vol. 5, No. 3, pp. 212-239. 

  53. Zellner, A. (1962), "An efficient method of estimating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s and tests for aggregation bia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57, pp. 348-368. 

  54. Zellner, A. (1963), "Estimators for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equations: Some exact finite sample result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58, pp. 977-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