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개발 활동 효율성의 산업간 비교 분석: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Analysis of R&D Efficiency between Industries : focusing on Technology-innovative SMEs 원문보기

기술혁신연구, v.29 no.3, 2021년, pp.33 - 62  

전수진 (부경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활동 효율성을 산업 간 비교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연구표본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기술보증기금의 기술평가보증을 받은 6,708개 기업이다. 투입변수는 기술인력수준과 연구개발투자, 산출변수는 특허출원과 시제품제작실적이다. 효율성은 DEA 모형으로 측정하며, 산업별 개별측정하는 간접비교를 수행한다. 그 결과로 최적의 규모수익을 판단하는 기술효율성(CCR)은 0.19, 최적의 투입분배를 판단하는 순수기술효율성(BCC)은 0.70, 최적의 산출규모를 판단하는 규모효율성(SE)은 0.30으로 나타났다. 산업유형으로 살펴보면, 중·저급기술산업군은 규모효율성이 낮아서 연구성과 확대가 요구되고, 고급·첨단기술산업은 순수기술효율성이 낮아서 투입요소 관리가 필요하다. 산업 전반에 규모의 비효율이 크므로 연구성과 관리를 통한 규모의 확대가 이뤄져야 하며, 이를 위한 연구인력과 투자비의 분배가 병행되어야 효율성이 향상될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에서 연구개발의 비효율성 원인이 규모에 있다는 것을 기술보증기금의 기술평가자료로 규명한 것이 특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efficiency of R&D activities of technology-innovati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between industries and proposes ways to improve efficiency. The research samples are 6,708 technology-innovative SMEs, which have received a guarantee by the KIBO from ...

주제어

참고문헌 (54)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가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 「2019년도 과학기술통계백서」, 세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 김건식 (2018), "연구개발투자와 혁신성과 간의 비선형 관계에서 업종별 기술집약도의 역할과 상호작용,"「중소기업연구」, 제40권 제1호, pp. 1-23. 

  3. 류성진 (2013),「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4. 민완기 (2009),「한국산업의 이해」, 대전 : 글누리. 

  5. 박만희 (2008),「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서울 : 한국학술정보(주). 

  6. 서용윤.김문수 (2011), "DEA를 활용한 제조 및 서비스산업의 기술혁신활동 효율성 비교연구," 「산업공학(IE interfaces)」, 제24권 제4호, pp. 330-340. 

  7. 서환주.강성진.김정언 (2008), "IT 중소기업의 연구개발투자 효율성 분석,"「기술혁신연구」,제16권 제2호, pp. 41-63. 

  8. 송주영.성형석 (2015), "기술자원의 전략적 자원속성과 경쟁우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기술중소기업의 기술평가자료를 이용한 VRIO Framework의 실증분석,"「기술혁신학회지」,제18권 제3호, pp. 416-443. 

  9. 신진교.장수덕 (2009), "중소 제조기업의 R&D 투자 효율성 결정요인,"「인적자원관리연구」, 제16권 제4호, pp. 165-178. 

  10. 신태영.송종국.이우성.송치웅.김현호.손수정 (2006),「제조업 부문 기술혁신의 결정요인과 정책과제 (정책연구 2006- 02)」, 서울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1. 오승환.김선우 (2018),「중소기업 R&D 지원의 성과와 방향 (STEPI Insight 224)」,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 오준병 (2006),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 분석 - OECD 국가들을 중심으로,"「경상논집」,제20권 제1호, pp. 105-128. 

  13. 윤상흠.박춘식.하귀룡 (2017), "국내 제약기업의 기술혁신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상장기업을 중심으로,"「經營敎育硏究」, 제32권 제1호, pp. 25-46. 

  14. 이기섭 (2013),「창조경제와 R&D 전략」, 서울 : 매일경제신문사. 

  15. 이수철.이동호 (2016), "Cumulative DEA/ Malmquist Index 기법을 이용한 정부출연 연구기관 연구개발 효율성 변화 분석,"「한국경영과학회지」, 제41권 제1호, pp. 99-111. 

  16. 이인기.양동우 (2016), "CEO의 기술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기업의 기술적 역량 매개효과 중심으로,"「벤처창업연구」, 제11권 제20호, pp. 167-182. 

  17. 이정동.오동현 (2012),「효율성 분석이론」, 서울 : (주)지필미디어. 

  18. 이종대.정양헌 (2014), "한국 중소 제조기업의 R&D 생산성 분석 : R&D 단계 및 산업 유형," 「회계정보연구」, 제32권 제1호, pp. 51-68. 

  19. 이지영.김철연.최경현 (2016), "외부 R&D가 혁신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내 제조산업을 중심으로,"「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39권 제4호, pp. 125-136. 

  20. 이학식.임지훈 (2013),「SPSS 20.0 매뉴얼」, 서울 : 집현재. 

  21. 이헌준.백철우.이정동 (2014), "기업 R&D 투자의 시차효과 분석,"「기술혁신연구」,제22권 제1호, pp. 1-21. 

  22. 임호순.유석천.김연성 (1999), "연구개발사업의 평가 및 선정을 위한 DEA/AHP 통합모형에 관한 연구,"「한국경영과학회지」,제24권 제4호, pp. 1-12. 

  23. 장성근.신영수.정해혁 (2009), "R&D투자, 기술경영능력, 기업성과 간의 관계,"「경영학연구」, 제38권 제1호, pp. 105-132. 

  24. 전수진.홍재범 (2020),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효율성 결정요인 분석: 경영주역량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중소기업연구」, 제42권 제4호, pp. 147-172. 

  25. 정분도 (2014), "ICT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효율성과 생산성,"「통상정보연구」, 제16권 제4호, pp. 55-75. 

  26. 조용래.유상욱.김명순 (2017),「정부 연구성과 실증사업의 유형과 추진전략 (STEPI Insight 210)」, 세종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7. 중소벤처기업부.중소기업중앙회 (2018),「2018년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 보고서」, 대전 : 저자. 

  28. 천동필.정양헌.방성식 (2014), "한국 주요기업의 연구개발 생산성 분석,"「회계연구」, 제19권 제4호, pp. 173-190. 

  29. 홍한국.하성호.박상찬 (2000), "SI 프로젝트의 효율성 평가를 위해 자료포괄분석과 기계학습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분석,"「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제10권 제1 호, pp. 19-35. 

  30. 황동현.박재민 (2018), "제조업 기술수준별 효율성 비교 및 결정요인 분석,"「생산성논집(구. 생산성연구)」, 제32권 제1호, pp. 209-237. 

  31. 황석원.안두현.최승현.권성훈.천동필.김아름.박종혜 (2009),「국가 연구개발사업 R&D 효율성 분석 및 제고방안 (정책연구 2009-24)」, 서울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2. Aiken, L. S. and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 Sage Publications. 

  33. Coelli, T. J., Rao,, D. S. P.. O'Donnell, C. J., and Battese, G. E. (1998), An Introduction to Efficiency and Productivity Analysis, 2nd ed., New York : Springer. 

  34. Cooper, W. W., Seiford, L. M. and Tone, K. (2000), Data Envelopment Analysis, .Kluwer : Academic Publishers. 

  35. OECD (2002), Frascati Manual: Proposed Standard Practice for Surveys on Research and Experimental Development, Paris : OECD. 

  36. Hashimoto, A. and Haneda, S. (2008), "Measuring the change in R&D efficiency of the Japanese pharmaceutical industry," Research Policy, Vol. 37, No. 10, pp. 1829-1836. 

  37. Hollanders, H. J. G. M. and Celikel-Esser F. (2007), "Measuring Innovation Efficiency,"Brussels : European Commission 

  38. Atkinson, S. E. and Halvorsen , R. (1980), "A Test of Relative and Absolute Price Efficiency in Regulated Utilitie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 62, No. 1, pp. 81-88. 

  39. Bae, Y. and Chang, H. (2012),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between open and closed innovation: empirical evidence in South Korean manufacturers,"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Vol. 24, No. 10, pp. 967-980. 

  40. Banker, R. D., Charnes, A., and Cooper, W. W.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 30, No. 9, pp. 1078-1092. 

  41. Charnes, A., Cooper, W. W., and Rhodes, E.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2, No. 6, pp. 429-444. 

  42. Chen C. T. and Lin, M. H. (2006), "Using DEA to Evaluate R&D Performance in the Integrated Semiconductor Firms-Case Study of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Computer, the Internet and Management, Vol. 14, No. 3, pp. 50-59. 

  43. Chiu, Y. H., Huang, C. W. and Chen, Y. C. (2012), "The R&D value-chain efficiency measurement for high-tech industries in China," Asia Pacific Journal of Management, Vol. 29, No. 4, pp. 1-18. 

  44. Cruz-Cazares, C., Bayona-S, C., and Garcia-M. T. (2013), "You Can't Manage Right What You Can't Measure Well: Technological Innovation Efficiency," Research Policy, Vol. 42, pp. 1239-1250. 

  45. Emrouznejad, A. and Yang, Guo-liang (2017), "A survey and analysis of the first 40 years of scholarly literature in DEA: 1978-2016," Socio-Economic Planning Sciences, Vol. 61, pp. 4-8. 

  46. Frenkel A., Shefer D., Koschatzky K., and Walter G. H. (2001), "Firm Characteristics, Location and Regional Innovation : A Comparison between Israeli and German Industrial Firms," Regional Studies, Vol. 35, No. 5, pp. 415-429. 

  47. Khoshnevis, P. and Teirlinck, P. (2018), "Performance evaluation of R&D active firms," Socio-Economic Planning Sciences, Vol. 61, pp. 16-28. 

  48. Lieberman, M. and Montgomery, D. (1988), "First-mover advantag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9, No. 1, pp. 41-58. 

  49. Lim, S. M. (2009), "A Method for Selection of Input-Output Factors in DEA," IE Interfaces, Vol. 22, No. 1, pp. 44-55. 

  50. Park, J. H. (2018), "Open innov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innovation efficiency,"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 26, No. 2, pp. 115-145. 

  51. Pavitt, K. (1984), "Sectoral Patterns of Technical Change: Towards a Taxonomy and a Theory," Research Policy, Vol. 13, No. 6, pp. 343-373. 

  52. Salas-Velasco, M. (2018), "Production efficiency measurement and its determinants across OECD countries: The role of business sophistication and innovation," Economic Analysis and Policy, Vol. 57, pp. 60-73. 

  53. Shefer, D., and Frenkel, A. (2005), "R&D, Firm Size and Innovation : An Empirical Analysis," Technovation, Vol. 25, No. 1, pp. 25-32. 

  54. Thanassoulis, E. (1995), "Assessing Police Forces in England and Wale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87, pp. 641-65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