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이중과제 훈련이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Dual-Task Training for Stroke With Hemiplegia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5 no.1, 2016년, pp.23 - 32  

이예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정민예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이중과제 훈련을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여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국외 연구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07년부터 2015년까지 국외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를 통하여 검색을 실시했다. 분류 및 선정과 배제조건을 통해 총 5개의 실험연구 논문을 포함논문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선정된 5편의 문헌은 모두 사전사후 대조군 설계로, PEDro score은 6점 이상으로 높은 편에 속했다. 사용된 중재에서 채택된 운동과제는 모두 보행과제였으며, 인지과제는 다양한 과제를 포함하여 범위가 넓었다. 사용된 평가도구는 표준화된 평가도구부터 조작적 정의에 의한 평가가 사용되었고, 더 나아가 이중과제 훈련을 위하여 고안된 평가도구도 포함되어 다양한 측면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고찰 : 본 연구를 통하여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운동 및 인지기능의 향상 뿐 만 아니라 이중과제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현재까지 진행된 뇌졸중 환자 대상의 이중과제 훈련의 제한점 또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치료 분야에 적용을 위하여 보완점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서의 역할과 효과적 치료를 알리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current international researches which identify the effect of stroke with hemiplegia after dual-task training Methods : We systematically examined journals published from 2007 to 2015, searching PubMed. Total 5 researche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es. Results : Se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체계적 고찰연구(systematic review)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이중과제 훈련을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효과에 대해 입증해낸 논문에서 채택된 중재 방법과 결과 측정 방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7년 이후로 최근 8년간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였고, 포함 및 제외기준에 부합하는지 분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이중과제 훈련을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그 방법과 관찰 가능한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주로 물리치료학 분야에서 접근하는 이중과제 훈련의 제한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재활영역에서 뇌졸중 환자를 위한 수정된 이중과제 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이 이중과제 훈련은 다양한 신경질환군에게 시행하여 운동기능, 인지기능, 이중과제 효과에 영향을 보았으나 최근 증가하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이중과제 훈련의 중재 효과가 규명되지 않았고, 이러한 점을 반영한 고찰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중과제 훈련을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된 국외 논문을 분석하고 근거를 제시하는 체계적 방법을 통해 국내에서 뇌졸중 환자를 위한 이중과제 훈련 제공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의 중재방법 중 하나인 이중과제훈련이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적 중재방법이 최근까지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는데, 일상생활수행 시 필요한 복합적 과제 수행을 위한 중재로 이중과제훈련이 있다. 이중과제훈련은 운동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인지적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두 가지 과제에 들이는 노력 간의 상호갈등 상황을 유발하는 것이다(Woollacott & Shumway-Cook,2002). 이는 결과적으로 운동과제 수행 시 높은 주의집중력을 요구하게 된다.
이중과제훈련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들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2015년 12월 Pubmed에서 ‘dual-task’의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총 80편의 논문 중에서 70편이 최근 10년 사이에 연구되었으며, 그 중 52편은 최근 5년 이내에 게재되었다. 이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최근 이중과제훈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과 더불어 간단한 방법을 통해 임상 환경에서의 적용이 쉬운 반면에 그에 대한 효과에 대한 근거는 불충분하다는 점을 추론해 볼 수 있다. 
뇌졸중 환자에게 나타나는 장애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뇌졸중은 뇌혈관이 손상되어 병변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장애가 초래되며 국내 사망원인 중 전체 2위를 차지하는 심각한 질환이다(통계청, 2011). 장애 형태는 운동장애, 인지장애, 언어장애, 지각장애, 감각장애, 정서장애 등이 나타나고 있으나 그 중 편측마비는 전체 뇌졸중 환자의 60% 이상에서 초래되는 운동장애이다(Ozdemir, Birtane, Tabatabaei &Kokino, 2001). 이로 인한 손상된 상지 기능은 독립적 일상생활수행에 제한이라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작업치료 분야에서는 마비된 상지에 대한 기능향상을 중요한 목표 중 하나로 여겨왔다(Caliandro et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통계청. (2011). 2011년 사망 원인 통계. 대전, 한국: 통계청. 

  2. Al-Yahya, E., Johansen-Berg, H., Kischka, U., Zarei, M., Cockburn, J., & Dawes, H. (2015). Prefrontal cortex activation while walking under dual-task conditions in stroke: A multimodal imaging study.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1-9. doi:1545968315613864 

  3.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13(5), 18. 

  4. Brown, T., Mapleston, J., Nairn, A., & Molloy, A. (2013). Relationship of cognitive and perceptual abilities to functional independence in adults who have had a stroke.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20(1), 11-22. doi:10.1002/oti.1334 

  5. Caliandro, P., Celletti, C., Padua, L., Minciotti, I., Russo, G., Granata, G., ... Camerota, F. (2012). Focal muscle vibration in the treatment of upper limb spasticity: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3(9), 1656-1661. doi:10.1016/j.apmr.2012.04.002 

  6. Choi, W., Lee, G., & Lee, S. (2015). Effect of the cognitive-motor dual-task using auditory cue on balance of survivors with chronic stroke: A pilot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29(8), 763-770. doi:10.1177/0269215514556093 

  7. Doi, T., Makizako, H., Shimada, H., Park, H., Tsutsumimoto, K., Uemura, K., & Suzuki, T. (2013). Brain activation during dual-task walking and executive function among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fNIRS study.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5(5), 539-544. doi:10.1007/s40520-013-0119-5 

  8. Evans, J. J., Greenfield, E., Wilson, B. A., & Bateman, A. (2009). Walking and talking therapy: Improving cognitive-motor dual-tasking in neurological illnes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15(01), 112-120. doi:http://dx.doi.org/10.1017/S1355617708090152 

  9. French, B., Thomas, L., Leathley, M., Sutton, C., McAdam, J., Forster, A., ... Watkins, C. (2010). Does repetitive task training improve functional activity after stroke? A cochran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42(1), 9-15. doi:http://dx.doi.org/10.2340/16501977-0473 

  10. Hollands, K., Agnihotri, D., & Tyson, S. (2014). Effects of dual task on turning ability in stroke survivors and older adults. Gait & Posture, 40(4), 564-569. doi:doi:10.1016/j.gaitpost.2014.06.019 

  11. Hyndman, D., Ashburn, A., Yardley, L., & Stack, E. (2006). Interference between balance, gait and cognitive task performance among people with stroke living in the communit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8(13-14), 849-856. doi:10.1080/09638280500534994 

  12. Jette, A. M., Keysor, J., Coster, W., Ni, P., & Haley, S. (2005). Beyond function: Predicting participation in a rehabilitation cohort.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11), 2087-2094. doi:10.1016/j.apmr.2005.08.001 

  13. Kelly-Hayes, M., Beiser, A., Kase, C. S., Scaramucci, A., D'Agostino, R. B., & Wolf, P. A. (2003). The influence of gender and age on disability following ischemic stroke: The framingham study.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12(3), 119-126. doi:10.1016/S1052-3057(03)00042-9 

  14. Kwakkel, G., Kollen, B. J., van der Grond, J., & Prevo, A. J. (2003). Probability of regaining dexterity in the flaccid upper limb: Impact of severity of paresis and time since onset in acute stroke. Stroke, 34(9), 2181-2186. doi:10.1161/01.STR.0000087172.16305.CD 

  15. Patel, P., & Bhatt, T. (2014). Task matters: Influence of different cognitive tasks on cognitive-motor interference during dual-task walking in chronic stroke survivors.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21(4), 347-357. doi:http://dx.doi.org/10.1310/tsr2104-347 

  16. Plummer-D'Amato, P., Kyvelidou, A., Sternad, D., Najafi, B., Villalobos, R. M., & Zurakowski, D. (2012). Training dual-task walking in community-dwelling adults within 1 year of stroke: A protocol for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Neurology, 12, 129-136. doi:10.1186/1471-2377-12-129 

  17. Su, C. Y., Wuang, Y. P., Lin, Y. H., & Su, J. H. (2015). The role of processing speed in post-stroke cognitive dysfunction.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Neuropsychologists, 30(2), 148-160. doi:10.1093/arclin/acu057 

  18. Tavernese, E., Paoloni, M., Mangone, M., Mandic, V., Sale, P., Franceschini, M., & Santilli, V. (2013). Segmental muscle vibration improves reaching movemen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itation, 32(3), 591-599. doi:10.3233/NRE-130881 

  19. Woollacott, M., & Shumway-Cook, A. (2002). Attention and the control of posture and gait: A review of an emerging area of research. Gait and Posture, 16(1), 1-14. doi:10.1016/S0966-6362(01)00156-4 

  20. Yang, Y., Chen, Y., Lee, C., Cheng, S., & Wang, R. (2007). Dual-task-related gait changes in individuals with stroke. Gait and Posture, 25(2), 185-190. doi:10.1016/j.gaitpost.2006.03.007 

  21. Yogev-Seligmann, G., Giladi, N., Brozgol, M., & Hausdorff, J. M. (2012). A training program to improve gait while dual tasking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 pilot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3(1), 176-181. doi:10.1016/j.apmr.2011.06.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