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향상을 위한 말초감각신경자극의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n Effect of Peripheral Sensory Nerve Stimulat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 for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5 no.2, 2016년, pp.11 - 22  

김선호 (원주 영광병원 작업치료실) ,  박지혁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국외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한 말초감각신경자극의 효과에 대하여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국외 학술지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방법을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2015년 10월 이전까지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를 통하여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 용어로는 'peripheral nerve stimulation', 'electrical stimulation', 'sensory stimulation', 'somatosensory stimulation', 'stroke', 'hemiplegia', 'hemiparesis' 와 'hand', 'arm', 'upper limb'를 사용하였다. 최초 검색된 논문은 501편이었으나 선정 및 배제기준을 거쳐 10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결과: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말초감각신경자극은 뇌졸중 환자들에게 적용이 될 때에 보다 다양한 중재방법으로 연구에 적용이 되고 있었다. 말초감각신경자극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효과를 나타냈으며, 대뇌피질의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말초감각신경자극치료의 적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며, 향후 국내연구에서는 다양한 중재방법을 적용하여 말초감각신경자극의 효과를 더 정확하게 측정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is executed systematic review targeted at international journals intended to investigate on effect of peripheral sensory nerve stimulat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 for stroke patients. Method: After literature search, researchers selected for 10 studies registered up to Oc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말초감각신경자극의 적용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을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서 말초감각신경자극에 관한 상지 기능에 대한 중재효과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특성과 연구의 중재특성 및 말초감각신경자극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최근에는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말초감각신경자극은 뇌졸중 환자들에게 적용이 될 때에 보다 다양한 중재방법으로 연구에 적용이 되었다. 말초감각신경자극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효과를 나타냈으며, 대뇌피질의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서 말초감각신경자극치료에 관한 중재효과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특성과 연구의 중재특성 및 말초감각신경자극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최근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말초감각신경자극은 뇌졸중 환자들에게 적용이 될 때에 보다 다양한 중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에 적용이 되고 있었다.
  • 또한, PNS가 뇌졸중 환자의 상기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국외에서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유인규, 박지혁, 2012).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향상을 위한 말초감각신경자극의 적용의 국외연구의 결과를 통합하고 연구경향을 파악하여 이후 이루어질 국내 말초감각신경자극치료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뇌졸중은 대표적인 뇌혈관 질환의 하나로써 뇌의 혈관이 막히거나 터짐으로써 갑작스런 의식장애나 마비 현상 같은 신경학적 이상을 가져오는 급성 질환이다(Chang, Tung, Wu, & Su, 2006) 대부분 비정상적근 긴장(abnormalities in muscle tone)이나 운동마비(motor paresis)로 인한 상지 기능 운동 장애를 경험하게 되며 이는 일상생활동작을 수행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장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Raghavan, 2007).
뇌졸중 환자의 운동 장애를 개선하기 위하여 오래 전부터 사용해온 치료법과 그 특징은? 뇌졸중 환자의 손상된 측의 상지를 더욱 많이 사용 하게 하고, 보다 효율적인 움직임을 유발시키게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기울여졌었다. 오래 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고유감각 신경근 촉진법(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echnique: PNF), 그리고 Bobath 신경 발달치료(Bobath’s Neurodevelopmental Technique:NDT) 등은 마비되지 않은 쪽을 사용하여 보상기능을 획득하거나 기능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이러한 치료법들은 성인이 된 후에 중추신경계가 재생되거나 발달할 수 없다는 고전적인 개념에 바탕을 둔 치료법이다(Platz et al., 2005).
뇌졸중 전기자극치료기법인 PNS란? PNS는 말초 신경이 위치하는 근 피부 위에 근육의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의 저주파를 이용하여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것으로 근육의 피로와 통증이 거의 없어 위험요소가 적다(Sullivan, & Hedman,2004). 또한, PNS는 감각운동 피질의 재조합을 유도하는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이며, 반복적인 전기자극은 해당 감각피질의 수용영역의 크기의 증가를 가져온다(Deuchert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유인규, 박지혁, (2012) 뇌졸중을 경험하는 대상자를 위한 체성감각자극 중심치료의 효과 및 방법 제언, 신경재활치료과학, 1(2), 5-13. 

  2. Beekhuizen, K.S., Field-Fote, E.C. (2008). Sensory stimulation augments the effects of massed practice training in persons with tetraplegia.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9, 602-608. doi:10.1016/j.apmr.2007.11.021 

  3. Bolton, D. A., Cauraugh, J. H., & Hausenblas, H. A. (2004). Electromyogram-triggered neuromuscular stimulation and stroke motor recovery of arm/hand function : A meta-analysis. Journal of Neurological Sciences, 223(2), 121-127. doi:10.1016/j.jns 

  4. Celnik, P., Hummel, F., Harris-Love, M., Wolk, R., & Cohen, L. G. (2007). Somatosensory stimulation enhances the effects of training functional hand task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8(11), 1369-1376. doi:10. 1016/j.apmr.2007.08.001 

  5. Chang, J. J., Tung, W. L., Wu, W. L., & Su, F. C. (2006). Effect of bilateral reaching on affected arm motor control in stroke-with and without loading on unaffected arm.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8(24), 1507-1516. doi:10.1080/09638280600646060 

  6. Conforto, A. B., Cohen, L. G., dos Santos, R. L., Scaff, M., & Marie, S. K.N.(2007). Effects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n motor function in chronic cortico-subcortical strokes. Journal of Neurology, 254(3), 333-339. doi:10.1007/s00415-006-0364-z 

  7. Conforto, A. B., Ferreiro, K. N., Tomasi, C., dos Santos, R. L., Moreira, V. L., Nagahashi Marie, S. K. N., ... Cohen, L. G. (2010). Effects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n motor function after subacute stroke.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4(3), 263-272. doi:10.1177/1545968309349946 

  8. de Morton, N. A. (2009). The PEDro scale is a valid measure of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clinical trials: a demographic study. Aust J Physiother, 55(2), 129-133, 2009. doi:10.1016/S0004-9514(09)70043-1 

  9. Deuchert, M., Ruben, J., Schwiemann, J., Meyer, R., Thees, S., Krause, T., Blankenburg, F., Villringer K., Kurth, R., Curio, G., & Villringer, A. (2002). Event-related fMRI of the somatosensory system using electrical finger stimulation. Brain Imaging, 13, 365-369. 

  10. Fleming, M.K., Sorinila, I.O., Roberts-Lewis, S.F., Wolfe, C.D., Wellwood, I., & Newham, D.J. (2015). The Effect of combined somatosensory stimulation and task-specific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9(2), 143-152. doi: 10.1177/1545968314533613 

  11. Fraser, C., Power, M., Hamdy, S., John, R., David, H., Lgor, H., ... David, T. (2002). Driving plasticity in human adult motor cortex is associated with improved motor function after brain injury. Neuron, 34(5), 831-840. 

  12. Gerloff, C., Bushara, K., Sailer A , Wassermann, E.M., Chen, R., Matsuoka, T., Waldvogel, D., Wittenberg, G.F., Ishii, K, Cohen, L. G., & Hallett, M. (2006). Multimodal imaging of brain reorganization in motor areas of the contralesional hemisphere of well recovered patients after capsular stroke. Brain, 129(Pt 3), 791-808. 

  13. Ikuno, K., Kawaguchi, S., Kitabeppu, S., Kitaura, M., Tokuhisa, K., Morimoto, S.,... Shomoto, K. (2012). Effects of peripheral sensory nerve stimulation plus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A pilot randomized crossover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26(11), 999-1009. doi: 10.1177/0269215512441476 

  14. Ikuno, K., Kawaguchi, S., Kitabeppu, S., Kitaura, M., Tokuhisa, K., Morimoto, S.,... Shomoto, K. (2012). Effects of peripheral sensory nerve stimulation plus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A pilot randomized crossover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26(11), 999-1009. doi: 10.1177/0269215512441476 

  15. Kaelin-Lang, A., Luft, A.R., Sawaki, L., Burstein, A.H., Sohn, Y.H., Cohen , L.G. (2002). Modulation of human corticomotor excitability by somatosensory input. The Journal of Physiology. 540(2), 623-633. 

  16. Kattenstroth, J. C., Kalisch, T., Peters, S., Tegenthoff, M., & Dinse, H. R. (2012). Long-term sensory stimulation therapy improves hand function and restores cortical responsiveness in patients with chronic cerebral lesions: Three single case studies. Human Neuroseience, 6(244), 1-13. doi: 10.3389/fnhum.2012.00244 

  17. Klaiput, A., & Kitisomprayoonkul, W. (2009). Increased pinch strength in acute and subacute stroke patients after simultaneous median and ulnar sensory stimulation.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3(4), 351-356. doi: 10.1177/1545968308324227 

  18. Koesler, .IB., Dafotakis, M., Ameli, M., Fink, G.R., & Nowak, D.A. (2009) Electrical somatosensory stimulation improves movement kinematics of the affected hand following stroke.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80(6), 614-619. doi:10.1136/jnnp.2008.161117 

  19. Langhorne, P., Bernhardt, J., & Kwakkel, G. (2011). Stroke rehabilitation. Lancet 377(9778) 1693-1702. 

  20. Lin, K. C., Chen, Y. T., Huang, P. C., Wu, C. Y., Huang, W. L., Yang, H. W., ... Lu, H. J. (2012). Effect of mirror therapy combined with somatosensory stimulation on motor recovery and dail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Journal of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113(7), 422-428. doi:10.1016/j.jfma.2012.08.008 

  21. Lin, K.C., Huang, P.C., Chen, Y.T., Wu, C.Y., & Huang, W.L. (2014).Combining afferent stimulation and mirror therapy for rehabilitating motor function, motor control, ambulation, and daily functions after stroke.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8(2), 153-162. doi: 10.1177/1545968313508468 

  22. Mang, C.S., Lagerquist, O., & Collins, D.F. (2010). Changes in corticospinal excitability evoked by common peroneal nerve stimulation depend on stimulation frequency. Experimental Brain Research, 203(1), 11-20. 

  23. Mangold, S., Schuster, C., Keller, T., Zimmermann-Schlatter, A., & Ettlin, T. (2009). Motor Training of Upper Extremity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Early Stroke Rehabilitation.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3(2), 184-190. doi: 10.1177/1545968308324548 

  24. McKay, D., Brooker, R., Giacomin, P., Ridding, M., Miles, T. (2002). Time course of induction of increased human motor cortex excitability by nerve stimulation. Neuroreport 13(10), 1271-1273. 

  25. Nudo, R.J., Wise, B.M., SiFuentes, F., & Milliken, G.W. (1996). Neural substrates for the effects of rehabilitative training on motor recovery after ischemic infarct. Science. 272, 1791-1794. 

  26. Platz, T., Eickhof, C., Van-Kaick, S., Engel, U., Pinkowaki, C., Kalok, S., & Pause, M. (2005) Impairment-oriented training or Bobath therapy for severe arm paresis after stroke: A single-blind, multicent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19(7), 714-721. 

  27. Raghavan, P. (2007). The nature of hand motor impairment after stroke and its treatment. Current Treatment Options in Cardiovascular Medicine, 9(3), 221-228. doi: 10.1007/s11936-007-0016-3 

  28. Saito, K., Yamaguchi, T., Yoshida, N., Tanabe, S., Kondo, K., & Sugawara, K. (2013). Combined effect of motor imagery and peripheral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motor cortex. Experimental Brain Research, 227(3), 333-342. doi:10.1007/s00221-013-3513-5 

  29. Sawaki, L., Wu, C.W., Kaelin-Lang, A., & Cohen, L.G. (2006). Effects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n use-dependent plasticity in chronic stroke. Stroke. 37, 246-247. 

  30. Sullivan, J. E., & Hedman, L. D. (2004). A home program of sensory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with upper-limb task practice in a patient 5 years after a stroke. Physical Therapy, 84(11), 1045-1054. 

  31. Thieme, H., Bayn, M., Wurg, M., Zange, C., Pohl, M., & Behrens, J. (2012). Mirror therapy for patients with severe arm paresis after stroke-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27(4), 314-324. doi:10.1177/0269215512455651 

  32. Wu, C.W., Seo, H.J., & Cohen, L.G. (2006). Influence of electric somatosensory stimulation on paretic-hand function in chronic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7, 351-357. 

  33. Yang DY (2011). Effects of biofeedback with task-related training on motor function and neural plasticity in subjects with stroke (Doctor's thesis). Dongshin University of Korea, Naju.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