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 경직 감소와 기능 향상을 위한 국소 진동자극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Effectiveness of Focal Muscle Vibration on Upper Extremity Spasticity and Function for Stroke Patients : 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7 no.3, 2018년, pp.23 - 33  

원경아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박지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국외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를 통해 경직을 가지고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진동자극의 효과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NDSL과 RISS를 사용하여 2009년 4월부터 2017년 10월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 용어로 'Vibration therapy', 'Focal vibration ', 'Somatosensory', 'Upper limb'와 'Spasticity after stroke를 사용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통해 최종적으로 6개의 논문이 선정하였다. 결과 : 국소 진동자극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중재방법으로는 진동자극만을 적용한 중재부터 과제기반 진동자극 중재부터 다양하였다.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경직, 상지기능, 일상생활동작 평가도구가 사용되었다. 국소 진동자극은 뇌졸중 환자의 경직 감소와 상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뇌피질의 활성화에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치료사들은 국소 진동자극 적용에 필요한 정보 및 근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국소 진동자극의 적용 방법으로 인해 효율적인 진동수, 진폭의 크기 및 진동을 적용할 위치를 확인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국내연구에서는 국소 진동자극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체계적인 중재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ystematic review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cal muscle vibration in patients with post-stroke spastic hemiplegia. Methods : We searched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April 2009 and October 2017 using PubMed and RISS databases. The main search terms were Vibration therap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최근 10년간 외국 학술지에 실린 국소 진동자극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상지 경직 감소와 기능 회복과 관련된 연구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국소 진동자극 중재 계획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 및 근거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후 나타나는 상지경직과 상지기능 장애에 대한 국소 진동자극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6편의 국외 연구를 선정하여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국외 뇌졸중 환자를 위한 국소 진동자극 치료 방법을 확인하여 국소 진동자극 중재 계획 시, 도움이 될 만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후 나타나는 상지경직과 상지기능 장애에 대한 국소 진동자극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6편의 국외 연구를 선정하여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국외 뇌졸중 환자를 위한 국소 진동자극 치료 방법을 확인하여 국소 진동자극 중재 계획 시, 도움이 될 만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직의 감소를 위해 사용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따라서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상지 기능 회복을 위해 근 긴장도 조절은 중요한데, 경직 감소를 위해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중재 방법은 크게 약물 치료와 비약물 치료로 구분될 수 있다. 하지만, 보툴리눔 독소나 페놀과 같은 약물 치료는근 약화와 근력감소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고, 스트레칭이나 온열치료와 같은 비약물 치료는 지속 효과가 짧다는 단점이 있다(Noma et al.
경직이라는 단어에 포함되는 문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뇌졸중 이후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경직은 근 긴장도의 증가, 사지의 비정상적 자세, 근육의 과도한 구축, 힘줄 반사 항진 등의 임상적 문제들을 포함하는 폭넓은 개념의 용어이다(Noma, Matsumoto, Shimodozono, Etoh, & Kawahira, 2012). 뇌졸중 환자 중 약 20~40%에서 경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상지 근 긴장도의 병적인 증가는 상지 기능을 제한 시킨다(Noma, Matsumoto, Etoh, Shimodozono, & Kawahira, 2009).
경직 감소를 위해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중재 방법들이 가지는 단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상지 기능 회복을 위해 근 긴장도 조절은 중요한데, 경직 감소를 위해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중재 방법은 크게 약물 치료와 비약물 치료로 구분될 수 있다. 하지만, 보툴리눔 독소나 페놀과 같은 약물 치료는근 약화와 근력감소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고, 스트레칭이나 온열치료와 같은 비약물 치료는 지속 효과가 짧다는 단점이 있다(Noma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13(5), 18. 

  2. Calabro, R. S., Naro, A., Russo, M., Milardi, D., Leo, A., Filoni, S., ... Bramanti, P. (2017). Is two better than one? Muscle vibration plus robotic rehabilitation to improve upper limb spasticity and function: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loS one, 12(10), e0185936. 

  3. Caliandro, P., Celletti, C., Padua, L., Minciotti, I., Russo, G., Granata, G., ... Camerota, F. (2012). Focal muscle vibration in the treatment of upper limb spasticity: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3(9), 1656-1661. doi. org/10.1016/j.apmr.2012.04.002 

  4. Casale, R., Damiani, C., Maestri, R., Fundaro, C., Chimento, P., & Foti, C. (2014). Localized 100 Hz vibration improves function and reduces upper limb spasticity: A double-blind controlled study.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50(5), 495-504. 

  5. Costantino, C., Galuppo, L., & Romiti, D. (2017). Short-term effect of local muscle vibration treatment versus sham therapy on upper limb in chronic post-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53(1), 32-40. 

  6. Desmedt, J. E. (1983). Mechanisms of vibration-induced inhibition or potentiation: Tonic vibration reflex and vibration paradox in man. Advances in Neurology, 39, 671-683. 

  7. Hatem, S. M., Saussez, G., della Faille, M., Prist, V., Zhang, X., Dispa, D., & Bleyenheuft, Y. (2016). Rehabilitation of motor function after stroke: A multiple systematic review focused on techniques to stimulate upper extremity recovery.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10, 442. doi. org/10.3389/fnhum.2016.00442 

  8. Heath, C. J., Hore, J., & Phillips, C. G. (1976). Inputs from low threshold muscle and cutaneous afferents of hand and forearm to areas 3a and 3b of baboon's cerebral cortex. The Journal of Physiology, 257(1), 199-227. doi.org/10.1113/jphysiol.1976.sp011364 

  9. Huerta, M. F., & Pons, T. P. (1990). Primary motor cortex receives input from area 3a in macaques. Brain Research, 537(1-2), 367-371. 

  10. Law, M. C., & MacDermid, J. (Eds.). (2008). Evidence-based rehabilitation: A guide to practice(pp.98-107). Thorofare, NJ: Slack Incorporated. 

  11. Marconi, B., Filippi, G. M., Koch, G., Giacobbe, V., Pecchioli, C., Versace, V., ... Caltagirone, C. (2011). Long-term effects on cortical excitability and motor recovery induced by repeated muscle vibra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5(1), 48-60. doi. org/10.1177/1545968310376757 

  12. Murillo, N., Valls-Sole, J., Vidal, J., Opisso, E., Medina, J., & Kumru, H. (2014). Focal vibration in neurorehabilitation.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50(2), 231-242. 

  13. Noma, T., Matsumoto, S., Etoh, S., Shimodozono, M., & Kawahira, K. (2009). Anti-spastic effects of the direct application of vibratory stimuli to the spastic muscles of hemiplegic limbs in post-stroke patients. Brain Injury, 23(7-8), 623-631. doi. org/10.1080/02699050902997896 

  14. Noma, T., Matsumoto, S., Shimodozono, M., Etoh, S., & Kawahira, K. (2012). Anti-spastic effects of the direct application of vibratory stimuli to the spastic muscles of hemiplegic limbs in post-stroke patients: A proof-of-principle study.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44(4), 325-330. 

  15. O'Brien, C. F., Seeberger, L. C., & Smith, D. B. (1996). Spasticity after stroke. Drugs and Aging, 9(5), 332-340. 

  16. Smania, N., Picelli, A., Munari, D., Geroin, C., Ianes, P., Waldner, A., & Gandolfi, M. (2010). Rehabilitation procedures in the management of spasticity.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46(3), 42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