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피나무속(Tilia L.) 식물의 분자 계통학적 연구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Tilia L.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9 no.5, 2016년, pp.547 - 554  

부다운 (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명과학과) ,  박선주 (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피나무속 식물은 화경의 아래에 부착된 선형의 포를 특징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형질은 아욱과의 다른 속과 구분된다. 본 연구는 피나무속의 종간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계통학적 분석은 한국과 일본의 피나무속 10종, outgroup으로 멕시코목화를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nrDNA의 ITS와 cpDNA의 trnL-F, rpl32-trnL의 염기서열을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ITS, trnL-F 와 rpl32-trnL의 data를 유합한 결과 계통수는 6개의 분계조로 구성되었다. 구주피나무는 outgroup과 가장 가깝게 나타났다. 피나무 , 뽕잎피나무 그리고 털피나무는 한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연밥피나무, 섬피나무, 일본피나무는 각각 독립적인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섬피나무는 일본피나무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보여주었다. 보리자나무, 찰피나무, 염주나무는 하나의 분계조를 형성하여 서로 근연관계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enus Tilia is characterized by linear form bracts of which the lower part is attached to the peduncle of a cyme. This character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s genus of Malvacea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genus Tilia. Phylogenetic analyses were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잎의 크기, 성모의 색상, 열매의 능각의 유무 등을 식별형질로 피나무와 구분하고 현재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이견이 분분한 섬피나무, 털피나무, 뽕잎피나무, 연밥피나무간의 유연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함경도에 자생하는 웅기피나무와 개염주나무를 제외한 한국과 일본의 피나무속 10종을 대상으로 nrDNA-ITS, rpl32-trnL 및 trnL-F 염기서열에 근거하여 피나무속의 분류학적 특성과 분류군간 근연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nrDNA의 ITS region과 cpDNA의 trnL-F, rpl32-trnL region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한국산 피나무속(Tilia)식물의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섬피나무는 피나무와 다른 분계조를 형성하며, 일본피나무와 좀 더 가까운 유연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피나무속의 종간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계통학적 분석은 한국과 일본의 피나무속 10종, outgroup으로 멕시코목화를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Álvarez, I. and J.F. Wendel. 2003. Ribosomal ITS sequences and plant phylogenetic inference. Mol. Phylogenet. Evol. 29:417-434. 

  2. Cai, J., P.F. Ma, H.T. Li and D.Z. Li. 2015. Complete plastid genome sequencing of four tilia species (Malvaceae): A comparative analysis and phylogenetic implications. PLoS ONE 10(11): e0142705. doi:10.1371/journal.pone.0142705 

  3. Choi, S.Y. 1987. Studies in foraging activity of honeybees during the blooming of the basswood ( Tilia kiusiana Makino et Shiras). Koreana J. Apiculture 2(2):21-29 (in Korean). 

  4. Chung, T.H. 1957. Tiliaceae. In Korean Flora, Vol 1. Sinji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338-344. 

  5. Doyle, J.J. and J.L. Doyle. 1987. A rapid DNA isolation procedure for small quantities of fresh leaf tissue. Phytochem. Bull. v.19. pp.11-15. 

  6. Farris, J.S. 1989. The retention index and homoplasy excess. Syst. Zool. 38(4):406-407. 

  7. Felsensta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783-791. 

  8. Kim, H.S., Park, K.T. and Park, S.J. 2016.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Hydrangea L. Korean J. Plant Res. 29(4):407-418. 

  9. Kim, K.J. and Y.H. Chung. 1983. Monographic study of the endemic plants in Korea 11. Taxonomy and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Tilia . Proceedings College of Natural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8:121-160 (in Korean). 

  10. _______. 1986.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Genus Tilia . Korean J. Apiculture 1(1) :24-25 (in Korean). 

  11.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titution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 J. Mol. Evol. 16:111-120. 

  12. Kluge, A.G. and J.S. Farris. 1969. Quantitative phyletics and the evolution of anurans. Syst Zool 18:1-32. 

  13. Lee, Y.N. 1996a. Flora of korea. Kyohak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483-484 (in Korean). 

  14. Lee, W.C. 1996b. Limeamenta Flora of Korea. Hyangmoo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700-704 (in Korean). 

  15. Liou, T.N. and I. Li. 1955. Illustrated flora of ligneous plants of North Eastern China. Academic Press, Beijing, China. pp. 1-42. 

  16. Loockerman, D.J. and R.K. Jansen. 1996. The use of herbarium material for DNA studies: In Sampling the Green World. Stussey, T.J. and S. Sohmer (eds.),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pp. 205-220. 

  17. McCarthy, D. 2012. Systematics and Phylogeography of the Genus Tilia in north america.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Ph.D. Thesis, Illinois Univ., Chicago, USA. pp. 45. 

  18. Nakai, T. 1909. Flora Koreana by Nakai vol.1.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Tokyo, Japan. pp. 105-106. 

  19. ______. 1914. Chosen Shokubutsu Ⅰ. Seongmidang. Tokyo, Japan. pp. 172-175 (in Japanese). 

  20. ______. 1922. Flora Sylvatíca Koreana, Ⅻ. For. Exp. Sta. Govern. Chosen. Tokyo, Japan. pp. 27-58. 

  21. ______.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 Nat. Sci. Mus. Tokyo. 31:1-152. 

  22. Pigott, C.D. 2008. The identity of limes labelled Tilia insularis . Plantsman (new series) 7:194-195. 

  23. ______2012. Lime-trees and Basswoods a biological monograph of the Genus Tilia .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pp. 150-155. 

  24. Posada, D. and K.A. Crandall. 1998. Modeltest: Testing the model of DNA substitution. Bioinformatics 14(9):817-818. 

  25. Schneider, C. K. 1909. Einige neue Tilia aus Ostasien. Repert. Sp. Nov. Fedde 7:200-201. 

  26. Shaw, J.E., B. Lickey, J.T. Beck, S.B. Farmer, W.S. Liu, J. Miller, K.C. Siripun, C.T. Winder, E.E. Schilling and R.L. Small. 2005. The tortoise and the hare II: relative utility of 21 noncoding chloroplast DNA sequences for phylogenetic analysis. Am. J. Bot. 92:142-166. 

  27. Shishkin, B.K. 1974. Einige neue Tilia aus Ostasien. Repertorium Specierum Novarum Regni Vegetabilis Herausgegeben Von Professor Dr.Phill Friedrich Fedde 7:200-201. 

  28. Taberlet, P.L., L. Gielly, G. Pautou and J. Bouvet. 1991. Universal primers for amplification of three non-coding regions of chloroplast DNA. Plant Mol. Biol. 17:1105-1109. 

  29. White, T.J., T. Birns, S. Lee and J. Taylor.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Gelfand, D., J. Sninsky and T. White (ed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pp. 315-322. 

  30. Yoon, J.G. 2003. Species delimitation of Tilia amurensis , T. taquetii , and T. japonica . Bulletin of the arvoretum Seoul National University 23:78-8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