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산 방지 및 자궁수축 관리의 한의학적 치료
Prevention of Preterm Birth and Management of Uterine Contraction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29 no.4, 2016년, pp.24 - 33  

김은섭 (유앤그린한의원) ,  장은하 (유앤그린한의원) ,  김남형 (유앤그린한의원) ,  장새별 (대전대학교 대학원 한방부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benefi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s an adjuvant therapy in management of early uterine contractions and the prevention of Preterm Birth (PTB). Methods: It is a case report of a 38 year-old-woman hospitalized for irregular uterine contr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본 연구의 환자는 39세의 불임 기왕력과 6번의 유산 기왕력이 있는 여성으로 임신을 준비하는 과정부터 본원 외래수진 지속하다 로컬 산부인과에서 IVF 시술을 통해 2013년 4월말 임신을 확인하였다. 이후 환자는 유산예방 및 임신 중 건강관리를 위해 본원 내원 지속하였고, 저자들은 침구치료와 함께 난임과 유산의 기왕력을 고려하여 가미당귀산(G1)과 안태음(At)를 투여(G1 아침, 저녁 식후 30분, At 점심 식후 30분)하며 경과를 관찰하였다.
  • 임신 23주차부터 간헐적인 아랫배 뭉침 및 복통이 나타나 가미당귀산1(G1) 복용 횟수를 하루 두 번(아침, 저녁 식후 30분 경)에서 매 식후 30분경으로 증량하였고, 안태음(At)은 취침 전 처방으로 투여하였다. 임신 26주경 배우자 전근발령으로 원거리이주를 준비하는 환자가 심신의 부담 가중을 호소하여 용안육을 증량하고 익지인을 추가한 처방(G2)을 At와 함께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 투여하였다.
  • 임신 23주차부터 환자는 간헐적인 아랫배 뭉침 및 복통이 빈번히 발생하여 기존 처방의 복용 횟수를 증량(G1 매 식후 30분 3회, At 취침 전 복용)하였고, 임신 26주경에는 배우자 전근발령으로 원거리이주를 준비하며 심신의 부담 가중을 호소하여 養血安神 작용의 용안육을 증량하고 溫腎益氣 효능의 익지인을 추가한 처방(G2 매 식후 30분 3회, At 취침 전 복용)하였다.
  • 임신 23주차부터 간헐적인 아랫배 뭉침 및 복통이 나타나 가미당귀산1(G1) 복용 횟수를 하루 두 번(아침, 저녁 식후 30분 경)에서 매 식후 30분경으로 증량하였고, 안태음(At)은 취침 전 처방으로 투여하였다. 임신 26주경 배우자 전근발령으로 원거리이주를 준비하는 환자가 심신의 부담 가중을 호소하여 용안육을 증량하고 익지인을 추가한 처방(G2)을 At와 함께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 투여하였다.
  • Ritodrine 증량 과정에서 환자가 가슴 답답함을 호소하여 하루 만에 투여량을 줄였고, 한약복용은 기존의 방식대로 유지하였다. 임신 36주까지 일중 간헐적인 조기자궁수축이 관찰되어 Ritodrine 정맥주사와 한약 복용을 지속하였고, 임신 37주 1일차에 이르러 자궁 경부 변화 및 조기 진통이 관찰되지 않아 산모는 한약복용을 마치고 퇴원하였으며, 이후 대학병원 외래를 통해 경과를 관찰하다 39(+3)주에 정상 자연분만 하였다.
  • 저자들은 난임의 기왕력을 가진 39세 임산부에 대하여 재태주수 23주 경 발생한 조기자궁수축 및 복통의 관리를 목적으로 가미당귀산과 안태음을 투여하였다. 자궁경부 변화와 조기진통에 대한 산부인과 입원 치료과정에서 한약 복용을 병행한 결과, 주요 증상이 개선되어 39주 3일차에 환자는 자연분만에 성공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의 환자는 39세의 불임 기왕력과 6번의 유산 기왕력이 있는 여성으로 임신을 준비하는 과정부터 본원 외래수진 지속하다 로컬 산부인과에서 IVF 시술을 통해 2013년 4월말 임신을 확인하였다. 이후 환자는 유산예방 및 임신 중 건강관리를 위해 본원 내원 지속하였고, 저자들은 침구치료와 함께 난임과 유산의 기왕력을 고려하여 가미당귀산(G1)과 안태음(At)를 투여(G1 아침, 저녁 식후 30분, At 점심 식후 30분)하며 경과를 관찰하였다.
  • 임신 30주차에 이르러 환자의 자궁경부의 길이가 14 mm로 단축되고, 임신 33주경에는 태동이 감소하고 자궁경부가 50% 가량 소실되며 숙화된 소견을 보여 연고지 근처의 대학병원에 입원하여 자궁수축억제 치료를 병행하였다. 입원 당시 환자는 Ritodrine 정맥주사 치료와 한약 투여를 병행하며 4일간 자궁수축 증상을 보이지 않아 입원 5일차에 Ritodrine 경구용 약물로 전환하고 퇴원 예정이었다.
  • 임신 33주경 태동이 감소하고 자궁경부가 50% 가량 소실되며 숙화된 양상으로 환자는 연고지 인근 대학병원에 입원하였고 자궁수축억제 치료 과정에서 한약복용(G3, At)을 병행하였다. 환자는 임신 34주 3일차에 소량의 갈색 질출혈을 보였고, 그에 따른 ritodrine 증량과 항생제 처치를 병행하며 일시적인 흉민 증상을 호소하였으나 출혈은 재현되지 않았고 ritodrine 투여량을 낮추어 흉부 불편감 역시 소실되었다.
  • 재태주수 28주 1일차에 환자는 점액상 질 분비물의 증가와 규칙적인 자궁수축을 보여 거주지 인근 산부인과 외래 수진하였고 당시 조기양막파열이 의심되었으나 Actim test 상 음성으로 확인되어 안정가료와 경과관찰을 권고 받았다. 이에 익지인을 증량한 처방(G3)과 At의 취침 전 복용을 지속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ckmann CR, et al. Obstetrics and Gynecology. 7 th ed. New York:Wolters Kluwer. 2013:546-7, 561-87. 

  2. The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Practice bulletin no. 130: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Preterm Birth. Obstetrics & Gynecology. 2012;120(4):964-73. 

  3.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s and Gynecologists. ACOG Practice Bulletin No. 127: Management of Preterm Labor. Obstetrics & Gynecology. 2012;119(6):1308-17. 

  4. Fuchs IB, et al. Sonographic cervical length in singleton pregnancies with intact membranes presenting with threatened preterm labor. Ultrasound Obstet Gynecol. 2004;24(5):554-7. 

  5. Tsoi E, et al. Ultrasound assessment of cervical length in threatened preterm labor. Ultrasound Obstet Gynecol. 2003;21(6):552-5. 

  6. Gyetvai K, et al. Tocolytics for preterm labor: a systematic review. Obstetrics and Gynecology. 1999;94(5 Pt 2):869-77. 

  7. Berkman ND, et al. Tocolytic treatment for the management of preterm labor: a review of evidence.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3;188(6):1648-59. 

  8. European Medicines Agency. Assessment report for short acting beta agonist (SABAs) containing medicinal products authorized in obstetric indications [published October 23, 2013]. Available from:URL:http://www.ema.europa.eu/docs/en_GB/document_library/Referrals_document/Short-acting_beta-agonists/Recommendation_provided_by_Pharmacovigilance_Risk_Assessment_Committee/WC500153978.pdf 

  9.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otice on the changes in permitted products (injections containing Ritodrine) [published March 6, 2014]. Available from:URL:http://www.mfds.go.kr/index/do?x0&searchkeytitle:contents&mid1029&searchword리토드린&cd167&y0&pageNo1&seq16574&cmdv 

  10. Publishing Committee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Korean Gynecology and Obstetrics. Seoul:Jeongdam. 2001:413, 488, 656. 

  11. Fāng G. Additions to the Teachings of Dan Xi. Seoul:Daesung Publishing Company. 2001:131-6. 

  12. Shin YW, et al. Clinical study on seven case of diseases and complications of pregnancy with Kami-Dangkwi-San. J Korean Obstet Gynecol. 2003;16(4):180-8. 

  13. Daejeon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Daejeon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Prescription. Daejeon:Trust Design Publishing Company. 2014:34-5. 

  14. Zhang ZJ. Synopsis of Prescriptions of the Golden Chamber. Seoul:Awoolos Publishing Company. 1994:573. 

  15. Hwang DY. Bangyakhappyun. Seoul:Yeokang Publishing Company. 1994:155. 

  16. Park YO. Influence of Geumgye-Dangguisan on the uterine contraction and spontaneous movement of white rat.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1990. 

  17. Moon YS, et al. Effect of K’umgwedanggwisan Decoction on Female Genital System of white Rats.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1995;8(1):141-59. 

  18. Kim HC. Korean Medical Pharmacology. Seoul:Jibmoondang Publishing Company. 2012:162-8. 

  19. Yoo, DY. Research on Derivatives of Geumgye-Dangguisan used in maintenance of pregnancy. J Korean Obstet Gynecol. 1998;11(2):135-64. 

  20. Lee KI. Literature Review on the Treatment of Fetal Movement. Daejeon University Korean Medicine Research Centre. 1999;7(2):553-75. 

  21. King JF, et al. Calcium channel blockers for inhibiting Preterm labour.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3;1:CD002255. 

  22. Cho JY, et al. A Case Report of Preterm Labor Patient at High Risk for Preterm Delivery Treated by Combination of Herbal Medicine and Conventional Treatment. J Korean Obstet Gynecol. 2012;25(2):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