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드론 기반 사진측량기법을 활용한 고압 송전선의 처짐량 측정
Electric Power Line Dips Measurement Using Drone-based Photogrammetric Technique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5 no.6, 2017년, pp.453 - 460  

김유종 (Dept. of Quality Management, Sampyo EM) ,  오재홍 (Dept. of Civi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이창노 (Dept. of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압 송전선은 전선을 느슨하게 가선하여 약간의 이도를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현재 송전선의 이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직접 측량에 의존하고 있고 비교적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지만, 송전탑에 직접 승탑하거나 가까이 접근해야하는 위험성 및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체에 접근하지 않고 3차원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저가의 드론을 활용한 항공사진측량 기법을 사용하였다. 선형 구조물인 송전선은 매핑을 위한 특징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송전선의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에피폴라 라인을 형성하여 입체 사진 처리기법을 통해 송전선의 3차원 매핑을 수행하고, 송전선의 처짐량을 도출하였다. 사진측량기법에 의한 측정 결과 무타겟 토탈스테이션을 사용하여 직접 측정한 두 지점의 송전선의 처짐량과 비교하였을 때 수직 정확도가 15~16cm로 파악되었고 이는 해당 지점 처짐량 대비 5% 이내 및 대상 송전선 이도량의 3% 이내에 해당하는 값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 voltage power transmission lines have been to keep the proper dip for maintenance. Powerline dips at a random point are conventionally measured by the direct or indirect observation but it is not only unsafe but labor-intensiv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photogrammetric techniqu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한 고압 송전선의 처짐량(이도)를 비접촉식 기법인 사진측량기법을 활용하여 측정해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최근 활용도가 급증하고 있는 저가의 드론을 활용하여 항공사진측량 기법을 통해 송전탑 전선의 처짐량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 측량용 카메라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카메라 셀프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 후 대상지에 대한 데이터 획득 및 번들조정을 수행하여 전처리를 완료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송전탑과 전선이 안전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이유는? 최근 정보화 사회에서 풍부한 전력 수요는 더욱 필요하게 되었고,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송전탑과 전선을 설치하여 전력이 필요한 공장이나, 가정으로 공급하고 있다. 송전선의 경우 송전탑 사이의 거리가 멀면 전선의 무게로 의해 아래로 쳐져 끊어질 수 있다. 하지만, 너무 가깝게 송전탑을 설치하면 개수가 증가하게 되어 설치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안전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전선을 오래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선의 무게나 주변 환경의 영향에 의해 수축과 팽창이 주기적으로 발생한다(Kim, 2008). 따라서 전선을 오래 사용하기 위해서는 송전선 처짐량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Im et al.,2015).
송전선 처짐량 측정법은 어떻게 분류 가능한가? ,2015). 현재 송전선 처짐량 측정법으로는 크게 직접법과 간접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직접법에는 등장법, 이장법, 각도법,수평이도법 등이 있으며, 간접법에는 장력계법, 진동주기측정법, 충격파측정법 등이 있다. 직접법과 간접법을 활용한 측정은 직접 송전탑에 승탑하여 측정하고, 접선을 이용하여 측정 위치에 대한 처짐량 측정과 특징점의 처짐량을 측정하기 위해 줄자를 설치하여 측정하므로 기후에 영향을 받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ae, S.G., Koo, H.G., and Hwang, K.S. (2010), Development for monitoring system for electircial facilities using an unmanned helicopter, 2010 Conference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usan, Korea, Jul. 14-16, pp. 282-2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Fraser, C.S. (1997), Digital camera self-calibration,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 52, pp. 149-159. 

  3. Hrabar, S., Merz, T., and Frousheger, D. (2010), Development of an autonomous helicopter for aerial powerline inspections,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plied Robotics for the Power Industry, (CARPI 2010), Montreal, Canada, Oct. 2-7, pp. 1-6. 

  4. Im, L.H., Choi, K.A., and Lee, I.P. (2015), Monitoring power transmission lines and towers using a uav mounted lidar, KSCE 2015 Convention, Gunsan, Oct.28-30, pp. 3-4. (in Korean) 

  5. Kesco (2016), Guideline for 154kV Powerline Inspection, Kesco KESG-I-W-18-2015, p. 6. (in Korean) 

  6. Kim, D.W. and Kang, J.H. (2010), Powerline detection of aerial images using hough transform,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5, No. 2, pp.171-1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S.D. (2008), A refurbishment life diagnosis for overhead transmission conductors using dip measurem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2, No. 4, pp. 139-1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remer, J. and Kreuztal (2011), Power line mapping: data acquisition with a specialized multi-sensor platform, Photogrammetric Week 11, Stuttgart, Germany, Sep. 5-9, pp. 147-154. 

  9. Lee, C.N. and Oh, J.H. (2012), A study on efficient selfcalibration of a non-metric camera for close-range photogramme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0, No. 6-1, pp. 511-5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im, S.B., Seo, C.W., and Yun. H.C. (2015), Digital map updates with uav photogrammetric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3, No. 5, pp. 397-4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Mikhail, E.M., Bethel, J.S., and McGlone, J.C. (2001), Introduction to Modern Photogrammetr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N.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