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 데이터 재구축을 통한 음식업종 매출액 영향 요인 분석 : 이종 공간 데이터의 집계단위 변환을 중심으로
Analyzing Influence Factors of Foodservice Sales by Rebuilding Spatial Data : Focusing on the Conversion of Aggregation Units of Heterogeneous Spatial Data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5 no.6, 2017년, pp.581 - 590  

노은빈 (Dept. of Urban Planning, Gachon University) ,  이상경 (Dept. of Urban Planning, Gachon University) ,  이병길 (Dept. of Civi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서울연구원 제공 집계구 자료를 이용하여 유동인구와 공간 특성, 공간자기상관이 음식업종의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최근 공공 분야의 빅데이터가 증가하고 있지만 자료집계 단위가 달라 연구에 어려움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도 종속변수인 매출액은 SKT 집계구 단위로, 공간 특성은 통계청 집계구와 행정동 단위로, 그리고 유동인구는 Point 정보로 구축되어 있다. 분석을 위해 먼저 SKT 집계구 단위로 모든 독립변수의 집계단위를 변환하였다. 공간자기상관 효과를 검정할 수 있는 모형인 SEM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매출액에 대한 공간자기상관의 영향이 확인되었으며, 또한 유동인구와 주변 종사자수, 집계 구 면적이 매출액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남구에 비해 중구, 영등포구, 송파구 매출액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유동인구가 많고 주변 종사자수가 많은 지역, 그리고 음식업종 점포들이 몰려있는 지역이 창업에 유리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이종 공간 데이터의 집계단위 변환의 유용성 과 함께 지도상의 면적 비례로 집계단위를 변환하는 것의 한계를 보여줌으로써 후속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floating population,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autocorrelation on foodservice sales using big data provided by the Seoul Institute. Although big data provided by public sector is growing recently, research difficulties are occurred due to the differe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동인구와 공간 특성, 그리고 공간자기상관이 음식업종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는 공간자기상관을 고려할 수 있는 공간회귀모형(spatial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서울연구원이 제공한 음식업종의 집계구 매출액 자료를 이용하여 음식업종 매출액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모형으로 공간회귀모형의 일종인 SEM을이용하였으며, 자료 구축은 SKT 매출액 집계구를 기준으로 통계청 집계구와 행정동 단위로 구축된 공간특성 자료, 그리고 Point로 구축된 유동인구 자료를 변환하였다.
  • 분석방법으로는 공간자기상관을 고려할 수 있는 공간회귀모형(spatial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고자 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에서 Point 정보로 구축된 유동인구 자료와 통계청 집계구 자료를 SKT 집계구 자료로 변환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이종 데이터의 집계단위 변환을 통한 공간통계분석의 가능성과 함께 그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6만m² 이하로나타나고 있는데, 집계구를 원으로 가정할 경우 반경 145m 이하에 해당한다. 이 같은 결과와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2015)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지국의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면서 집계구에 들어와 있을 가능성이 높은 반경 150m 이내 유동인구를 해당 집계구의 유동인구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자기상관 검정 시, LM Lag와 LM Error 모두 유의할 경우 무엇을 수행하는가? LM Lag 통계치만 유의하다면 SLM을, LM Error 통계치만 유의할 경우에는 SEM을 선택한다. 둘 다 유의할 경우에는 Robust LM Lag과Robust LM Error 검정을 통해 더 우수한 모형을 선택하게 된다(Lim and Lee, 2013).
공간자기 상관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되는 음식업종 매출액은 집계구 자료이기 때문에 공간계량경제학(spatial econometrics)에서 말하는 공간자기상관을 내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공간자기 상관은 일반적으로 양의 자기상관을 의미하는 데, 이는 인접할수록 유사한 특성을 지니게 되고 상관관계가 높아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Lim and Lee, 2013). 공간자기상관의 존재는 OLS(ordinary least square) 회귀모형의 추정치를 최소분산 추정치(minimum variance)로 확신할 수 없게 한다는 점에서 대안을 필요로 한다.
공간회귀모형으로 많이 사용되는 모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공간자기상관이 관측될 경우 일반적으로 공간회귀모형을 분석에 이용한다. 공간회귀모형으로는 공간종속변수(spatial dependent variable)를 OLS 모형에 포함하는 SLM(spatial lag model)과 공간오차(spatial error)를 삽입하는 SEM(spatial error model)이 많이 사용된다(Kim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ysis, Vol. 27, pp. 93-115. 

  2. Choi, M. and Shin, S. (2001),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pedestrian volume on retail sale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36, No. 2, pp. 75-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Jung, E., Sung, H., and Rho, J. (2015), Analysis on influence factors for apparel retail sales considering spatial autocorrelati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50, No. 5, pp. 215-2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C. and Jeong, S. (201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hotel & restaurant location in Seoul, Korean Management Consulting Review, Vol. 13, No. 4, pp. 297-3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D., Song, Y., and Lee, S. (2010), The spatial multiplier effect of office rent by the location of a business conglomerate, Seoul Studies, Vol. 11, No. 2, pp. 35-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S., Kim, T., Im, H., and Choi, C. (2015), Pedestrian volume and built environmental factors on sales of convenience stores, cosmetic shops and coffee shop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50, No. 3, pp. 299-3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T. and Ko, J. (2015), The impacts of potential consuming population on the store density - the case of food and beverage service activities in Seoul, Urban Design, Vol. 16, No. 3, pp. 101-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5), Providing 119 Wi-Fi location information platform service for emergencies, Press Releases of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in Korean) 

  9. Lee, I., Lee, C., and Kang, S. (2010), The study of site factors affecting the sales of convenience stores,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Vol. 16, No. 4, pp. 53-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K. and Jung, C. (2014), The effect of time period pedestrian volume on store location - focused on the suwon's retail stores and restauran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30, No. 8, pp. 47-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im, P. and Lee, S. (2013), Estimation of prices and rents of knowledge industrial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area considering spatial autocorrelation,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Vol. 19, No. 2, pp. 5-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Shin, W. and Moon, S. (2011), A study on the effect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sales of a coffee shop franchise,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Vol. 17, No. 2, pp. 111-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Shin, W., Jung, C., and Lee, S. (2001) A study on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commercial power based on retail trade area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Vol. 8, No. 1, pp. 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Yu, K., Jang, S., and An, Y. (2016), An analysis on the impact of commercial street factors and floating population on commercial sales by region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 Urban Research & Insight, Vol. 6, No. 2, pp. 137-1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