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정보와 통합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한 도시철도 역사 보행 기종점 분석 기법 개발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Estimating Pedestrian OD Matrix Using Spatial Information and Integrated Smart Card Data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5 no.5, 2017년, pp.409 - 422  

정은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체계분석연구팀) ,  유소영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체계분석연구팀) ,  이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체계분석연구팀) ,  김경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체계분석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 (Transit-Oriented Development)는 대중교통 중심의 복합기능을 가진 집약적인 도시구조이며, 미래지향형 지속가능한 도시를 유지하기 위해 제시되는 개념이다. 최근 도시철도 역사를 중심으로 복합 환승센터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사업의 규모와 복잡성으로 인해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을 통한 계획과 유지관리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와 통합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하여 도시철도 역사 보행 기종점 추정을 위한, 표준화된 분석 절차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삼성역 사례 분석을 통해 제시된 분석 절차 및 방법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분석 절차는 자료 수집 기술과 빅데이터 DB 분석 기법 발전에 따라 유기적 확장 가능한 분석 환경을 마련하였다는 데 큰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s one of the urban structure concentrated on the multifunctional space/district with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which is introduced for maintaining sustainable future cities. With such trends, the project of building complex transferring centers located at a 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궁극적으로 두 번째 유형으로 제시된 확장된 보행 기종점 자료도 계획 단계에서 활용이 가능한 수준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지만, 현재로선 시설 배치와 연계하여 분석 가능한 DB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유형의 보행 기종점 자료 분석 기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 추후, 검증 지점 추가 혹은 경로기반 통행을 비교 분석하는 방식 등 검증절차에 대해 상세화가 필요하며, 검증에 대한신뢰성 확보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도시철도역사의 특성을 반영한 개별 모형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건물별 연상면적, 층별 시설이용 특성, 시간대별 활동인구 등 상세한 속성을 포함한 동적 공간 정보 DB를 통해 모형 확장하고자 하며,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한 통행발생 지점을 열차 출입문 위치로, 핀 포인트 수준으로 상세화하여, 수요추정 뿐만 아니라 수요예측 정밀도를 향상하고자 한다. 셋째, 보행 기종점 분석 체계를 승강장-출입구에서 승강장-개찰구-출입구로 확장하여 추후 보행동선 예측, 도시철도 역사 내 경로 선택 등에 활용 할 수 있는 세부적인 자료 구축을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교통 빅데이터 기반의 보행자 기종점 추정 관련 연구와 철도 역사 관련 실증 사례 등 관련된 기존문헌을 고찰하였다. 교통카드 자료 획득이 용이해짐에 따라 국내·외에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이 주로 사용하는 교통카드와, 도시철도 역사 내 설치되어 있는 자동 출·개찰 시스템, 토지이용 공간정보 자료를 활용하여 자료 기반의 도시철도 역사 내 보행자 기종점 추정을 위한 표준화된 분석 절차를 마련하고자 하고, 삼성역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보행 기종점을 검증하기 위해 자동 출·개찰 시스템 자료와 영상 촬영 자료를 이용하여 출발 통행(출입구→승강장) 2,307통행과 도착통행(승강장→출입구) 25,764통행에 대한 기종점 추정 결과를 검증하였다.
  • 즉, 도시철도 역사 내 기종점은 출입구 수와 승강장 수로 결정되며, 출입구가 8개, 승강장이 2개인 경우에는 총 10개의 기종점을 대상으로 하는 10×10의 OD matrix를 도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 스마트카드 자료와 역사 인근의 토지이용 및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도시철도 역사 내의 기종점을 통합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체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수집한 자료 및 분석체계를 이용하여 삼성역의 보행 기종점 추정을 위한 통합 보행 기종점 분석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Figure 7에 개발한 통합 보행 기종점 분석 프로그램 UI (User Interface)를 제시하였으며, 개발한 프로그램은 앞서 수집한 공간정보 및 통합 스마트카드 자료, 분석하고자 하는 역사에 대한 정보, 시간대 정보 등을 입력하면,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분석 절차 및 연산과정에 의거하여, 보행 기종점 자료가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 승강장의 경우 분석대상 역에 도착하는 보행자와 분석대상 역에서 다른 역으로 이동하는 보행자가 이용하는 역사내 기종점으로 정의되며, 통합 스마트카드 자료를 이용한 통행사슬 분석을 통해 이용객의 승강장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섬식 승강장의 경우 방향 별 승강장을 설정 할 필요는 없으나, 본 연구에서는 보다 신뢰성 있는 기종점 자료 생성을 위해 상대식 승강장을 기준으로 각 방향 별 승강장을 구분하여 기종점 자료를 생성하였다. 교통카드 자료로부터 직접 추출된 관측 자료인 통행사슬 자료를 이용하여 철도를 이용한 통행의 최적 경로를 도출하여 도시철도 이용객이 어느 방면의 지하철을 이용하여 유입했는지, 유출했는지 분석하였다.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철도 역사 내·외부의 공간정보와 통합 스마트카드 자료를 이용하여 도시철도 역사 내 보행 기종점 추정을 위한 과학적이고 표준화된 분석체계를 제시하는데 있다.
  • 이러한 문제는 KTDB와 보행자 기종점 자료의 활용 목적 및 분석 대상의 차이로 기인한 것으로 신뢰성 여부에 대한 논쟁보다는, 상이한 위계의 기종점 자료에 대한 연계성 및 정합성 유지를 위해, 유기적인 연구체계 하에서 연구의 고도화가 이뤄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철도 역사 등 교통시설이 입지한 지역의 공간 정보 및 이용 특성을 고려하여 스마트카드 자료와 관련한 자료를 융합하고 도시철도 역사 내 보행기종점 분석 방법을 체계화하여, 보다 표준화된 분석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 방법의 기초 입력 자료를 공간 정보, 지속적으로 구득이 가능한 스마트카드 자료 및 추후 디지털화되어 구득이 용이할 수 있는 기술 기반의 정보로 한정하였다.
  • , 2016)에서 도시철도 역사 내에서도 경로선택 모형 등의 통행 배분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주변 토지이용 계획과 이용자의 전주기 통행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보행 발생량, 보행 기종점 통행량은 경로선택 모형의 입력 자료로 제 역할(Garbage- in & Garbage-out)을 하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층적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료 기반의 종합적인 분석 기법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단계별 모형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전체적인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여, 보다 체계적인 연구 수행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OD란 무엇인가? TOD (Transit-Oriented Development)는 대중교통 중심의 복합기능을 가진 집약적인 도시구조이며, 미래지향형 지속가능한 도시를 유지하기 위해 제시되는 개념이다. 최근 도시철도 역사를 중심으로 복합 환승센터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사업의 규모와 복잡성으로 인해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을 통한 계획과 유지관리 등이 요구되고 있다.
역사를 거쳐 간 이용객의 통행 유형은 어떤 것이 있는가? 보행 기종점 추정은 역사 내 통행 특성 파악이 매우 중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통행 유형에 따라 역사 내 보행 기종 점을 추정하는 절차를 분리하여 논리적 정밀도를 높였다. 도시철도 이용객의 통행 유형에 따라, 도시철도 역사를 최초 출발지 또는 최종 도착지로 하는 직 승·하차 통행, 타 노선 혹은 타 수단과의 환승을 통해 최종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해 역사를 이용하는 환승 통행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시철도 역사를 기준으로 통행 방향을 고려하면, 지상 시설에서 도시철도 역사 내부로 이동하는 유입통행(in-flow), 도시철도 역사 내부에서 도시철도 역사 외부로 통행하는 유출통행(out-flow)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행 유형과 방향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대상 역사를 거쳐 간 이용객의 통행 유형을 5가지로 정의하였다(Figure 2와 Table 1 참조).
교통카드 자료 이용시 장점은? 교통카드 자료는 암호화된 가상 카드번호, 승차정보, 하차정보, 노선정보, 사업자정보, 차량정보, 요금정보, 환승정보 등의 27가지 항목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즉, 교통카드 자료는 이용자 정보 뿐만 아니라 수단과 관련된 정보, 운영자와 관련된 정보 등의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환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등 이용자가 통행한 전체 통행에 대한 통행사슬 정보를 도출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도가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gchi M., White P.R. (2005), The Potential of Public Transport Smart Card Data, Transportation Policy 12, 464-474. 

  2. Blythe P. (2004), Improving Public Transport Ticketing Through Smart Cards, Municipal Engineer 157(1), 47-54. 

  3. Chitturi M. V., Shaw J. W., Campbell IV J. R., Noyce D. A. (2014), Validation of Origin-Destination Data From Bluetooth Reidentification and Aerial Observ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430, 116-123. 

  4. Jung R., Chung J., You S. (2016), Analysis of Route Choice Behavior in Subway Station: Focusing on Walking Distance, http://dx/doi.org/10.15793/kspr2016.88.005. 

  5.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2015-2017), Technical Develop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Planning & Operation Efficiency. 

  6. Lee M.Y., Kim J.H. (2016), Analysis of Transit Passenger Movements Within Seoul-Gyeonggi-Incheon Area Using Transportation Car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5(5), 12-19. 

  7. Munizaga M., Palma C., Mora P. (2010), Public Transport OD Matrix Estimation From Smart Card Payment System Data, The 9th International IEEE Conference on Transport Research, Lisbon, 2988. 

  8. Park J., Kim S., Jo J., Heo M. (2008), The Study on Error, Missing Data and Imputation of the Smart Card Data for the Transit OD Construction, J. Korean Soc. Transp., 26(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09-119. 

  9. Pelletier M.P., Trepanier M., Morency C. (2011), Smart Card Data Use in Public Transit: A Literature Review,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19 (2011), 557-568. 

  10. Seaborn C., Wilson N.H., Attanucci J. (2009), Using Smart Card Fare Payment Data to Analyze Multi-Modal Public Transport Journeys (London, UK), 88th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11.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7), Report news, February 6, 2017. 

  12. Shin K. (2016), Inferring the Transit Trip Destination Zone of Smart Card User Using Trip Chain Structure, J. Korean Soc. Transp., 34(5),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437-448. 

  13. Statistics Korea (2010-2015), available: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259. 

  14. Trepanier M., Chapleau R., Tranchant N. (2007), Individual Trip Destination Estimation in Transit Smart Card Automated Fare Collection System, Journal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Technology, Planning, and Operations 11(1), 1-15. 

  15. Utsunomiya M., Attanucci J., Wilson N. (2006), Potential Uses of Transit Smart Card Registration and Transaction Data to Improve Transit Planning,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971, 119-126. 

  16. You S., Jung R., Chung J. (2016), An Analysis on Evacuation Scenario at Metro-stations Using Pedestrian Movementbased Simula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5(2), 36-49. 

  17. You S., Kim K., Jeong E., Lee J. (2017), An Empirical Study for Analyzing an Integrated Mobility at Intermodal Transit Cente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