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쇄원 48영」과 「소쇄원도」에 나타난 식물의 의미와 위치
The Meaning and Location of the Plants in 48 Yeong and Soswaewondo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6 no.6, 2017년, pp.29 - 40  

이은정 (전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천득염 (전남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swaewon as a typical villa garden of Korea is a symbolic garden that its diverse compositions imply a specific meaning. This study reviewed the purpose of introduction, meaning, and location of the landscape plants as one of the compositions and covering quite a large part of Soswaewon through 48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쇄원의 특징은 무엇인가? 선비 문화에 있어 정원은 조영자의 문화적 배경, 시대적 배경이 투영된 문화 복합체로, 별서는 선비들의 이상 세계를 표현한 것이었다. 소쇄원은 한국을 대표하는 별서로서 풀 한 포기, 돌 하나도 허투루 놓인 게 없다. 소쇄원의 구성물들은 저마다 있어야 할 자리에 각자의 의미를 가지고 서 있는 상징적인 정원인 것이다.
대는 무엇을 상징하는가? 대는 그 쓰임이 용이하고 형태적 특징이 갖는 상징성 때문에 전통 공간에 많이 심었다. 사군자의 하나로 길고 곧게 자라며, 겨울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아 절개와 지조의 상징이었다. 또한, 신성한 식물로 신을 부르는 신대 (神-)로 사용되기도 했다.
대는 무엇인가? 대는 벼목 화본과(Po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과 제주도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대는 그 쓰임이 용이하고 형태적 특징이 갖는 상징성 때문에 전통 공간에 많이 심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강희안, '양화소록', 개정판, 이병훈 역, 을유문화사, 서울, 2000 

  2. 국립문화재연구소, '원림 복원을 위한 전통공간 조성기법 연구: 명승 제40호 담양 소쇄원', 대전, 2015 

  3. 고연희.김동준.정민 외,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초판, 태학사, 서울, 2013 

  4. 고규홍, '이 땅의 큰 나무', 초판, 눌와, 서울, 2003 

  5. 김영모, '시짓기와 원림 조영방법에 관한 연구: 瀟灑園四十八詠을 통해본 瀟灑園의 造營方法을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21권, 2호, 2003, 1-17쪽 

  6. 김진성, '소쇄원의 식물 1. 소쇄원48영(瀟灑園四十八詠)의 조경 식물', 전남대학교 소쇄원연구회 세미나, 2016.12. 

  7. 김준연, '시대에 따른 소쇄원 수목의 변화에 대한 고찰',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5권, 6호, 2012, 511-515쪽 

  8. 김현미, '조선시대 별서정원 소쇄원의 意境양상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박상진, '궁궐의 우리 나무', 개정판, 눌와, 서울, 2011 

  10. 박준규.최한선.박행보(2001), '시와 그림으로 수놓은 소쇄원 사십팔경', 초판, 태학사, 서울, 2000 

  11. 소쇄원시선편찬위원회, '소쇄원시선', 2판, 소쇄원.담양군, 1997 

  12. 심우경, '소쇄원에 내재된 상징성', '소쇄처사 양산보 탄신 500주변 기념 국제심포지움', 한국정원학회, 2003.10.17. 

  13. 위첨첨.김재식.김정문, '담양소쇄원과 소주창랑정의 조영사상과 경관구성요소에 관한 意味비교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5권, 1호, 2017, 36-47쪽 

  14. 유재은, '소쇄원의 조경식물에 대한 고찰', 명지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18집, 1999, 70-82쪽 

  15. 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개정판, 넥서스 BOOKS, 서울, 2004 

  16. 이선, '우리와 함께 살아 온 나무와 꽃: 한국 전통 조경식재', 초판, 수류산방.중심, 서울, 2006 

  17. 정동오, '양산보의 소쇄원에 대하여', 한국조경학회지, 1권, 2호, 1973, 27-33쪽 

  18. 정동오, '소쇄원의 조경식물', 호남문화연구, 9집, 1977, 135-155쪽 

  19. 조규희, '조선시대 별서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20. 천득염.한승훈, '소쇄원도와 (소쇄원)사십팔영을 통하여 본 소쇄원의 구성요소', 건축역사연구, 3권, 2호, 1994, 67-90쪽 

  21. 천득염, '한국의 명원 소쇄원', 초판, 발언, 서울, 1999 

  22. 천득염, '은일과 사유의 공간: 소쇄원', 초판, 심미안, 광주,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