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융합연구 -S대학 융복합 수강생을 중심으로-
Convergence Study about Awareness towar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 Centered on the 'S' University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7 no.6, 2017년, pp.79 - 87  

최문실 (송원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수강생의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2017년 3월13일부터 24일까지 S대학 융복합 수강생을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동의한 학생에게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128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고 도구는 Likert 5점 척도이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 인식 5점 만점 평균 $3.50{\pm}.41$, 의사소통 능력 $3.32{\pm}.38$,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3.00{\pm}.40$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 능력(r=.633, p<0.01), 의사소통 인식도와 자기효능감(r=.336, p<0.01),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효능감(r=.480, p<0.01)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융복합수강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 적용된다면 의사소통 능력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convergence study is to confirm the relevance between communication aware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The subjects were 128 college students studying convergence education. They answered to a self-report questionnaire during March 13 to 24, 201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일 수업시간에 진행되며, 교수진 각자가 개설한 수업을 공동강의계획서를 바탕으로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수업에 참여하는 융복합수강생의 현재 의사소통의 인식과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대학생의 역량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대학생의 의사소통역량은 사회진출을 준비하고 사회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며 의사소통 역량을향상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5]. 이에 본연구는 융복합 수강생의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알아봄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은 어떤 시기인가? 대학생은 다양한 형태의 문화와 집단에서 관계를 형성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발전시켜 사회진출을 준비하는 시기이다. 이에 대학은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실무능력을 강화하고 여러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공통의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공통의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를 위해 어떤 연구를 진행했으며 그 결과는? 이에 대학은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실무능력을 강화하고 여러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공통의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대학생이 인식하는 핵심역량, 대학생 역량진단 도구, 대학생용 진단검사 등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선행 연구의 결과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핵심역량 가운데 하나가 의사소통 역량이다[1-4].
대학에게 요구되는 것은? 대학생은 다양한 형태의 문화와 집단에서 관계를 형성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발전시켜 사회진출을 준비하는 시기이다. 이에 대학은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실무능력을 강화하고 여러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공통의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대학생이 인식하는 핵심역량, 대학생 역량진단 도구, 대학생용 진단검사 등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P. Noller & V. J. Callan. (1990). Adolescents perceptions of the nature of their communication with parents. Journal of Youth Adolescence, 9(4), 349-362. DOI : 10.1007/bf01537077 

  2. Y. S. Noh & S. S. Lee. (2013).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Instrument for Diagnosing th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 A Case Study of D Women's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5(3), 273-305. DOI : 10.18211/kjhrdq.2013.15.3.011 

  3. Y. H. Kim, J. S. Chung, C. K. Lee & Y. J. Yi. (2010). An Analysis on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Study method of education, 22(4), 1-20. 

  4. H. W. Lee & H. S. Lee. (2017). Development of Korea-Collegiate Core Competencies Assessment (K-CCCA).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1), 97-127. 

  5. J. Y. Lee, H. S. Jang & E. J. Cho. (2015). Analysis of Educational Need for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3), 1-20. 

  6. H. S. Kim & S. M. Kang. (2013).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Korea Yoth Research Association, 20(1), 157-176. 

  7. K. H. Song & G. R. Ahn. (2013). The Effect of Employe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sychotherapy, 5(2), 117-129. 

  8. S. A. Lim. (2017).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by Self-esteem for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77-84. 

  9. H. S. Lee. (2016). A Convergence study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arent-Son/Daughter Communication on Addiction to Smartphones : Focu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Stress Level,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4), 163-172. DOI : 10.15207/jkcs.2016.7.4.163 

  10. Y. J. Oh. (2004). Fa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and Self efficac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Fam Relat, 9(2), 201-219. 

  11. K. S. Han, Y. J. Park, K. M. Kim, Y. J. Oh, J. H. Jin & H. C. Kang. (2008). Communication Style, Self Efficacy, Emotional Regulation, and Ways of Coping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ing, 17(1), 28-34. 

  12. J. W. Park, M. S. Choi. (2009). A Study on Self Consciousnes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3), 351-360. 

  13. S. J. Shin, M. S. Jung.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kill, Stress Coping,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7(5), 441-455. DOI : 10.14257/astl.2016.140.38 

  14. E. B. Bong. (2013).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Curriculum were utilized Group Activit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0), 394-402. DOI : 10.5392/jkca.2013.13.10.394 

  15. I. Y. Cho. (2015).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Skill,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Related Education Need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4), 2593-2601. DOI : 10.5762/kais.2015.16.4.2593 

  16. H. M. Hwang. (2017). Relationship among Empathic ability, Communication skill,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2(1), 1-10. 

  17. Y. H. Cho. (2016). Effects of Empathy, Communication Ability and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on Psychiatric nurses' Imag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5(4), 294-302. DOI : 10.12934/jkpmhn.2016.25.4.294 

  18. H. Y. Min. (2016).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Skill, Self-identity, and Self-efficacy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7), 359-379. 

  19. Y. H. Song. (2017). Comparing Levels of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Convergence Competency according to Their Field Experienc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3), 147-152. DOI : 10.22156/cs4smb.2017.7.3.147 

  20. M. Y. Nam & O. H. Kweon. (2017). The Convergence over Effect of Adolescent's Maladaptive Perfectioniism and Bullyingon Victim on Suicidal Ide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4), 129-138. DOI : 10.22156/cs4smb.2017.7.4.129 

  21. H. S. Lee, E. H. Choi & M. Y. Whang. (2009). Effects of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flict Resolution Style, and Self-Esteem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16(2), 1-22. 

  22. S. J. Kim & H. H. Kim. (2013). Impa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mpathy Abilit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among Dental Hygiene. Journal Dental hygiene Society, 13(3), 304-313. 

  23. S. Y. Ahn. (2017). The Convergence Relation of Communicatio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Nurs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147-152. 

  24. S. R. Rhyou & H. S. Park. (2016). Effects of Team teaching on Strategic Cultural of Curriculum Contents against Freshmen.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12), 310-326. 

  25. S. J. Lee, Y. K. Chang, H. N. Lee & K. Y. Park.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eoul :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6. A. Y. Kim. (1998). Education Application of Motivation Theories and Issues for Future Research : Focused on Self-efficacy Theor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2(1), 105-128. 

  27. J. E. Cha. (1996). A Study of for Development of a General Self-Efficacy Scale. Psychological Research, 1(34), 19-31. 

  28. M. Y. Jung. (2016). Need on communication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Inje University, Busan. 

  29. K. K. Kim, J. Yoon, K. Y. Choi, S. Y. Park & J. H. Bae. (2008). The Effect of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Project Learning on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4(2), 252-261. DOI : 10.5977/jkasne.2008.14.2.252 

  30. S. J. Lee, Y. K. Chang, H. N. Lee & K. Y. Park.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5(3), 1-145. 

  31. A. R. Gwon & S. J. Han. (2015).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Dental Hygiene, 15(6), 1009-1017. DOI : 10.13065/jksdh.2015.15.06.1009 

  32. E. J. Ji, M. R. Bang & H. J. Jeon. (2013). Ego Resilience,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9(4), 571-579. DOI : 10.5977/jkasne.2013.19.4.571 

  33. T. Brown, B. Williams, M. Boyle, A. Molloy, L. McKenna, C. Palermo, L. Molloy & B. Lewis. (2011). Communication Styles of Undergraduate Health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1(4), 317-22. DOI : 10.1016/j.nedt.2010.06.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