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거점공공병원의 지속가능한 외부공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ustainable Outdoor Space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3 no.4, 2017년, pp.17 - 25  

윤은지 (Department of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  임영환 (Department of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ince hospitals have a big impact on the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 hospitals' sustainability must be considered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al aspects. So far, research on sustainable hospitals has mainly been conducted on indoor environment, but 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개월에 걸쳐 선정된 의료원을 방문답사하고, 각 의료원 시설팀 직원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결론에서는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지역거점공공병원 외부환경의 친환경성 개선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 의료시설 외부공간은 의료시설 대지 내의 건물 외부공간을 말하며(figure 2), 외부공간 자체만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실내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병원 대지 밖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 병원 내외부공간의 관계도 분석하고자 한다.
  • 하지만 의료시설에서의 외부공간 활용은 내부공간 못지않게 중요한 요소이다(Lim & Kim, 2007). 본 논문에서는 의료시설의 친환경적 외부공간에 대해서 고찰하고, 지역거점공공병원 사례 네 곳의 외부공간 현황을 평가하며, 이후 친환경 의료원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경사진 대지를 활용하여 공간의 동선과 용도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의료원에서 경사진 대지의 지형을 활용해 환자들을 위한 공간과 차량을 위한 공간을 분리하였으며, 이러한 공간구분은 더 안전하고 자연적인 환경을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거점공공병원은 무엇인가? 지방공공의료원 및 적십자병원을 지역거점공공병원이라 부른다. 우리나라 공공의료체계에서 중요한 허리역할을 수행하는 거점병원이며, 지역사회의 2차 거점의료기관으로서 취약계층 진료와 공공보건의료사업을 수행한다(Lee, 2014).
의료원 외부공간 내 휴게공간을 계획할 때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가? ④ 의료원의 외부공간은 최소한의 기능적인 공간 위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측면에서 안전 및 치유환경적 고려가 부족했다. 의료원 외부공간 내 휴게공간은 녹지와 연계되도록 계획해야 하며, 주차공간 및 도로와 분리, 보행로와 연계 등을 고려해야 한다. 대부분 주차장으로 채워진 외부공간에서 환자들을 위한 휴게공간을 질적으로 확보하기 어려울 경우, 옥상정원과 중정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의료원 외부공간이 주차장 및 차량도로로 사용될 때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주차공간과 도로에 모두 아스팔트를 사용하여 외부공간의 불투수성포장 비율이 매우 높았다. 이러한 외부공간은 주변지역의 우수가 범람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으며, 도시 열섬현상을 가중시키기도 한다. A의료원은 초기 계획 당시 지하주차장이 없었으나, 2011년 별관 리모델링 시 의료원 대지 남측에 지하주차장을 마련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shihara, Y. (1981). Exterior design in architecture.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2. Bengtsson, A., & Grahn, P. (2014). Outdoor environments in healthcare settings: A quality evaluation tool for use in designing healthcare garden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3(4), 878-891. 

  3. BRE Global Limited (2015). BREEAM UK New Construction Technical Manual. Watford: BRE Global Limited. 

  4. Guenther, R., &Vittori, G. (2008).?Sustainable healthcare architecture. John Wiley &Sons. 

  5. Han Su-Ae, Kim Shin-Won. (2011). A Study on th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 Elements at Outdoor Spaces in Apartment Complexes - Focused on Turn-Key Projects of Gim-po Han River New Tow.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7(4), 33-43. 

  6. Japan Sustainable Building Consortium. (2014). CASBEE for Building (New Construction). 

  7. Kee Hwan Lee. (2014). Research Article : Current Status of District Public Hospitals and Support Directions.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Journal, 20(3), 57-63. 

  8.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2015). Energy Consumption Survey -the 12th Edition. 

  9. Lee Kyu-In, Kim Min-Seok. (2010).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Standards for Development of External Space of Ecological Housing Complexes through Practicing Architects Surve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6(1), 175-184. 

  10. Lim Tae-Sub, Kim Byung-Seon. (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or Eco-Friendly Exterior Space of Domestic Hospita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3(11), 267-274. 

  11. Marcus, C. C. (2007). Healing gardens in hospitals. Interdisciplinary Design and Research e-Journal, 1(1), 1-27. 

  12. Ulrich, R. (1984).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Science, 224(4647), 224-225. 

  13. Ulrich, R. S. (2001). Effects of healthcare environmental design on medical outcomes. In Design and Health: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ealth and Design. Stockholm, Sweden: Svensk Byggtjanst (pp. 49-59). 

  14. Ulrich, R. S. (2002, April). Health benefits of gardens in hospitals. In Paper for conference, Plants for People International Exhibition Floriade (Vol. 17, No. 5, p. 2010). 

  15. USGBC (2016). LEED v4 for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16. Velarde, M. D., Fry, G., & Tveit, M. (2007). Health effects of viewing landscapes-Landscape types in environmental psychology.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6(4), 199-2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