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 골재산지 권역별 콘크리트용 골재의 물성 평가
Evaluation of Aggregates Properties Depending on Producing Sectors and Region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7 no.6, 2017년, pp.499 - 506  

한민철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eongju University) ,  이준석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eongju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역별 4개 권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골재를 임의로 선정하여 관련 골재 KS의 품질 항목을 기준으로 적합 부적합 여부 및 품질 실태를 확인하고 골재 품질 확보의 필요성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각 권역의 골재원에 따른 골재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 골재가 유통되는 지역 및 골재원의 특성에 따라 골재의 품질은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일부 골재의 품질 수준은 열악하였고, 상당수의 골재가 관련 KS의 기준에 부적합한 비 KS 골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골재의 유통과정 중 입도나 조립률을 검사하지 않는 골재채취법은 저품질의 불량 골재도 유통할 수 있는 근거가 되기에 기준에 부적합한 골재도 유통이 가능하여, 국내 골재의 품질 실태가 매우 우려스러운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른 각 골재원에 따른 골재의 KS 품질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present empirical data about the needs for quality security of aggregate by randomly selecting aggregate from 4 major locations including A, B, C, D province in Korea, by investigating its quality status in terms of physical properties and particle distribution based on Korean ind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각종 골재의 전반적인 품질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대표적으로 우리나라 지역별 4개 권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골재를 선정하여 이들이 콘크리트용 골재 관련 KS의 품질 항목에 적합한지에 대한 여부 및 품질 실태를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불량골재로 인식되고 있는 발파석 및 EEZ모래의 품질현황 자료를 제공하여 골재 품질 확보의 필요성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 범위에서 석탄 및 갈탄 시험은 천연 골재인 강사 및 해사에 한해서 유사한 입자로 잔골재 변색에 대한 함유량을 확인하기 위해 측정하였는데, 전 권역의 강사 및 해사는 석탄 및 갈탄 함유량은 0 %로 함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범위에서 알칼리 골재반응은 부순 골재에 한해서 골재와 SiO2의 반응성을 확인하기 위해 측정하였는데, 전 권역에서 무해한 골재로 판정되었다. 이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골재의 경우 화강암 등 심성암계가 많기 때문에 알칼리 골재반응에 대하여 무해한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역별 4개 권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골재원별 콘크리트용 골재의 품질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KS에서 정하고 있는 품질 항목을 중심으로 물성 및 KS 품질 기준의 적합 여부를 평가 하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각종 골재의 전반적인 품질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대표적으로 우리나라 지역별 4개 권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골재를 선정하여 이들이 콘크리트용 골재 관련 KS의 품질 항목에 적합한지에 대한 여부 및 품질 실태를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불량골재로 인식되고 있는 발파석 및 EEZ모래의 품질현황 자료를 제공하여 골재 품질 확보의 필요성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범위로 전술한 국내 4개 권역별로 유통되고 있는 골재를 선정하여 골재원별 골재 종류에 따른 물리적 특성, 유해물질 함유량, 입자 특성에 대한 결과치를 비교·검토하였다. 한편, 골재원의 경우는 국토교통부 골재 수급 계획 기준으로 각 권역별로 실제 유통되고 있는 산림골재(석산), 선별파쇄골재(발파석), 육상골재(마사), 하천골재(강사), 바다골재(해사)를 선정한 후 제반 시험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정성은 무엇인가? 안정성은 황산나트륨의 결정압에 의한 파괴 작용에 대한 저항성 기준을 나타낸 것으로, KS F 2527에는 굵은 골재의 경우 12% 이하, 잔골재는 10% 이하의 기준을 정하고 있다.
콘크리트용 골재의 특징은 무엇인가? 현재 국내 건설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콘크리트용 골재는 천연골재자원이 고갈됨에 따라 대체 골재자원으로서 골재원의 종류별로 산림, 선별·파쇄, 육상, 하천 및 바다 골재 등으로 다양하고, 전국 지역별 특성에 따라 상이한 품질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골재의 품질이 우려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최근 들어 골재 수급난이 매우 심각해짐에 따라 품질 확보가 쉽지 않은 발파석 골재, EEZ 해사 등이 건설 시장에 무분별하게 유통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골재의 품질이 우려스러운 수준이며 이러한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품질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Hong SS, Kim JY, Lee JY. Trends of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in Korea (I).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015 Sep;24(3):253-72. 

  2. Min KC, Han CG. Effects of low-quality aggregates in the same workability conditions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2016 Sep;4(3):299-306. 

  3. Koh KT, Ryu GS, Yoon GW, Han CG, Lee JH. Influence of the type of fine aggregate on concrete propertie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006 Aug;18(4):459-67. 

  4. Yoo SY, Sohn YS, Lee SH, Yoon GW, Han CG. The effect of fine particle of crushed sand on quality of Concret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5 Oct;25(1):313-16. 

  5. Yoon GW, Yoo SY, Sohn YS, Lee SH, Han CG. The effect of solid volume percentage for grain shape of crushed sand on qualities of concret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5 Oct;25(1):45-8. 

  6.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S F 2527 Concrete Aggregat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16 Aug. 

  7. Song JW, Choi JJ. The influence of fine particles under 0.08 mm contained in aggregate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013 Jun;25(3):347-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