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산 현무암의 콘크리트용 골재 사용을 위한 품질 특성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Basalt Aggregates from JEJU Island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3 no.5, 2013년, pp.449 - 456  

장명훈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Jeju National University) ,  최희복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Jeju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도 현무암 골재에 대해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로서의 품질기준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골재의 품질 평가는 KS 기준에서 요구하는 골재안정성, 골재마모저항성, 골재파쇄성 실험을 하였다. 더불어, 현무암 골재의 성분 분석을 위해 XRD, XRF, Porosity를 분석하였으며, 현무암의 강도는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로서 다른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화강암, 안산암 그리고 사암의 압축 및 인장강도 결과 값과 비교 평가하였다. 전반적으로, 골재의 기계적 특성 평가 결과, 일부 지역의 현무암 골재는 KS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제주지역의 현무암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는 타 지역의 암석보다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suitability in terms of the standards of material quality of basalt aggregates from JEJU Island as a source for concrete aggregate. Quality assessments on the basalt aggregate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soundness of coarse aggregates using sodium sulfat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무암 골재는 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용 골재에 비해 비교적 빨리 콘크리트의 열화현상[13]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산 현무암 골재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여 콘크리트의 열화현상을 평가할 수 있는 현무암 골재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재의 품질은 주로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해외에서, 현무암 골재는 일반 콘크리트용 골재와 아스팔트용 골재, 댐 및 방파 건설을 위한 골재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골재의 품질은 주로 원석의 특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골재의 기계적인 성능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골재의 표면 거칠기, 입자형태, 공극의 정도, 암석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1,2,3]. 또한, 콘크리트의 강도는 골재의 표면 거칠기 뿐만 아니라 골재의 품질 및 물리적 기계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제주산 현무암 골재가 콘크리트 펌핑시 골재 분리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콘크리트의 강도는 골재의 표면 거칠기 뿐만 아니라 골재의 품질 및 물리적 기계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현무암 골재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품질을 향상시키는 장점도 있지만[4,5], 일반적으로 보통골재보다 단위 중량과 상대밀도가 크기 때문에 콘크리트 펌핑시 골재 분리를 유발시킬 수 있다[6,7].
콘크리트의 강도는 무엇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골재의 품질은 주로 원석의 특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골재의 기계적인 성능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골재의 표면 거칠기, 입자형태, 공극의 정도, 암석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1,2,3]. 또한, 콘크리트의 강도는 골재의 표면 거칠기 뿐만 아니라 골재의 품질 및 물리적 기계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현무암 골재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품질을 향상시키는 장점도 있지만[4,5], 일반적으로 보통골재보다 단위 중량과 상대밀도가 크기 때문에 콘크리트 펌핑시 골재 분리를 유발시킬 수 있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artley A. A review of the ge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road surface aggregates. Quarter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and Hydrogeology. 1974 Feb;7:69-100. 

  2. Lees G, Kennedy CK. Quality, shape and degradation of aggregates. Quarter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and Hydrogeology. 1975 Aug;8:193-209. 

  3. Smith MR, Collis L. Aggregates: sand, gravel and crushed rock aggregates for construction purposes. 3rd ed. London: The Geological Society; c2001. 339 p. 

  4. Ozturan T, Cecen C. Effect of coarse aggregate type on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s with different strength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1997 Feb;27(2):165-70. 

  5. Tasong WA, Lynsdale CJ, Cripps JC. Aggregate-cement paste interface. II: Influence of aggregate physical properti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1998 Oct;28(10):1453-65. 

  6. Fookes PG. 1980. An introduction to the influence of natural aggregates on the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concrete. Quarter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Hydrogeology. 1980 Nov;13(4):207-29. 

  7. Neville AM. Properties of concrete, 4th ed. London. John Wiley & Sons; c1995. 844 p. 

  8. Choi KI, Kim JC, Sung YH, Kim SY. An experimental study on concrete with che-ju aggregates.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995 May; Korea Concrete Institute; 1995. p. 148-53. 

  9. Arnould M. Alkali-reaction with silica alkaline aggregates result of recent researches in france. Proceedings International Three Gorges Project Technical Seminar; 1997 November 26-28; Yichang, China: Chinese Committee on Large Dams; 1997. p. 184-95. 

  10. Wakizaka Y. Alkali-silica reactivity of Japanese rocks. Engineering Geology. 2000 Apr;56(1-2):211-21. 

  11. Yu JE, Yang KH, Jeong HY, Kil YW. Petrology of pyroxenite xenoliths enclosed in basaltic rocks from shinsanri of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012 Aug;48(4):299-312. 

  12. Jeong GY, Sohn YK, Jeon YM. Zeolites in the volcaniclastics of jeju island. Journal of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010 Mar;23(1):39-50. 

  13. Yong TH, Choi JM, Lee YS, Yoon JH. An investigation report about phenomena of deterioration of concrete structures throughout cheju island. Proceeding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94 October: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94. p. 509-12. 

  14. Moon JY.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crushed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master's thesis]. [Kwangju (Korea)]: Chosun University; 2011. 59 p. 

  15. Choi SJ, Jeong Y, Oh BJ, Kim MH.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crushed aggregate for concrete produced in korea.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003 Nov; Seoul. Seoul (Korea): Korea Concrete Institute; 2003. p. 112-5. 

  16. Le Maitre RW, Bateman P, Dudek A, Keller J, Lameyre Le Bas MJ, Sabine PA, Schmid R, Sorensen H, Streckeisen A, Woolley AR, Zanettin B. A classification of igneous rocks and glossary of terms. 1st ed. Oxford (UK): Blackwell Scientific; c1989. 193 p. 

  17. Choi HG, Jung EH, Kaeg EG, Kang C, Seo JP, Kim JM. A flexural strength properties of extruding concrete panel using stone powder sludge.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06 May 20; Seoul. Seoul (Korea):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06. p. 115-8. 

  18. Hong SC. A study of natural pozzolan and foamy light weight concrete with volcanic (basaltic) ashe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70 Mar;14(35):13-23. 

  19. Kim JH. A study o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trength in pyoseonri basalt [master's thesis]. [Jeju (Korea)]: Jeju National University; 2007. 93 p. 

  20. Korkanc M, Tugrul A. Evaluation of selected basalts from Nigde, Turkey, as source of concrete aggregate. 2004 Nov;75(3-4):291-307. 

  21. So YS. Development of manufacture technology of lightweight pavement block using incineration ash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R&D Repoet]. Seoul: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2004. 324 p. 

  22. Alexander M, Mindess S. Aggregate in concrete. 1st ed. New York (NY): Taylor & Francis; c2005. 435 p. 

  23. Lee SB. Application and guality property of aggregate for concrete.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002 Mar;14(2):123-31. 

  24. Yoon JS, Kim DY, Jung HM. A study on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various strength in seoul granite. Tunnel & Underground-Journal of Korea Society for Rock Mech. 1995 Jun;11(2):144-54. 

  25. Song MK. Evaluation on physical properties on rock types of aggregates using artificial weathering. [master's thesis]. [Seoul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9. 110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