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모빌리티 상태 알림 시스템 설계
Design of smart mobility status notification system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21 no.11, 2017년, pp.2128 - 2132  

박세일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  장종욱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 모빌리티는 차세대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각광 받고 있어 시장이 매해 급성장 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기기 특성상 사용자의 몸무게나 주행 환경에 따라 모터 및 배터리는 제조사에서 표기하는 성능과 실제 성능과는 큰 차이를 보여 사용자에 따라 기기 이용 시 권장되는 주행 기준점이 없어 본래의 동작에 과부하 발생 빈도가 높아져 기기의 고장 및 파손이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주행 상태를 측정 후 제조사 측에서 제공하는 권장 주행과는 별도로 실제 주행 시의 맞춤 권장 주행 안내 및 과부하 주행 상황 알림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여 스마트 모빌리티 기기의 고장 및 파손은 물론 사용자의 안전까지 확보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art mobility is rapidly emerging as a next-generation eco-friendly transportation system, and the market is booming every year.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s that use electricity as the power source, the motor and the battery are different from the performance and actual per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의 스마트 모빌리티 상태 알림 시스템은 스마트 모빌리티를 생산 및 판매하는 각 제조사에서 타 제조사에 비해 높은 가격대비 성능을 보여 판매 촉진을 목적으로 성능을 과대하게 표현한 표기성능이 실제로 사용자가 기기를 사용 시 실제 성능과의 큰 차이가 발생하여 주행 간 과부하 발생빈도 증가 발생하며, 그에 따라 스마트 모빌리티 기기의 고장 및 파손이 늘어나 사고까지 연계되어 발생하는 안전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스마트 모빌리티 기기에 GPS와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활용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여 표기 성능이 아닌 스마트 모빌리티 기기의 실제 주행 성능 기준점을 마하여 사용자 별 몸무게의 차이로 발생하는 실 주행성능 문제점을 해결이 가능하며, 기기 주행 간 실제 기준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기의 평지 주행이나 경사가 있는 언덕 주행에서 기기의 동력원인 전기 모터의 과부하를 사용자에게 알림을 통하여 문제 발생의 여지가 있는 환경 인식 및 문제점을 방지하여 스마트 모빌리티 기기의 고장 및 파손은 물론 사고까지도 미리 방지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까지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황은? 최근 차세대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주목 받고 있는 스마트 모빌리티는 전기를 동력으로 삼아 최첨단 충전, 동력 기술이 융합되어 일상생활에서 쉽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어 매해 사용자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1].
최대 출력과 관계없이 속도제한을 거는 것의 맹점은? 대부분의 스마트 모빌리티 기기들은 모터의 최대 출력과 관계없이 속도제한(Speed Limiter)이라는 기능을 통해 일정 속도에 다다르게 되면 사용자가 스로틀을 더 높이더라도 더 이상 속도가 높이지지 않아 사용자의 과속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반대로 사용자의 몸무게가 과중하여 주행 속도가 속도제한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지만 전기 모터는 스로틀에서 보내온 가속 신호에 따라 속도 제한 기준까지 모터의 토크를 올리게 되어 정격 출력을 넘어서는 출력을 하게 된다.
스마트 모빌리티의 성능 좋고나쁨의 기준은? 스마트 모빌리티는 그 구조나 활용도에 따라 전기 자전거, 전동 휠, 전동 킥보드, 전동 스쿠터로 종류가 나뉘나 모두 납산 및 리튬을 에너지원으로 삼아 브러시리스 모터를 동력원으로 작동을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2]. 따라서 스마트 모빌리티는 사람을 운송하는 이동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하여 이동함을 요구하기에 성능이 좋고 나쁨의 기준은 탑승자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최고속도와 등판각도, 주행거리 정도의 여부이다. 하지만 탑승하는 사용자의 몸무게는 매우 다양한데다 제조사 측에서는 겉으로 보이는 성능만을 강조하기 위하여 무게가 적은 이용 대상을 통하여 테스트를 진행 및 결과로서 의 성능을 표기함으로 표기 성능과 실제 성능의 큰 차이를 보이게 되어 사용자에 따라 기기 이용 시 권장되는 주행 기준점이 없어 본래의 동작에 과부하 발생 빈도가 높아져 기기의 고장 및 파손이 늘어나고 있으며, 사용자의 안전성 논란은 물론 재산상 피해가 발생되어 스마트 모빌리티 기기의 문제점으로 지적받아 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S. H. Lee, J. W. An, "E-mobility status and major issues,"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6, no. 7, pp. 7-12, Jul. 2017. 

  2. S. H. Lee, "Industrial trend of Personal Mobility,"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7, no. 4, pp. 27-43. Nov. 2013. 

  3. M. S. Kang, "Tilt Angle Estimation of Plane with a Pair of Accelerometers and a Gyroscope,"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23, no. 11, pp. 966-972, Nov. 2013. 

  4. H. K Byeon, H. K. Kim, I. K. Kim, K. S. Huh, "Climbing Angle Estimation in Yawing Motion by UIO," Transac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23, no. 5, pp. 478-485, May 2013. 

  5. H. J. Woo, J. B. Lee, S. J. Jang, C. G. Heo, G. S. Park, "A Study on Torque Improvement of Electric Kickboard for Increasing of Gradability,"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305-307, Oct. 2016. 

  6. J. M. Park, K. R. Park, "A Study on Smart Phone Real-Time Motion Analysis System using Acceleration and Gyro Sensor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vol. 21, no. 1, pp. 63-65, Jan. 2013. 

  7. N. Lionel, J. W. Jang, "Design of IoT Gateway based Event-Driven Approach for IoT related Application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20, no. 11, pp. 2119-2124, Nov.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