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표준식품성분표 개정을 위한 국내산 돈육의 부위별 비타민 B12 함량 분석
Analysis of vitamin B12 in fresh cuts of Korean pork for update of national standard food composition tabl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4 no.7, 2017년, pp.983 - 991  

문금주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송원주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선혜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범균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길락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갑성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진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능성식품과) ,  최용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  천지연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 영양평가 및 정책 수립에 근간이 되는 국가표준식품성분표 개정을 위해 농촌진흥청과 국립축산과학원이 공동으로 국산 돈육의 대표 시료를 선정하고 부위별로 신뢰성이 확보된 vitamin $B_{12}$ 함량 데이터 구축을 위해 분석법 검증과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한 연구이다. Immunoaffinity-HPLC 분석법을 특이성, 직선성, 검출한계정량한계, 정확성, 정밀성 등의 분석수행특성 지표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AOAC 가이드라인 수용기준에 충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든 시료 분석 시 in-house QC sample을 분석한 결과 QC chart의 관리한 계선 안에 포함이 되어 본 연구 기간 동안 수행된 모든 시료 분석이 관리하에 정확성과 정밀성을 나타내는 분석값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 7개 primal cut과 이들로부터 세분화된 22개 retail cut의 vitamin $B_{12}$ 함량 분석 결과 주요 부위(평균 $0.42-0.69{\mu}g/100g$) 뿐 만 아니라 같은 부위 안에서도 세부 부위에 따라 vitamin $B_{12}$ 함량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삼겹살과 목심 부위에서 vitamin $B_{12}$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세부 부위에서는 삼겹살 부위의 토시살이 $0.98{\mu}g/100g$로 최고값을 보였고, 등심 부위의 알등심살과 뒷다리 부위의 홍두깨살이 $0.33{\mu}g/100g$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Vitamin $B_{12}$ 함량은 돈육의 부위별 단백질 함량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지방 및 수분 함량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생산된 국내산 돈육의 부위별 vitamin $B_{12}$ 함량 데이터는 분석법 검증과 분석품질관리를 통하여 신뢰성이 확보된 데이터로 국가표준식품성분표 개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pdate the National Standard Food Composition Table (NSFCT) published by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specially focusing on vitamin $B_{12}$ for Korean pork. Total 7 primal and 22 retail fresh cuts of Korean pork were analyzed for vitamin $B_{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육류는 가축의 종, 사육환경, 운동 뿐 만 아니라 근육의 위치에 따라 영양학적인 차이를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가축의 사료는 육류의 영양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19).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국가표 준식품성분표 개정을 위해 국산 돈육을 대표할 수 있는 시료를 샘플링하고 이들의 정확한 vitamin B12 함량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분석법 검증과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산된 데이터는 국민영양건강을 평가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 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에서 발간하고 있는 국가표준식품성 분표(national standard composition table)를 개정하기 위하여 vitamin B12 함량 분석에 적용할 immunoaffinity-HPLC법 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내산 돈육의 22개 세부 부위별 vitamin B12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이 진행되는 동안 분석품질관리를 실시하여 전 분석 과정이 신뢰도 있게 진행되는지를 평가하여 국가표준식품성분표 개정을 위한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국민영양수준 평가 및 영양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이 진행되는 동안 분석품질관리를 실시하여 전 분석 과정이 신뢰도 있게 진행되는지를 평가하여 국가표준식품성분표 개정을 위한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국민영양수준 평가 및 영양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민 영양평가 및 정책 수립에 근간이 되는 국가표준식품성분표 개정을 위해 농촌진흥청과 국립축산 과학원이 공동으로 국산 돈육의 대표 시료를 선정하고 부위 별로 신뢰성이 확보된 vitamin B12 함량 데이터 구축을 위해 분석법 검증과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한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코발라민의 구조는 어떠한가? Vitamin B12는 코발라민(cobalamin)이라고 불리며 수용성 vitamin 중 가장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코발라민류는 네 개의 pyrrole ring이 환구조를 이루고 있는 corrin ring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ring 중심에 코발트(Co)와 연결 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코발트는 각 pyroll ring의 N 잔기와 5, 6-dimethyl-benzimidazole와 연결되어 있으며, 남은 하나의 잔기에 결합되어 있는 화학구조물에 따라 cyanocobalamin, hydroxyl cobalamin, methyl cobalamin, 그리고 5-deoxyademosyl cobalamin 형태로 존재한다.
내인자와 결합한 후 회장에서 흡수되는 특성으로 인해 비타민B12의 결핍이 발생하는 경우는 무엇인가? Vitamin B12는 식품을 통해 섭취된 후 위에서 단백질과 분리 되어 위에 존재하는 내인자(intrinsic factor)와 결합하여 복 합체를 형성한 다음 회장에서 흡수된다(5). 따라서, 위산 분비가 적어지는 노인이나 위장 절제 수술 후의 환자들에게 vitamin B12 결핍이 빈번히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vitamin B12가 주로 동물성 식품에 존재하기 때문에 동물성 식품 섭취를 제한하는 식이나 채식을 하는 사람들에게도 이러한 vitamin B12 부족이 나타날 수 있다(6,7).
식이를 통한 vitamin B12섭취 중요성이 높아지는 최근 연구 결과는 무엇인가? 4 μg/day로 매우 소량이지만, vitamin B12는 인체 내에서 여러 세포의 DNA합성과 조절에 관여하는 중요한 인자로, 결핍 시 거대아구성 빈혈과 신경계 이상, 위염, 위궤양 등 위장계통의 이상 증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또한, 최근 낙상, 이동성 제한, 우울증, 사망률 증가 및 이환율과 관련이 있는 sarcopenia와 dynapenia가 vitamin B12 결핍과 관계가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어 식이를 통한 vitamin B12섭취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4). Vitamin B12는 식품을 통해 섭취된 후 위에서 단백질과 분리 되어 위에 존재하는 내인자(intrinsic factor)와 결합하여 복 합체를 형성한 다음 회장에서 흡수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artens JH, Barg H, Warren MJ, Jahn D (2002) Microbial production of vitamin $B_{12}$ . Appl Microbiol Biotechnol, 58, 275-285 

  2. Lachner C, Steinle NI, Regenold WT (2012) The neuropsychiatry of vitamin $B_{12}$ deficiency in elderly patients.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24, 5-15 

  3. Green R, Datta Mitra A (2017) Megaloblastic Anemias: Nutritional and Other Causes. Med Clin North Am, 101, 297-317 

  4. Bulut EA, Soysal P, Aydin AE, Dokuzlar O, Kocyigit SE, Isik AT (2017) Vitamin $B_{12}$ deficiency might be related to sarcopenia in older adults. Exp Gerontol, 95, 136-140 

  5. Ball GF (1998) Bioavailability and analysis of vitamins in foods. Chapman &Hall, London, UK, p 497-515 

  6. The Korean Nutrit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ed, The Korean Nutriton Society, Seoul, Korea, p 5 

  7. NIH (2016) Vitamin $B_{12}$ fact sheet for consumer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USA, p 1-3 

  8.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2017) Livestock Statistics 30. National Inst Anim Sci, Seoul, Korea, p 9 

  9. Horwitz W (2002) AOAC guidelines for single laboratory validation of chemical methods for dietary supplements and botanicals. AOAC International, Gaithersburg, MD, USA, p 1219 

  10. ICH (2005) Validation of analytical procedures: text and methodology.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Geneva, Switzerland, p 11-12 

  11. AOAC international (2011) Standard Format and Guidance for AOAC Standard Method Performance Requirement (SMPR) Documents. 12.1st ed, AOAC international, Rockville, MD, USA 

  12. Buege DR, Williams JR, Snyder C, Boillot K, Lofgren P, Thompson L, Luna A, Douglass LW (2009) USDA nutrient data set for fresh pork (from SR), Release $2.0^{1}$ .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Beltsville, MD, USA, p 7-18 

  13. Greenfield H, Arcot J, Barnes JA, Cunningham J, Adorno P, Stobaus T, Tume RK, Beilken SL, Muller WJ (2009) Nutrient composition of Australian retail pork cuts 2005/2006. Food Chem, 117, 721-730 

  14. Kang HS, Seo KS, Kim KT, Nam KC (2011) Comparison of pork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arts from domesticated pig species. Korean J Food Sci Anim Resour, 31, 921-927 

  15. Beermann DH, Fishell VK, Roneker K, Boyd RD, Armbruster G, Souza L (1990) Dose-response relationships between porcine somatotropin, muscle composition,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and pork quality. J Anim Sci, 68, 2690-2697 

  16. Ryu YC, Choi YM, Lee SH, Shin HG, Choe JH, Kim JM, Hong KC, Kim BC (2008) Comparing the 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traits of different pig breeds. Meat Sci, 80, 363-369 

  17. Hur SJ, Park GB, Joo ST (2007) Biological activitie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effects of CLA on animal products. Livestock Sci, 110, 221-229 

  18. Wimmers K, Ngu N, Jennen D, Tesfaye D, Murani E, Schellander K, Ponsuksili S (2008) Relationship between myosin heavy chain isoform expression and muscling in several diverse pig breeds. J Anim Sci, 86, 795-803 

  19. Decker EA, Park YH (2010) Healthier meat products as functional foods. Meat Sci, 86, 49-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