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몬테카를로 전산해석에 의한 X선 실습실의 공간선량분포 평가
Assessment of Spatial Dose Distribution in the Diagnostic Imaging Laboratory by Monte Carlo Simulation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1 no.6, 2017년, pp.423 - 428  

조윤형 (건양대학교 방사선학과) ,  강보선 (건양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몬테카를로 전산해석법으로 K대학교 진료영상 촬영 실습실의 방사선 조사실과 발생장치 제어실 내부 공간 유효선량률 분포 계산을 수행하였다. 방사선 발생장치는 최대 관전압 150 kVp에 최대 관 전류 700 mA이다. 전산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차폐문이 닫힌 경우와 열린 경우의 진료영상 촬영 실습실의 공간선량 분포를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차폐문이 열린 경우에도 방사선 발생장치 제어실의 유효선량률은 학생(수시출입자)의 연간 유효선량률 한도(6 mSv/y)를 초과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차폐문이 열려있을 때의 유효선량률이 차폐문이 닫힌 경우에 비해 납유리 앞에서는 약 16배, 차폐문 앞에서는 약 3,000배 더 높기 때문에 실습 중에 차폐문을 닫는 것이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을 크게 줄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alculation of the effective spatial dose distribution of the diagnostic imaging laboratory of K university was performed by the Monte Carlo simulation. The radiation generator has a maximum tube voltage of 150 kVp and a maximum current of 700 mA. Using the results, we compare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그러므로 사용시설의 실제 설계기준은 방사선 발생장치의 성능이 최대일 때로 가정하여 납유리로부터 30 cm 거리에서의 선량이 작업종사자 선량한도 20 mSv/y, 수시출입자 선량한도 6 mSv/y, 또는 일반인 선량한도 1 mSv/y를 넘지 않도록 차폐재가 설치되어야 한다. [1] 선량한도의 적용은 발생장치 제어실에 출입하는 출입자의 신분이 무엇인지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작업종사자와 수시출입자가 출입해야한다면 발생장치 제어실의 공간방사선선량은 수시출입자 선량한도인 6 mSv/y를 초과하지 않도록 차폐시설이 설계 및 시공되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선 발생장치 사용시설을 사용하기 위한 절차는? 방사선학과의 진료영상 촬영 실습실과 같은 방사선 발생장치 사용시설은 원자력안전법규에 따라 사용시설 경계에서의 공간선량이 원자력안전법규에 명시된 선량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차폐시설을 설치한 후, 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시설검사를 실시하여 누설선량이 선량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확인된 이후에 사용허가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발생장치 사용시설, 특히, 방사선학과의 진료영상 촬영 실습실은 원자력안전법에 의한 방사선 발생 장치 사용 허가시설이다.
진료영상 촬영 실습실의 방사선 조사실과 방사선 발생장치는 무엇을 뜻하는가? 진료영상 촬영 실습실은 크게 방사선 조사실과 방사선 발생장치 제어실로 나누어져 있다. 방사선조사실은 방사선 발생장치와 방사선 영상장치 및 인체모형 positioning을 위한 조사테이블 등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을 말하며, 방사선 발생장치 제어실은 관전압과 관전류 및 조사시간 등 촬영조건에 관련된 모든 인자를 포함하여 방사선 발생장치를 조작하는 컴퓨터 및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습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실습준비를 위해 대기하고 있는 공간을 말한다. 발생장치 제어실에 설치된 발생장치 제어용 컴퓨터와 모니터 그리고 빔 조사 스위치 등은 대부분 조사실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납유리로 제작된 시창구 앞에 설치된 테이블 위에 배치되어 있다.
진료영상 촬영 실습실은 어떻게 나뉘어져 있는가? 진료영상 촬영 실습실은 크게 방사선 조사실과 방사선 발생장치 제어실로 나누어져 있다. 방사선조사실은 방사선 발생장치와 방사선 영상장치 및 인체모형 positioning을 위한 조사테이블 등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을 말하며, 방사선 발생장치 제어실은 관전압과 관전류 및 조사시간 등 촬영조건에 관련된 모든 인자를 포함하여 방사선 발생장치를 조작하는 컴퓨터 및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습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실습준비를 위해 대기하고 있는 공간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 VALENTIN, The 2007 Recommendait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Elsevier science Publishing Co., pp. 89-91, 2007. 

  2. Dennis B. Pelowitz, $MCNPX^{TM}$ USER'S MANUAL, Version 2.7.0, pp. 11-13, 2011. 

  3. Andrew M. Hernandez, John M. Boone, "Tungsten anode spectral model using interpolating cubic splines : Unfiltered x-ray spectra from 20 kV to 640 kV", Medical Physics, Vol. 41, No. 4, 2014. 

  4. Virginia L. Maniquis, Monte Carlo Dose Verfication of an X-ray Beam in a Virtual $Water^{TM}$ Phantom,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pp. 13-16, 2006. 

  5. M. Baptista, P. Teles, G. Cardoso, P. Vaz, "Assessment of the dose distribution inside a caridac lab using TLD measurements and Monte Carlo simulations",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Vol. 104, pp. 163-169, 2014. 

  6. N. Petoussi-Henss, W.E. Bolch, K.F. Eckerman, A.Endo, N. Hertel, J. Hunt, M. Pelliccioni, H. Schlattl, M. Zankl, Conversion Coefficients for Radiological Protection Quantities for External Radiation Exposures, Elsevier Science Publishing Co., pp. 117-126, 2010. 

  7. M.H. Kang, J.M. Cho, B.J. Jung, S.C. Noh, S.S. Kang, I.H. Choi, H.J. Jung, J.K. Park, "A Study for Dose Difference of Anode and Cathode by the Size of Radiation Field in Normal Chest X-ray Examination",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8, No. 1, pp. 113-115, 2014. 

  8. Fred A. Mettler, Walter Huda, Terry T. Yoshizumi, Mahadevappa Mahesh, "Effective Doses in Radiology and Diagnostic Nuclear Medicine: A Catalog", Radiology, Vol. 248, No. 1, July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