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핵의학과 분배실 내의 공간선량률 측정
Measurement of the Spatial Dose Rate for Distribution Room 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3 no.2, 2012년, pp.151 - 157  

박정규 (대구보건대학 방사선과) ,  조의현 (영남대학교 의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방사선 구역 내부의 공간선량은 의학의 발전과 더불어 방호시설이 잘 되어 있어도 작업종사자의 피폭을 증가시킬 우려가 있다. 핵의학과 내의 분배실은 항상 공간선량이 존재하므로 작업종사자의 피폭선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분배실 내부의 공간선량을 측정, 분석 하였다. 핵의학과 $^{18}F$ 분배실의 공간선량률 측정결과 최대 $6.78{\pm}0.083{\mu}Sv/h$, $^{99m}Tc$, $^{131}I$ 분배실의 공간선량률이 최대 $9.248{\pm}0.013{\mu}Sv/h$로 나타났다. 또한, $^{18}F$ 분배실의 경우 1m 거리에서 간호사가 IV시 연간 외부피폭선량은 $42.5{\mu}Sv$로 나타났다. 분배실의 분배창을 기준으로 오른쪽 사방향에서 공간선량률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방사성의약품을 분배실에서 분배할 경우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머무르는 시간을 짧게 해야 하며, 분배창의 오른쪽 사방향의 경우 피폭을 줄이기 위한 분배창의 설계가 필요하며, IV시 작업종사자의 개인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한 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n though the protective facility is well made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ine, the spatial dose within the radiation section could increase the exposure of the workers. The spatial dose is always present in distribution room within th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o the spatial dose of th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부서별 개인피폭 선량을 알아보고, 휴대용 핵종분석기를 사용하여 분배실 내부의 공간선량률을 정확히 측정하여 법적 기준에 만족하는가를 확인 하였으며, 분배실에서 공간선량률의 측정치를 제시하여 작업종사자의 피폭선량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선 구역 내의 공간선량은 무엇을 좌우하는 중요인자인가? 방사선 구역 내의 공간선량은 작업종사자는 물론이고 환자에 대한 피폭선량의 증가를 좌우하는 중요인자의 하나이다. 의학의 발전에 따라 방호시설이 잘 되어 있다하더라도 환자 및 보호자, 의료종사자들의 실내 노출의 기회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므로 공간선량률은 방사선의 이용과 관리에 중요한 사항이다[2].
의료용 X선 검사의 세계적인 추세는? 한편, 의료용 X선 검사는 세계적으로 연간 5∼15%씩 증가하고 있으며, 이 추세대로라면 약 7년마다 2배씩의 의료피폭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우리나라의 피폭선량은 일본에 비해 약 2배정도 높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9].
방사성 동위원소를 인체에 투여하고자 분배하고 있는 18F분배실과 99mTc, 131I 분배실의 공간선량률 분포를 측정한 실험의 결론은? 1. 1년간 개인피폭선량 비교에서 박[11]이 연구한 2004년도의 D대학 병원의 평균 개인 피폭선량과 비교하였는데 본 연구결과에서 영상의학과 4.6mSv, 핵의학과 3.3mSv, 방사선 종양학과 0.8mSv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2. 99mTc,131I 분배실의 공간선량률이 최대 9.248±0.013μSv/h로 나타났으며, 18F 분배실의 공간선량률은 최대 6.78±0.083μSv/h로 나타났다. 3. 분배실의 분배창을 기준으로 모두 C방향(오른쪽 사방향 45°), 10cm 지점에서 공간선량률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4. 18F 분배실의 경우 1m 거리에서 간호사가 정맥 주사를 시행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장소에서 연간 피폭선량은 42.5 μSv 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ICRP : "Recommenda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i 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Publication 26, Pergamon Press, Oxford, New York, 1977 

  2. 한성규,전수경,정재성, 송서연 "핵의학과내의 공간별 선량률과 개인피폭선량과의 비교", 제 43차 방사선사 학술대회, pp446, 2008 

  3. 佐藤孝司, 小野光?:X線撮影空間の散亂線の擧動, 日本放射線技術??論文誌, 第49?, 第8?, p1383, 1993 

  4. R. S. Sloboda, M. G. Schmid, and C.P. Willis : Technologist radiation exposures from nuclear medicine imaging procedures, J. Nucl. Med. Tech., 15, 16-24,1987 

  5. M. Velchik : Radiation exposure associated with the performance of radiologic studies in radioactive patients, J. Nucl. Med. Tech, 18, pp211-213, 1990 

  6. L.K. Harding, A. B. Mostafa, L. Roden, N. Williams : Dose rates from patients having nuclear medicine investigations, Nucl. Med. Common., 6, pp191-194,1985 

  7. 박명환.이준일,"핵의학 검사에서 환자로부터의 공간 선량률 측정",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25(1), pp73-76, 2002 

  8. 오현주 외 "X선 촬영실내에서의 공간산란선량 변동에 관한 연구", 대한 방사선기술학회지, 17(2), pp21-27,1994 

  9. Jung - Min Kim, Sung Chul Kim X-ray dose at the time of diagnosis Thickness Cu filter to reduce by half, Radiology Technology, No. 24, pp17-22, 2001 

  10. 강호윤 외 "휴대용 핵종분석기의 방향의존성 측정", 대구보건대학 학술대회 논문집, 2010 

  11. 박명환, "전신 PET/CT 검사에서 공간선량률 측정", 대한방사선기술과학회지 29(4), pp257-260, 2006 

  12. Nuclear Safety Commission Notice "on radiation pr otection standards, such as" No. 2011-29 

  13. Gwang-yeol Yu "Sunshine electron emission due to the use of radionuclides in nuclear medicine labor atory safety management," Nuclear Technology 5 (2), pp280-287, 2000 

  14. Byung - Joon Kwak, "PET-CT scan study on the spatial dose rate measurements," Pusan Catholic Un iversity School of Health Sciences, Master Thesis,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