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응인가, 위기인가?: 현재 한국 가족의 변화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Is it the progress or the crisis?: How do we interpret the family change in Korea today?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1 no.4, 2017년, pp.17 - 33  

서선희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eatures of the Korean family change since 2,000 a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change on the basis of the critical review of both the positive perspective and the negative perspective of the family change in Korea. Through the method of the literat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 적응론이 주장하는 바는 무엇인가? 이렇게 하여 생겨난 한국 가족변화를 보는 관점은 가족이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는 것으로 보는 가족 적응론의 입장(송다영, 2005; 윤홍식, 2003a; 이재경, 2004; 함인희, 2002)과 가족이 해체되거나 붕괴되는 것으로 보는 가족 위기론 입장(이혁구, 1999; 조희금, 2003; 민황기, 2007; 정영금, 2015) 으로 나뉜다. 가족 적응론에서는 가족은 사회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존재하여 왔고, 그렇기 때문에 가족은 단일한 형태의 가족(the family)만을 가족이라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사회가 변화 함으로 가족도 변화하기 마련이며, 현재 한국 가족도 변화하는 사회에 따라 가족의 형태가 다양화되고 있고, 따라서 이것은 가족의 위기나 해체라고할 수 없다.
예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 현재 한국 가족의 변화 양상은 어떠한가? 그간의 변화 중에서 2,000년에 들어서면서부터 나타나고 있는 한국 가족의 변화는 구조나 형태면 에서 그전과는 질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1인 가족이 증가하여 가족의 분화가 핵가족 수준을 넘어서고 있고, 동거나 한부모 가족이 증가하여 통상적으로 가족이라 생각하는 범위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만혼이나 비혼이 증가하고 있으며 결혼과 출산에 대한 기피현상도 나타나고 있어 사람들의 가족에 대한 가치관 역시 기존의 결혼관이나 자녀관에서 훨씬 벗어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혼이나 재혼 또는 조손 가족이 증가하여 가족의 형태에서도 기존의 가족 개념이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 가족변화를 보는 2가지 관점은 무엇인가? 이렇게 하여 생겨난 한국 가족변화를 보는 관점은 가족이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는 것으로 보는 가족 적응론의 입장(송다영, 2005; 윤홍식, 2003a; 이재경, 2004; 함인희, 2002)과 가족이 해체되거나 붕괴되는 것으로 보는 가족 위기론 입장(이혁구, 1999; 조희금, 2003; 민황기, 2007; 정영금, 2015) 으로 나뉜다. 가족 적응론에서는 가족은 사회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존재하여 왔고, 그렇기 때문에 가족은 단일한 형태의 가족(the family)만을 가족이라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9)

  1. 강수영.권기돈.배은경 역(1999). 사랑은 지독한, 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혼란, Beck, U. & Beck-Gernsheim, E. Das ganz normale chaos der liebe. 서울: 새물결. 

  2. 강지원(2009). 국제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한부모가족정책. 보건사회연구, 29(2), 30-54. 

  3. 곽민주.이희숙(2014). 배우자유무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경제적 요인의 효과분석. Finacial planning, 7(2), 65-94. 

  4. 권복순(2000). 모자가족의 어머니와 자녀가 지각한 가족기능의 특성. 한국사회복지학, 40, 5-37. 

  5. 권오주.김선영.노영주.이승미.이진숙 역(1991). 페미니즘 시각에서 본 가족, Thorne, B. & M. Yalom(1982). Rethinking the family: some faminist questions. 서울 ; 한울 아카데미. 

  6. 김경신(2003). 한부모가족을 위한 교육 및 상담활성화 방안 및 효율적 전달체계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7), 73-89. 

  7. 김승권.장경섭(2000). 한국 가족의 변화와 대응방안. 서울 :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8. 김학주(2006). 유자녀가구 유형별 빈곤의 사회 경제적 특성연구 : 남성한부모가구, 여성한부모 가구, 양부모가구 비교분석. 한국인구학, 29(3), 73-87. 

  9. 김혜영(2006). 가족문화의 재고. 보건복지포럼, 115호, 20-34. 

  10. 또 하나의 문화(1991). 새로 쓰는 사랑 이야기 1. 서울 :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1. 또 하나의 문화(1996). 새로 쓰는 결혼 이야기 1. 서울 :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2. 민황기(2007). 가족 공동체 의식의 제고방안. 동서철학연구, 43, 347-366. 

  13. 박숙자(1995). 가족관계의 변화. 여성한국사회 편. 한국가족문화의 오늘과 내일. 서울 : 사회문화연구소. 91-134. 

  14. 박옥임.서선희.김경신.옥경희.박준섭.최은정(2013). 가족복지학. 서울: 공동체. 

  15. 법제처. 건강가정기본법(법률 제 14440호), http://www.law.go.kr/. 

  16. 배장섭(2000). 헤겔의 가족철학. 서울 : 얼과 알. 

  17. 서선희(2011). 가족가치에 대한 재고.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137-155. 

  18. 서선희(2016). 가족은 정의롭지 못한가?. 사회사상과 문화, 19(3), 117-145. 

  19. 설영환 역(2014). 프로이트 심리학 해설. Osbon, R. An autobiography: G. Freud. 서울 : 선영사. 

  20. 성미애.송혜림(2008). 사회투자론적 관점에서 본 새 정부의 가족정책 : 분석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4), 1-14. 

  21. 송다영(2005). 가족가치 논쟁을 통해서 본 여성의 사회권.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5 전기학술대회 자료집. 117-142. 

  22. 신용하.장경섭(1996). 21세기 한국의 가족과 공동체 문화. 서울 : 지식산업사. 

  23. 심영희.정진성.윤정로(1999). 모성의 담론과 현실. 서울 : 나남출판. 

  24. 양옥경(2005). 가족과 사회복지.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5. 여성한국사회 연구회 편(1992). 한국가족의 부부관계. 서울 : 사회문화연구소. 

  26. 윤소영.김하늬.고선강(2009). 일-가정 균형을 위한 기업의 가족친화정책 실시, 활용 및 요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1-21. 

  27. 윤홍식(2003a). 건강가정육성기본법(안)의 법제화를 반대하여. 가족해체 방지 및 건강가정 육성의 지원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99-103. 

  28. 윤홍식(2003b). 이혼 및 별거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화와 사회안전망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 53, 51-73. 

  29. 윤홍식(2004a). 가족의 변화와 건강가정기본법의 대응: 한국 가족정책의 원칙과 방향 정립을 위한 고찰, 한국가족복지학, 14. 264-293. 

  30. 윤홍식(2004b). 가족구조의 변화에 대한 한국사회의 담론과 전망. 사회복지, 161, 6-27. 

  31. 윤홍식.송다영.김인숙(2010). 가족정책: 복지국가의 새로운 전망. 서울 : 공동체. 

  32. 이광규(1975). 한국가족의 구조 분석. 서울 : 일지사. 

  33. 이미경(1999). 신자유주의적 '반격' 하에서의 핵가족과 '가족의 위기': 페미니즘 적 비판의 쟁점들. 서울 : 공감. 

  34. 이재경(1994). 현대 가족의 반사회성. 철학과 현실, 가을, 67-75. 

  35. 이재경(2004). 한국 가족은 '위기'인가?-건강가정 담론에 대한 비판. 한국여성학, 4, 229-244. 

  36. 이창신 역(2010). 정의란 무엇인가, Sandel, M.J. 2009. Justice: what is the right thing to do?. 서울 : 김영사. 

  37. 이태훈.최석만(2006). 보편적 세계인식의 원리로서 가(家). 사회사상과 문화, 13, 515-552. 

  38. 이혁구(1999). 탈근대 사회의 가족변화와 가족 윤리. 한국가족복지학, 4, 219-242. 

  39. 이효재(1971). 도시인의 친족관계. 서울 : 한국연구원. 

  40. 이효재(1990). 한국 가부장제의 확립과 변형. 여성한국사회편. 한국가족론. 서울 : 까치. 1-34. 

  41. 이효재(1995). 한국 사회의 민주화와 가족. 여성한국사회 편, 한국가족문화의 오늘과 내일. 서울 : 사회문화연구소. 9-22. 

  42. 이효재.박혜인.박숙자.윤형숙.박민자.안정남 (1991).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혼인. 서울 : 또 하나의 문화. 

  43. 장혜경.민가영(2002). 이혼여성의 부모역할 및 자녀양육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정책보고서.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44. 정영금(2008). 가족자원경영학적 관점에서 본 일-가정 균형 정책에 대한 평가와 방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1-14. 

  45. 정영금(2009). 일-가정 균형과 관련된 법과 정책의 비교고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2), 1-14. 

  46. 정영금(2015). 가족가치 확산을 위한 정책 과제와 대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1), 73-92. 

  47. 정은희(1993). 여성과 성 그리고 문화.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여성과 한국사회. 서울 : 사회문화연구소. 273-301. 

  48. 조성연(2004). 여성 한부모가족의 모-자녀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0), 153-167. 

  49. 조한경 역(2012). 미덕이란 무엇인가, Comte-Sponvile. Petit traite des grandes vertus. 서울: 까치. 

  50. 조혜정(1988). 한국의 여성과 남성. 서울 : 문학과 지성사. 

  51. 조혜정(1998). 성찰적 근대성과 페미니즘: 한국의 여성과 남성 2.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52. 조희금(2003). 국가는 왜 건강한 가정의 육성을 지원해야 하는가. 가족해체 방지 및 건강가정 육성의 지원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105-107. 

  53. 조희금.서지원(2009). 일-가정 균형을 위한 가정생활 영역의 정책적 요구: 자녀돌봄 및 가사노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61-81. 

  54. 최재석(1982). 현대가족 연구. 서울 : 일지사. 

  55. 통계청. 인구주택 총조사, 인구주택총조사, 사회조사. 각 년도. 

  56. 한남제.김현주.장현섭.김동일.김초강 (1994). 한국가족관계의 문제. 서울 : 다산출판사. 11-48. 

  57. 함인희(2002). 한국가족의 위기: 해체인가, 재구조화인가. 가족과 문화, 14(3), 163-184. 

  58. 허라금(2005). 성주류화 정책 패러다임의 모색: '방전'에서 '보살핌'으로. 한국여성학, 21(1), 199-244. 

  59. 홍이화(2013). 하인즈 코헛의 자기 심리학 이야기. 서울 : 한국심리치료연구소. 

  60. Ainsworth, M.(1978).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Hillsdale, N. J.: Erlbaum. 

  61. Anderson, M.(1980). Approaches to the history of western family 1500-1914. London: MacMillan. 

  62. Edholm, F.(1982). The unnatural family. in Whitelegg et al. The changing experience of women. Oxford: Martin Robertson. 

  63. Elliot, F. R.(1986). The family: Change or continuity?. Houndmills, Hampshire: Mac Millan Education, Ltd. 

  64. Kohut, H.(1971). The analysis of the self. N.Y.: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65. Lamb, M. E. ed.(1976). The role of father in child development. N.Y.: Wiley. 

  66. Laslett, P. & R. Wallsend.(1972). Household and family in past time. Boston: Cambridge Univ. Press. 

  67. Rawls, J.(1971). A theory of justic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68. Ross, J.J.(1994). The virtues of the family. New York: The Free Press. 

  69. Zaretsky, E.(1976). Capitalism, the family and the personal life. N.Y.: Harper & Row.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