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과학영재학생의 자기주도성과 과학창의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ness and Scientific Creativity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6 no.4, 2017년, pp.379 - 393  

김민주 (서울송전초등학교) ,  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ness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expression of scientific creativity in science-gifted class. A science-gifted program on the topic of Hydraulic Machine was implemented to 34 fifth-graders in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과학영재학생의 자기주도성의 특징은 무엇인가? 초등과학영재학생의 자기주도성은 일반 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이나, 영재 집단 내에서도 자기주도성의 수준은 하위요인별로 다양하다(안초희와 정현철, 2006; 정미선, 2008; 정은숙과 안도희, 2009; Ablard & Lipschultz, 1998). 각 수업에서 발현 된 영재 학생의 과학창의성도 다양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적 학습 성향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창의성은 오늘날 모든 교과에서 교육과정 상의 주요 목표로 제시되고 있을 정도로(Newton, 2010; Walker & Gleaves, 2008) 현대 교육의 큰 구심점이 되고 있다. 그에 비하여 ‘자기주도적 학습 성향’은 상대적으로 덜 부각되었으나, 지능보다 학습자의 성취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증명하는 많은 연구들로 인해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정미경, 2007; 정은숙과 안도희, 2009; Ablard & Lipschultz, 1998; Pintrich & DeGroot, 1990; Zimmerman & Martinez-Pons, 1990).
자기주도성을 세 수준으로 나누어 연구방법은 무엇인가? 자기주도성을 세 수준으로 나누어 연구한 까닭은 자기주도성이 ‘자신이 설정한 목표나 가치’와 깊은 관련이 있고,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학습자가 영역과 주제에 따라 질적으로 다른 행동 전략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목표의 초점에 따라 행동의 동기와 전략 및 정서가 달라지기 때문에 자기주도 학습의 초점을 일반 학습, 과학 학습, 수업 주제로 나누었을 때 그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7)

  1. 곽금주, 정윤경, 김민화 (2010). 아동발달심리학. 서울: 박학사. 

  2. 김아영, 차정은, 이채희, 주지은, 임은영 (2016). 혼자쓰는 연구논문. 서울: 학지사. 

  3. 김지자, 김경성, 유귀옥, 유길한 (1996).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평생교육학연구, 2(1), 1-25. 

  4. 김혜영, 김금선 (2010). 초등학생용 자기주도학습능력 검사의 탐색 및 개발. 교육종합연구, 8(1), 21-42. 

  5. 문병상 (2000). 영재와 평재간의 학업적 자기조절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14(1), 181-197. 

  6. 박민정, 전동렬 (2008).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써 교사 추천제 분석: 학생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11-119. 

  7. 박병기 (2004). 교육평가용어사전. 서울: 학지사. 

  8. 박숙희 (2009). 소외계층 영재교육. 영재와 영재교육, 8, 5-21. 

  9. 박혜영, 이신동 (2015).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영재성 구인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14, 267-288. 

  10. 손향숙 (1997). 자기규제적 방략 훈련과 확산적 사고 훈련이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송연자, 이윤옥 (2004). 뇌기능 분화에 따른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발전연구, 20(1), 69-87. 

  12. 오헌석, 최지영, 최윤미, 권귀헌 (2007). 과학인재의 성장 및 전문성 발달과정에서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907-918. 

  13. 윤초희, 정현철 (2006). 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관련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교육심리연구, 20(2), 321-339. 

  14. 임채성 (1997). 협동학습의 대뇌생물학적 기초: 아이디어-공유 창출 모델. 생물교육 (구 생물교육학회지), 25(2), 143-155. 

  15. 임채성 (2009).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990-1010. 

  16. 임채성 (2012).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창의적 과학 문제해결 지도 모형 개발. 생물교육, 40(4), 429-452. 

  17. 임채성 (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18. 정미경 (2007). 자기조절학습과 창의적, 비판적 사고력간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6, 163-182. 

  19. 정은숙, 안도희 (2009). 웹기반 과학 수업 방법과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자기효능감과 과학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22(2), 281-305. 

  20. 정현철, 조석희, 서혜애, 신명경, 허남영 (2004). 영재의 자율연구능력 기초탐색연구. 수탁연구 CR, 43. 

  21. 최선영 (1999). 전뇌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력, 자연과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 및 학습 양식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22. 하주영 (2011).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학습태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3), 355-364. 

  23. Ablard, K. E. & Lipschultz, R. E. (1998). Self-regulated learning in high-achieving students: Relations to advanced reasoning, achievement goals, and gender.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0(1), 94-101. 

  24. Ambrose, S. A., Bridges, M. W., DiPietro, M., Lovett, M. C. & Norman, M. K. (2010). How learning works: Seven research-based principles for smart teaching. John Wiley & Sons. 

  25. Ames, C. (1992). Classrooms: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3), 261-271. 

  26. Berlyne, D. E. (1960). Conflict, arousal, and curiosity. New York: McGraw-Hill. 

  27. Bordens, K. S. & Abbott, B. B. (2002). Research design and methods: A process approach. McGraw-Hill. 

  28. Bransford, J. D., Brown, A. & Cocking, R. (1999). How people learn: Mind, brain, experience, and school. Washington, DC: National Research Council. 

  29. Caleon, I. S. & Subramaniam, R. (2008). Attitudes towards science of intellectually gifted and mainstream upper primary students in Singapo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8), 940-954. 

  30. Chavez-Eakle, R. A., Lara, M. D. C. & Cruz-Fuentes, C. (2006). Personality: A possible bridge between creativity and psychopatholog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8(1), 27-38. 

  31. Cloninger, C. R., Svrakic, D. M. & Przybeck, T. R. (1993). A psychobiological model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0(12), 975-990. 

  32. Cox, B. F.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mong adult community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nnessee. 

  33. Fox, L. H. (1976). Changing behaviors and attitudes of gifted girls. Paper presented at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eptember, 1976, Washington, DC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183 088). 

  34. Gagne, M. & Deci, E. L. (2005).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ork motiv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6(4), 331-362. 

  35. Guglielmino, P. J. & Murdick, R. G. (1997). Self-directed learning: The quiet revolution in corporate training and development. SAM Advanced Management Journal, 62(3), 10-18. 

  36. Harty, H. & Beall, D. (1984). Attitudes toward science of gifted and nongifted fifth grad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1(5), 483-488. 

  37. Hidi, S. (1990). Interest and its contribution as a mental resource for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0(4), 549-571. 

  38. Hill, P. (1986).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out life. New York: Longman. 

  39.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3. 

  40. Jensen, E. (2000). Brain-based learning: The new science of teaching and training. The Brain Store. 

  41. Kenny, D. A., Archambault, F. X. & Hallmark, B. W. (1995). The effect of group composition on 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cooperative learning groups. Storrs, CT: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University of Connecticut. 

  42. Marzano, R. J., Pickering, D. & Pollock, J. E. (2001).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Research-based strategies for increasing student achievement. Alexandria, VA: ASCD. 

  43. Mayer, R. E. (1999). Fifty years of creativity research.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Mumford, M. D. (2003). Where have we been, where are we going? Taking stock in creativity research.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5(2-3), 107-120. 

  45. Neber, H., Finsterwald, M. & Urban, N. (2001). Cooperative learning with gifted and high-achieving students: A review and meta-analyses of 12 studies. High Ability Studies, 12(2), 199-214. 

  46. Newton, L. & Newton, D. (2010). Creative thinking and teaching for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and Talented International, 25(2), 111-124. 

  47. Newton, D. P. & Newton, L. D. (2010). What teachers see as creative incidents in elementary science less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15), 1989-2005. 

  48. Pekrun, R., Goetz, T., Titz, W. & Perry, R. P. (2002). Academic emotions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A program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7(2), 91-105. 

  49. Pesut, D. J. (1990). Creative thinking as a self-regulatory metacognitive process: A model for education, training and further research.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4(2), 105-110. 

  50.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51. Pintrich, P. R. (1995). Understanding self regulated learning.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1995(63), 3-12. 

  52. Pintrich, P. R. (2003). A motivational science perspective on the role of student motivation in learning and teaching contex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4), 667. 

  53. Rifkin, B. (2005). A ceiling effect in traditional classroom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Data from Russian. The Modern Language Journal, 89(1), 3-18. 

  54. Risemberg, R. & Zimmerman, B. J. (1992). Self regulated learning in gifted students. Roeper Review, 15(2), 98-101. 

  55. Schunk, D. H., Meece, J. R. & Pintrich, P. R. (2012).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Pearson Higher Ed. 

  56. Shepherd, G. & Regan, W. (1981). Modern elementary curriculum (6th ed.). Oklahoma City, OH: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57. Shook, R. (1981). The two brains and the education process.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Asian and Pacific American Education, Honolulu, Hawai. 

  58. Slavin, R. E. (1996).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and achievement: What we know, what we need to know.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1(1), 43-69. 

  59. Slavin, R. E. (2008). Cooperative learning, success for all, and evidence-based reform in education. Education et didactique, 2(2), 149-157. 

  60. Sternberg, R. J. (1998, Ed.). Handbook of human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Treffinger, D. J., Young, G. C., Selby, E. C., & Shepardson, C. (2002). Assessing creativity: A guide for educators.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62. Treffinger, D. J. (2009). Myth 5: Creativity is too difficult to measure. Gifted Child Quarterly, 53(4), 245-247. 

  63. Walker, C. & Gleaves, A. (2008). An exploration of students' perceptions and understandings of creativity as an assessment criterion in undergraduate-level studies within higher education. Irish Educational Studies, 27(1), 41-54. 

  64. Weisberg, R. W. (1993). Creativity: Beyond the myth of genius. WH Freeman New York. 

  65. Yarborough, B. H. & Johnson, R. A. (1983). Identifying the gifted: A theory-practice gap. Gifted Child Quarterly, 27(3), 135-138. 

  66. Zimmerman, B. J. (1989). Mod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Springer New York. pp. 1-25. 

  67.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51-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