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감귤박으로 제조한 활성탄에 의한 아세톤, 벤젠 및 메틸메르캅탄의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etone, Benzene, and Metylmercaptan by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8 no.6, 2017년, pp.663 - 669  

감상규 (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강경호 (제주특별자치도 축산과) ,  이민규 (부경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활성화제로 KOH, NaOH 및 $ZnCl_2$를 사용하여 폐감귤박으로부터 활성탄을 제조하였다. 최적조건(활성화제의 침적비율 300%, 활성화 온도 : KOH의 경우 $900^{\circ}C$, NaOH의 경우 $700^{\circ}C$, $ZnCl_2$의 경우 $600^{\circ}C$, 활성화 시간 1.5 h)에서 제조한 활성탄을 각각 ACK, ACN 및 ACZ로 명명하였다. 이들 활성탄을 사용하여 회분식 반응기에서 아세톤, 벤젠 및 메틸메르캅탄(MM) 등의 3가지 대상가스에 대한 흡착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들 활성탄에 의한 3가지 대상 가스의 흡착은 Langmuir 모델식보다는 Freundlich 모델식에 더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흡착 속도실험결과는 유사 1차 속도식보다는 유사 2차 속도식에 잘 부합하였으며, 입자 내 확산 모델 결과는 흡착 과정에서 외부물질전달과 입자확산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tivated carbons were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s using KOH, NaOH, and $ZnCl_2$ as activating chemicals. They were prepared at optimal conditions including the chemical ratio of 300%, activation time of 1.5h, and activation temperature of $900^{\circ}C$ for KOH, $70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8 µm film thickness)과 불꽃이온화검출기(FID)가 장착된 가스크로마토그래피(Donam, DS-6200)로 분석하였으며,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운전 시 oven 온도는 50 ℃, injector 온도는 250 ℃, 그리고 detector 온도는 200 ℃로 하였다. 그리고 MM의 농도는 FPD(flame photometric detector)가 장착된 가스크로마토그래피(ShimadzuGC-A9)로 분석하였으며,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운전 시 oven 온도는 100 ℃, 검출기 온도는 220 ℃, injector 온도는 220 ℃이고, 공기, N2 및 H2의 유량은 각각 500, 20 및 40 mL/min로 하여 분석하였다.
  • 흡착공정의 설계를 위해서는 흡착평형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흡착속도도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등온흡착실험에서 가장 높은 흡착량을 보인 활성탄 ACK를 사용하여 회분식 흡착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유사 1차 속도식과 유사 2차 속도식을 적용하여 검토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 다량 발생하고 있는 농업 폐기물인 폐감귤박을 활성화제 KOH, NaOH 및 ZnCl2로 활성화시켜 제조한 활성탄을 흡착제로 사용하여 기상 오염기체 중에서 방향족인 벤젠과 케톤류인 아세톤 그리고 황화합물인 MM을 대상가스로 하여 회분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등온흡착 실험결과를 Langmuir식과 Freundlich식에 적용하여 검토하였으며, 흡착속도 실험결과를 유사 1차 속도식, 유사 2차 속도식, 그리고 내부입자확산모델에 적용하여 속도 파라미터들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다량 폐기되고 있는 폐감귤박을 활성화제 KOH, NaOH 및 ZnCl2를 사용하여 제조한 활성탄 ACK, ACN 및 ACZ를 흡착제로 사용하고 아세톤, 벤젠 및 MM을 대상가스로 하여 회분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 제조된 폐감귤박 활성탄의 비표면적과 세공특성은 BET 비표면측정기(Micromeritics, ASAP-201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료를 온도 350 ℃와 질소 분위기에서 완전히 탈기시킨 다음에 BET 비표면측정기를 이용하여 77 K에서 질소 흡착에 의해 비표면적, 세공부피 및 세공분포를 측정하였다.
  • 아세톤과 벤젠 가스의 농도는 DB-624 capillary cloumn (30 m ×0.32 mm ID × 1.8 µm film thickness)과 불꽃이온화검출기(FID)가 장착된 가스크로마토그래피(Donam, DS-6200)로 분석하였으며,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운전 시 oven 온도는 50 ℃, injector 온도는 250 ℃, 그리고 detector 온도는 200 ℃로 하였다.
  • 여러 개의 반응기에 일정량의 폐감귤박 활성탄을 채운 다음에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반응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었다. 아세톤과 벤젠은 원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되도록 일정량의 액체를 실린지를 이용하여 반응기에 주입하여 기화시켰으며, MM은 gas bombe에 있는 기체를 직접 주입하였다. 이 회분반응기를 전동식 roll 장치에 올려놓고 회전시키면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일정시간 간격마다 반응기를 하나씩 들어내어 gas-tight syringe로 가스를 채취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농도를 측정하였다.
  • 여러 개의 반응기에 일정량의 폐감귤박 활성탄을 채운 다음에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반응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었다. 아세톤과 벤젠은 원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되도록 일정량의 액체를 실린지를 이용하여 반응기에 주입하여 기화시켰으며, MM은 gas bombe에 있는 기체를 직접 주입하였다.
  • 아세톤과 벤젠은 원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되도록 일정량의 액체를 실린지를 이용하여 반응기에 주입하여 기화시켰으며, MM은 gas bombe에 있는 기체를 직접 주입하였다. 이 회분반응기를 전동식 roll 장치에 올려놓고 회전시키면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일정시간 간격마다 반응기를 하나씩 들어내어 gas-tight syringe로 가스를 채취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농도를 측정하였다. 평형흡착실험은 여러 개의 반응기에 폐감귤박 활성탄의 양을 달리하여 채우고 앞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6 h 뒤에 반응기 내의 기체 농도를 측정하였다.
  • 이 회분반응기를 전동식 roll 장치에 올려놓고 회전시키면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일정시간 간격마다 반응기를 하나씩 들어내어 gas-tight syringe로 가스를 채취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농도를 측정하였다. 평형흡착실험은 여러 개의 반응기에 폐감귤박 활성탄의 양을 달리하여 채우고 앞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6 h 뒤에 반응기 내의 기체 농도를 측정하였다.
  • 활성탄의 표면 공극의 분포와 형태는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S-2460N, Hitachi)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 흡착제로는 선행연구에서 농업 폐기물인 폐감귤박을 KOH[29], NaOH[30] 및 ZnCl2[31]을 활성화제로 사용하여 제조한 3종류의 활성탄을 사용하였다.
  • 5 h의 조건에서 활성화시켰다. 제조된 활성탄은 사용한 활성화제 KOH, NaOH 및 ZnCl2에 따라 각각 ACK, ACN 및 ACZ로 명명하였다.
  • 제주도 지방개발공사 제1, 2감귤복합 처리가공 공장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폐감귤박을 진공 동결건조기(PVTFD200A, Ilsin Lab)로 -20℃에서 72 h 처리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에 일정 크기로 분쇄시킨 시료를 300 ℃의 muffle furnace에서 1.5 h 동안 탄화시켰다. 이 탄화시료를 각 활성화제에 대해 최적의 조건인 활성화제의 침적비300%, 활성화 온도는 KOH의 경우 900 ℃, NaOH의 경우 700 ℃, ZnCl2의 경우 600 ℃, 활성화 시간 1.
  • 흡착대상가스로는 VOCs 물질 중 극성물질인 아세톤과 비극성물질인 벤젠, 그리고 황화합물 중에서는 악취물질로 지정된 메틸메르캅탄(MM)을 선정하였으며, 대상가스들의 물성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이론/모형

  • 그러나 유사 1차 속도식과 유사 2차 속도식은 확산 메커니즘을 설명해주지 못하므로 확산 메커니즘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부 입자 확산 모델식을 사용하였다[37].
  • 로 활성화시켜 제조한 활성탄을 흡착제로 사용하여 기상 오염기체 중에서 방향족인 벤젠과 케톤류인 아세톤 그리고 황화합물인 MM을 대상가스로 하여 회분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등온흡착 실험결과를 Langmuir식과 Freundlich식에 적용하여 검토하였으며, 흡착속도 실험결과를 유사 1차 속도식, 유사 2차 속도식, 그리고 내부입자확산모델에 적용하여 속도 파라미터들을 평가하였다.
  • 제조된 폐감귤박 활성탄의 비표면적과 세공특성은 BET 비표면측정기(Micromeritics, ASAP-201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료를 온도 350 ℃와 질소 분위기에서 완전히 탈기시킨 다음에 BET 비표면측정기를 이용하여 77 K에서 질소 흡착에 의해 비표면적, 세공부피 및 세공분포를 측정하였다.
  • 활성탄 ACK, ACN 및 ACZ을 사용하여 acetone, benzene 및 MM에 대한 등온흡착실험을 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Langmuir 흡착 등온식과 Freundlich 흡착 등온식에 적용하여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활성탄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기상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활성탄 흡착법이며, 활성탄은 다공성의 탄소질 집합체로서 넓은 비표면적과 높은 흡착용량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들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고 흡착속도가 빠르고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뛰어난 흡착제이다[5].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활성탄은 주로 니탄, 초탄, 역청탄, 무연탄 등과 같은 석탄계과 야자계, 그리고 목재, 톱밥, 목탄 등의 목탄계 등의 원료로 제조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상업용 활성탄은 가격이 비싸 대규모 처리에 있어서 높은 운영비용이 요구된다[6].
화학공장, 하수처리장 등의 산업체에서 배출되는 기체가 주는 문제는 무엇인가? 화학공장, 하수처리장 등의 산업체에서 배출되는 기체에서는 방향족, 케톤류, 황화합물 등의 기상오염물질들이 혼합되어 배출되고 있다. 특히 방향족인 벤젠이나 톨루엔과 케톤류인 아세톤 그리고 황화합물인 메틸메르캅탄(methyl mercaptan, MM)은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물질이다[1]. 이들 물질이 인체로 흡입되는 경우에는 현기증, 구토, 두통, 눈 등에 자극을 주며, 중추신경기능의 저하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활성탄이란 무엇인가? 배출된 기체들은 산업현장의 작업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화재, 폭발 등의 사고와 인체장애의 심각한 원인이 되고 있어 작업장에서 배출되는 기상오염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4]. 이러한 기상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활성탄 흡착법이며, 활성탄은 다공성의 탄소질 집합체로서 넓은 비표면적과 높은 흡착용량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들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고 흡착속도가 빠르고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뛰어난 흡착제이다[5].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활성탄은 주로 니탄, 초탄, 역청탄, 무연탄 등과 같은 석탄계과 야자계, 그리고 목재, 톱밥, 목탄 등의 목탄계 등의 원료로 제조된 것이 대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J. W. Jeon, D. H. Lee, J. S. Seo, S. K. Kam, and M. G. Lee, Photocatalytic oxidation characteristics of benzene, toluene, and ethylbenzene by UV reactor inserted $TiO_2$ -coated porous screw, Proc. Korean Environ. Sci. Soc. Conf., 22, 750-753 (2013). 

  2. R. M. Alberici and W. F. Jardim, Photocatalytic destruction of VOCs in the gas-phase using titanium dioxide, Appl. Catal. B, 14, 55-68 (1997). 

  3. C. H. Weng, Y.-T. Lin, and T.-W. Tzeng, Removal of methylene blue from aqueous solution by adsorption onto pineapple leaf powder, J. Hazard. Mater., 170, 417-424 (2009). 

  4. F. I. Khan and A. K. Ghoshal,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from polluted air, J. Loss Prev. Process Ind., 13, 527-545 (2000). 

  5. Q. S. Liu, T. Zheng, P. Wang, J. P. Jiang, and N. Li, Adsorption isotherm, kinetic and mechanism studies of some substituted phenols on activated carbon fibers, Chem. Eng. J., 157, 348-356 (2010). 

  6. M. Kazemipour, M. Ansari, S. Tajrobehkar, M. Majdzadeh, and H. R. Kermani, Removal of lead, cadmium, zinc, and copper from industrial wastewater by carbon developed from walnut, hazelnut, almond, pistachio shell, and apricot stone, J. Hazard. Mater., 150, 322-327 (2008). 

  7. A. Ahmad and B. Hameed, Reduction of COD and color of dyeing effluent from a cotton textile mill by adsorption onto bamboo- based activated carbon, J. Hazard. Mater., 172, 1538-1543 (2009). 

  8. N. El Hannafi, M. A. Boumakhla, T. Berrama, and Z. Bendjama, Elimination of phenol by adsorption on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the peach cores: modelling and optimisation, Desalination, 223, 264-268 (2008). 

  9. A. Khaled, A. El Nemr, A. El-Sikaily, and O. Abdelwahab, Removal of Direct N Blue-106 from artificial textile dye effluent using activated carbon from orange peel: Adsorption isotherm and kinetic studies, J. Hazard. Mater., 165, 100-110 (2009). 

  10. M. Valix, W. H. Cheung, and G. McKay, Preparation of activated carbon using low temperature carbonisation and physical activation of high ash raw bagasse for acid dye adsorption, Chemosphere, 56, 493-501 (2004). 

  11. N. Kannan and M. M. Sundaram, Kinetics and mechanism of removal of methylene blue by adsorption on various carbons - A comparative study, Dyes Pigm., 51, 25-40 (2001). 

  12. C. A. Basar, Applicability of the various adsorption models of three dyes adsorption onto activated carbon prepared waste apricot, J. Hazard. Mater., B135, 232-241 (2006). 

  13. R. L. Tseng, S. K. Tseng, and F. C. Wu, Preparation of high surface area carbons from corncob using KOH combined with $CO_2$ gasification for the adsorption of dyes and phenols from water, Colloids Surf. A, 279, 69-78 (2006). 

  14. A. Aygun, S. Yenisoy-Karakas, and I. Duman, Production of granular activated carbon from fruit stones and nutshells and evaluation of their physical, chemical and adsorption properties, Microporous Mesoporous Mater., 66, 189-195 (2003). 

  15. S. S. Kim, J. H. Kim, and S. W. Park, Adsorption analysis of benzene vapor in a fixed-bed of granular activated carbon, Korean Chem. Eng. Res., 47(4), 495-500 (2009). 

  16. J. K. Lim, S. W. Lee, S. K. Kam, D. W. Lee, and M. G. Le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oluene vapor in fixed-bed activated carbon column, J. Environ. Sci. Int., 14, 61-69 (2005). 

  17. H. U. Lee, J. S. Kim, C. Han, H. K. Song, and B. K. Na,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MEK with activated carbon and polymer adsorbents, Korean Chem. Eng. Res., 37, 120-125 (1999). 

  18. M. Popescu, J. P. Joly, J. Carre, and C. Danatoiu, Dynamical adsorption and temperature-programmed desorption of VOCs (toluene, butyl acetate and butanol) on activated carbons, Carbon, 41, 739-748 (2003). 

  19. Y. C. Chiang, P. C. Chiang, and C. P. Huang, Effect of pore structure and temperature on VOC adsorption on activated carbon, Carbon, 39, 523-534 (2001). 

  20. Z. Huang, F. Kang, K. Liang, and J. Hao, Breakthrough of methylketone and benzene vapors in activated carbon fiber beds, J. Hazard. Mater., B98, 107-115 (2003). 

  21. J.-H. Tsai, H.-M. Chiang, G.-Y. Huang, and H.-L. Chiang,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etone, chloroform and acetonitrile on sludge derived adsorbent, commercial granular activated carbon and activated carbon fibers, J. Hazard. Mater., 154, 1183-1191 (2008). 

  22. S. Bashkova, A. Bagreev, and T. Bandosz, Adsorption of methyl mercaptan on activated carbons, Environ. Sci. Technol., 36, 2777-2782 (2002). 

  23. S. W. Lee, Y. S. Na, C. D. An, and M. G. Lee, Comparison of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etone vapor and toluene vapor on activated carbons according to pore structure, J. Environ. Sci. Int., 21, 1195-1201 (2012). 

  24. A. J. Fletcher, Y. Yuzak, and K. M. Thomas, Adsorption and desorption kinetics for hydrophilic and hydrophobic vapors on activated carbon, Carbon, 44, 989-1004 (2006). 

  25. M. G. Lee, S. W. Lee, and S. H. Lee, Comparison of vapor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etone and toluene based on polarity in activated carbon fixed-bed reactor, Korean J. Chem. Eng., 23, 773-778 (2006). 

  26. S. W. Lee, M. G. Lee, and S. B. Park, Comparison of surface characteristics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arbons changed by acid and base modification, J. Environ. Sci. Int., 17, 565-571 (2008). 

  27. M. A. Ahmad, W. M. A. Wan Daud, and M. K. Aroua, Adsorption kinetics of various gases in carbon molecular sieves (CMS) produced from palm shell, Colloids Surf. A, 312, 131-135 (2008). 

  28. M. K. Hafshejani, A. Langari, and M. Khazaei, Adsorption of acetone from polluted air by activated carbon derived from low cost materials, Life Sci. J., 10, 3658-3661 (2013). 

  29. S. K. Kam, K. H. Kang, and M. G. Lee, Characterisitics of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by KOH activation, Appl. Chem. Eng., 28, 649-654 (2017). 

  30. K. H. Kang, S. K. Kam, and M. G. Le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s by NaOH activation, J. Environ. Sci. Int., 16, 1279-1285 (2007). 

  31. K. H. Kang, S. K. Kam, and M. G. Lee, Preparation of activated carbon from waste citrus peels by $ZnCl_2$ , J. Environ. Sci. Int., 16, 1091-1098 (2007). 

  32. I. Langmuir, The adsorption od gases on plane surface of glass, mica and platinum, J. Am. Chem. Soc., 40, 1361-140 (1918). 

  33. H. M. F. Freundlich, Over the adsorption in solution, J. Phys. Chem., 57, 385-470 (1906). 

  34. J. T. Park, J. S. Kim, K. H. Chung, H. Moon, and S. Gon, Gaseous adsorption properties of n-hexane, methylethylketone and toluene on granular activated carbon, Korean Chem. Eng. Res., 31, 476-482 (1994). 

  35. S. Lagergren, About the theory of so-called adsorption of soluble substances, Kunglia Svenska Vetenskapsakademiens Handlingar, 24, 1-39 (1898). 

  36. Y. S. Ho and G. McKay, The kinetics of sorption of basic dyes from aqueous solution by sphagnum moss peat, Can. J. Chem. Eng., 76, 822-827 (1998). 

  37. W. J. Weber and J. C. Morris, Kinetics of adsorption on carbon from solution, J. Sanit. Eng. Div., 89, 31-60 (19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