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객체분할과 과거 토지피복 정보를 이용한 토지피복도 갱신
Updating Land Cover Maps using Object Segmentation and Past Land Cover Information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3 no.6 pt.2, 2017년, pp.1089 - 1100  

곽근호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박소연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유희영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연구소) ,  박노욱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에서는 토지피복도 갱신을 목적으로 영상의 객체분할과 훈련 자료 수집에 과거 토지피복도의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영상의 객체분할 시 명확한 토지피복 경계 분할을 위해 과거 토지피복도의 객체 경계를 이용하였다. 또한 적은 수의 초기 훈련 자료를 이용한 초기 분류 결과로부터 유용한 훈련 자료를 추가로 수집하기 위해 과거 토지피복도의 분류 항목 정보를 이용하였다. 충청남도 태안군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환경부 중분류 토지피복도와 WorldView-2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갱신 사례 연구를 통해 제안된 토지피복도 갱신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사례 연구 결과, 초기 분류 결과에서 나타난 시가지와 나지, 논/밭과 초지의 오분류 양상이 제안 방법론을 통해 완화되었다. 또한 과거 토지피복도의 경계를 이용한 객체분할을 통해 객체의 경계를 명확하게 하고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이 토지피복도 갱신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ed a method using past land cover maps in image segmentation and training set collection for updating land cover maps. In this method, the object boundaries in past land cover maps were used for segmenting image clearly. Also, the classes of past land cover maps were used to extr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과거 토지피복도가 존재한다는 가정하에 토지피복도 갱신을 목적으로 객체분할과 훈련 자료 수집에 과거 토지피복도의 정보를 이용하는 분류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충청남도 태안군 일대를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수행한 결과, 제안 방법론이 과거 토지피복도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유용한 훈련 자료를 추가함에 따라 초기 훈련 자료를 이용하는 감독 분류 보다 분류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 연구에서는 사용된 영상 자료의 높은 공간해상력으로 인해 객체분할 기법이 적용되었는데, 명확한 객체경계를 분할하기 위해 과거 토지피복도의 경계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객체분할은 영상을 색상, 축척, 모양 등과 같은 특성을 기반으로 여러 객체로 분할하는 방법이며, 화소 단위가 아닌 객체 단위로 자료를 분석한다(Benz et al.
  • 이 연구에서는 준감독 학습의 훈련 자료 수집과 화소기반 분류 기법의 제약사항을 고려한 토지피복도 갱신을 목적으로 과거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유용한 정보의 훈련 자료를 추가로 수집한 후 객체기반의 감독 분류를 적용하여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특히 토지피복 항목의 명확한 경계 추출을 위해 고해상도 영상의 객체분할에 과거 토지피복도의 경계를 추가로 이용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토지피복도 갱신을 위한 감독 분류를 적용할 때 훈련 자료 수집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적은 수의 초기 훈련 자료를 이용하는 반복 분류 방법을 제안하였다(Fig. 1). 제안한 방법에서는 반복 분류 시 유용한 정보를 가지는 훈련 자료를 추가로 수집하기 위해 과거 토지피복도의 정보를 이용한다.

가설 설정

  • 그러나 고해상도 영상에 객체분할을 적용하게 되더라도 영상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분류 항목 간 명확한 경계를 얻기는 쉽지않다. 이 연구에서는 미변화 지역이라면 과거 토지피복도의 경계를 유지하고, 변화 지역이라면 과거 토지피복도의 경계에서 추가적으로 객체분할이 일어날 것이라는 가정을 토대로 객체분할에 과거 토지피복도의 경계를 이용한다. 이렇게 객체 단위로 분석할 경우에는 객체 내 다양한 통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WorldView-2 영상의 총 8개 다중분광 밴드를 통해 계산된 평균과 표준편차 정보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지피복도란 무엇인가? 토지피복도는 지구표면 지형지물의 형태를 과학적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동질의 특성을 지닌 구역을 지도 형태로 표현한 환경 주제도를 말한다(Ministry of environment, EGIS). 토지피복도는 환경정책 수립, 국토모니터링, 환경영향평가, 도시기본계획 등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되고 있으며(Yoo et al.
토지피복도를 사용하는 분야는? 토지피복도는 지구표면 지형지물의 형태를 과학적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동질의 특성을 지닌 구역을 지도 형태로 표현한 환경 주제도를 말한다(Ministry of environment, EGIS). 토지피복도는 환경정책 수립, 국토모니터링, 환경영향평가, 도시기본계획 등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되고 있으며(Yoo et al.,2015; Oh et al.
토지피복도의 제작 및 갱신에서 사용하는 원격 탐사의 종류는 무엇인가? 원격 탐사는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손쉽게 자료 획득이 가능하고 주기적으로 촬영이 가능하므로 현장 조사에 비해 비용적/시간적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토지피복도의 제작 및 갱신이 가능하다(Defies and Belward, 2000). 토지피복도 갱신을 위해 원격 탐사 자료를 이용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는데, 방법론적 측면에서 대표적으로 변화탐지 기법(Chen et al., 2010; Sunwoo et al., 2016)과 영상분류 기법(Johnson, 2013; Kim et al.,2014; Lee et al., 2015)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변화탐지는 지표의 변화를 두 영상에서의 복사량 변화로 가정하고, 서로 다른 시기에 관측된 두 영상 간의 복사량의 차이를 분석하는 기법으로 정의된다(Sunwo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enz, U.C., P. Hofmann, G. Willhauck, I. Lingenfelder, and M. Heynen, 2004. Multi-resolution, objectoriented fuzzy analysis of remote sensing data for GIS-ready information,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58(3): 239-258. 

  2. Breiman, L., 2001. Random forests, Machine Learning, 45(1): 5-32. 

  3. Byun, Y.G. and Kim, Y.I.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mage Segmentation Technique for Object-based Analysis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8(6): 627-6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amps-Valls, G., T.V.B. Marsheva, and D. Zhou, 2007. Semi-supervised graph-based hyperspectral image class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5(10): 3044-3054. 

  5. Chen, Z. and J. Wang, 2010.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 detection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techniques in the mountainous Three Gorges Area,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1(6): 1519-1542. 

  6. Definiens, A. G., 2009. Definiens eCognition developer 8 user guide, Definens AG, Munchen, Germany. 

  7. Defries, R.S. and A.S. Belward, 2000. Global and regional land cover characterization from satellite data: A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1(6-7): 1083-1092. 

  8. Hong, S.-M., I.-K. Jung, and S.-J. Kim, 2004. Standardizing agriculture-related land cover classification scheme using IKONOS satellite imagery,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0(4): 253-2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ohnson, B.A. 2013. High-resolution urban land-cover classification using a competitive multi-scale object-based approach, Remote Sensing Letters, 4(2): 131-140. 

  10. Kim, Y.-J., S.-Y. Cha, and Y.-H. Cho, 2014. A study of landcover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airborne digital ortho imagery in stream corridor,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2): 207-2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M.-J., K.-H. Kim, and J.-H. Park, 2014. National environment atla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base on spatial information environmental,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13(4): 51-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S., S.K. Choi, S. Noh, N. Lim, and J. Choi, 2015. Automatic extraction of initial training data using national land cover map and unsupervised classification and updating land cover ma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3(4): 267-2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iu, B., X. Yu, P. Zhang, X. Tan, A. Yu, and Z. Xue, 2017. A semi-supervi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hyperspectral image classification, Remote Sensing Letters, 8(9): 839-848.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EGIS), http://egis.me.go.kr, Accessed on Sep. 1, 2017. 

  15. Na, H.-S. and J.-S. Lee, 2014. Analysis of land cover characteristics with object-based classification method - focusing on the DMZ in Inje-gun, Gangwon-do,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2): 121-1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Oh, K.-Y., M.-J. Lee, and W.-Y. No,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ub-divided land cover map classification system - based on the land cover map by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2(2): 105-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Sunwoo, W., D. Kim, S. Kang, and M. Choi, 2016. Application of KOMSAT-2 imageries for change detection of land use and land cover in the west coasts of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2(2): 141-1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Yoo, H.Y., N.-W. Park, S. Hong, K. Lee, and Y. Kim, 2015. Classification of multi-temporal SAR data by using data transform based features and multiple classifier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1(3): 205-2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