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계복원측량에 관한 법적 고찰
A Legal Study on Boundary Relocation Surveying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7 no.2, 2017년, pp.61 - 78  

신국미 (청주대학교 지적학과)

초록

서로 인접하는 토지소유자간에 경계분쟁이 발생한 경우 원칙적으로 지적도를 기준으로 그 침범여부를 가려야 하는데 이 때 지적공부상의 경계를 실지에 복원하기 위하여 행하는 측량이 바로 경계복원측량이다. 토지반환, 건물철거 등의 민사사건에서 실무상 접하는 거의 모든 측량이 여기에 해당하며 그 측량성과는 판결의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경계복원측량은 측량을 수행하는 측량기술자 개인의 지식과 경험에 의존함으로써 상이한 측량성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이 글은 인접하는 토지소유자간의 경계분쟁이 있는 경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행해지는 경계복원측량이 소송실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 특히 경계복원측량에 관한 법 규정과 대법원판례를 검토함으로써 경계복원측량의 법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측량기술자가 경계복원측량을 실시하는 경우에 이러한 판례 법리에 입각하여 측량하도록 함으로써 일관되고 신뢰성 있는 측량성과를 달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a boundary dispute occurs between landowners of adjoining lands, a court deals with a boundary violation on the basis of cadastral register. Boundary relocation surveying is one which reconstructs a boundary in cadastral register on actual land. Boundary relocation surveying includes most of s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계복원측량에 관한 선행연구 중 법학분야에 관해 연구한 이유는? 다만 현재까지 이루어진 경계복원측량에 관한 선행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주로 행해져왔는데 지적학계에서 경계복원측량 성과의 정확도와 관련된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연구(장길현 외 2007; 서철수 외 2006: 곽인선 고준환 2009; 김욱남ㆍ박희주 1998 등)와 다른 한편으로 법학분야에서 경계분쟁사건을 실제 재판하는 법관에 의한 연구이다(이학수 1995; 유승정 1997 등). 후자의 연구는 지적학에 생소한 법관들이 실제 재판을 수행하면서 판결의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계복원측량의 법·기술적인 측면을 이해하기 위해 이루어진 연구들이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경계복원측량에 대한 선행연구는 어떠한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다만 현재까지 이루어진 경계복원측량에 관한 선행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주로 행해져왔는데 지적학계에서 경계복원측량 성과의 정확도와 관련된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연구(장길현 외 2007; 서철수 외 2006: 곽인선 고준환 2009; 김욱남ㆍ박희주 1998 등)와 다른 한편으로 법학분야에서 경계분쟁사건을 실제 재판하는 법관에 의한 연구이다(이학수 1995; 유승정 1997 등). 후자의 연구는 지적학에 생소한 법관들이 실제 재판을 수행하면서 판결의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계복원측량의 법·기술적인 측면을 이해하기 위해 이루어진 연구들이다.
경계복원측량은 무엇인가? 인접토지 소유자들간에 경계침범을 이유로 건물철거청구 내지 토지반환청구 등의 소송이 제기될 경우에 법원은 어떠한 경계가 진실된 경계인지, 그 시시비비를 가려주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 지적공부를 근거로 지적측량을 함으로써 진실된 경계를 밝히는 것이 원칙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지적도나 임야도상의 경계를 현실의 지표상에 복원하여야 하는데 이 때 실시하는 지적측량이 바로 경계복원측량이다(유승정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곽인선.고준환. 2009. 디지털지적 기반 경계복원측량 방안 연구. 한국지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18 Gwak I S.Ko J H. 2 009. A Study on the Boundary relocation surveying Method of Digital Cadastre. The Korea Society of Cadastre Conference Papers. 1-18. 

  2. 김욱남.박희주. 1998. 수치지적에서 토지경계의 등록과 복원에 관한 연구. 한국측지학회지. 16(1):9-15. Kim UN.Park HJ. 1998. A Study on the Registr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Land Boundary Location in Numerical Cadastre. Korean Journal of Geodetic. 16(1):9-15 . 

  3. 박태신. 2000. 토지경계확정소송에 관한 고찰. 연세법학연구. 7(2): 269-277. Park TS. 2000. A Study on the Land Boundary Demarcation Suit. Yonsei Law Review. 7(2):269-277. 

  4. 서철수 외. 2006. 경계복원측량의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22(1):115-125. Seo et al. 2006. A Study on the model Boundary relocation surveying. Korean Journal Cadastre. 22(1):115-125. 

  5. 신국미. 2017. 경계분쟁과 토지경계확정소송.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9(2):139-152. Shin GM. 2017. A Study on the Land Boundary Dispute and Land Boundary Demarcation Suit. Journal of the Korean Journal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9(2):139-152. 

  6. 신국미. 2016. 지적도상의 경계와 현실경계가 상위한 토지의 소유권범위. 일감법학. 33:209-234. Shin GM. 2016. A Study on the Range of Landownership in Case of the Existence of Difference between Map-based Land Boundary and Actual-based Land Boundary. Ilkam Law Review. 33:209-234. 

  7. 신국미. 2015.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제14조의 경계설정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31(3): 107-122. Shin GM. 2015. A Study on the Rule of Land Boundary Demarcation in Article 14 of Special Act on Cadastrl Resurvey. Korean Journal of Cadastre. 31(3):107-122. 

  8. 유승정. 1997. 경계복원측량. 민사재판의 제문제. 9:117-131. Rhyu SJ. A Study on the Boundary relocation surveying. Various Problems of Civil Trial. 9:117-131. 

  9. 이범관. 2000. 취득시효로 인한 도상경계의 설정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16(1):9-21. Lee BG. 2000. A Study on the Estabilshment of Cadastral Map Boundary by the Positive Prescription. Korean Journal of Cadastre. 16(1): 9-21. 

  10. 이범관.이수창. 2003. 경계감정측량의 평가와 개선방향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5:65-82. Lee BG.Lee SC. 2003.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Cadastral Appraisal Surveying. Journal of the Korean Journal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5:65-82. 

  11. 이학수. 1995. 경계복원측량을 둘러싼 제문제에 대한 고찰. 판례연구. 5:32-55. Lee HS. 1995. A Study on Various Problems related with Boundary Relocation Surveying, Study on Precedents. 5:32-55. 

  12. 이철규. 1998. 토지상의 경계에 관한 분쟁의 법적 해결방안. 재판과 판례. 7:150-175. Lee CK. 1998. Legal Settlements of Disputes on Land Boundary. Trials and Precedents. 7:150-175. 

  13. 장길현 외. 2007. 도해지역 경계복원측량의 성과산정 에 관한 연구. 2007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 3534-3537. Jang et al. 2007.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Result for Graphical Cadastral Boundary Survey. 2007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Papers. 3534-3537. 

  14. 한광세. 1975. 토지경계확정소송에 관한 고찰. 사법논집. 7:413-434. Han KS. 1975. A Study on the Land Boundary Demarcation Suit. Collected Papers on Jurisdiction. 7:413-434. 

  15. Muunchener Kommentar BGB. 2004. Band6 Sachenrecht. $\S\S$ 854-1030. 4.Aufl. C.H.Beck.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