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탄저병이 발생한 자두에서 11개 탄저병균을 순수 분리하여 병원성을 검정한 후 PDA에 접종하여 $25^{\circ}C$에서 7-10일 동안 배양하면서 각 균주의 균사 생장속도, colony의 특징과 색, 포자 형태 및 크기를 관찰하였다. 각 균주의 genomic DNA를 추출하여 rDNA-ITS 영역을 증폭한 다음, PCR을 하여 염기서열을 해독하였다. 각 균주의 배양적 특성, 포자의 형태와 크기 및 염기서열을 NCBI GenBank의 염기서열과 상동성을 비교하여 동정한 결과 6개 균주는 Colletotrichum acutatum으로, 5개 균주는 C. gloeosporioides로 동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lthough the filamentous fungal pathogen Colletotrichum species causing anthracnose disease on various fruits including peach, apple, persimmon and grape, there is no report on Japanese plum in Korea. METHODS AND RESULTS: In 2016, diseased fruits showing typical anthracnose symptoms of 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 Cycle Sequencing Kits (Applied Biosystems,Thermo Fisher, USA)와 Primer는 PCR 증폭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DNA Engine Tetrad 2 Peltier Thermal Cycler (BIO-RAD, USA)를 사용하여 PCR하였다. PCR 반응이 끝난 후 dNTP와 반응물을 제거하여 정제한 후, ABI PRISM 3730XL Analyzer (96 capillary type,Hitachi, Japan)에 loading 하여 염기서열을 해독한 다음, 각 균주의 염기서열을 NCBI GenBank의 염기서열과 상동성을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 PDA배지에서 7일 동안 자란 분리된 탄저병균 균총의 가장자리에서 떼어낸 5 mm의 균사 조각을 새로운 PDA에 접종한 다음 25℃에서 7일간 배양한 후 배양적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포자의 형태적인 특징은 광학현미경(Nikon Eclipse 50i, Japan)상에서 포자의 형태 및 크기를 관찰하였다.
  • PDA에서 10일 동안 배양한 후 포자를 멸균수로 회수하여 4겹의 거즈로 거른 다음 포자현탁액(105 spore/mL)을 만들어 건전 자두(품종 : 추희)에 micro pipette (Gilson, P 100, France)으로 20 μL 씩 약 2 mm 깊이로 상처를 내면서 포자현탁액을 주입하여 접종하였다.
  • 탄저병이 발생한 자두에서 11개 탄저병균을 순수 분리하여 병원성을 검정한 후 PDA에 접종하여 25℃에서 7-10일 동안 배양하면서 각 균주의 균사 생장속도, colony의 특징과 색, 포자 형태 및 크기를 관찰하였다. 각 균주의 genomic DNA를 추출하여 rDNA-ITS 영역을 증폭한 다음, PCR을 하여 염기서열을 해독하였다.
  • 병원균을 순수 분리하기 위해 병반부와 건전부위의 경계 조직을 5 mm×5 mm 크기로 절단한 다음 70% Ethanol에 1분 간 침지한 다음, 1% NaOCl에 침지하여 표면 살균을 하고 멸균수로 3회 세척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6년 5월부터 9월 사이 경북 군위 지역의 과원과 대구시 과일 시장에서 수집한 자두 과실에 발생한 탄저병 병반으로부터 병원균을 분리하였으며, 배양적 특성과 포자의 형태 및 rDNA-ITS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병원균을 동정하였다.
  • 순수 분리한 균주를 형태적동정과 유전자분석에 의한 동정을 한 균주들을 이용하여 병원성 검정을 하였다. PDA에서 10일 동안 배양한 후 포자를 멸균수로 회수하여 4겹의 거즈로 거른 다음 포자현탁액(105 spore/mL)을 만들어 건전 자두(품종 : 추희)에 micro pipette (Gilson, P 100, France)으로 20 μL 씩 약 2 mm 깊이로 상처를 내면서 포자현탁액을 주입하여 접종하였다.
  • 염기서열 분석을 위해 증폭된 유전자를 BigDye (R) Terminator v3.1 Cycle Sequencing Kits (Applied Biosystems,Thermo Fisher, USA)와 Primer는 PCR 증폭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DNA Engine Tetrad 2 Peltier Thermal Cycler (BIO-RAD, USA)를 사용하여 PCR하였다. PCR 반응이 끝난 후 dNTP와 반응물을 제거하여 정제한 후, ABI PRISM 3730XL Analyzer (96 capillary type,Hitachi, Japan)에 loading 하여 염기서열을 해독한 다음, 각 균주의 염기서열을 NCBI GenBank의 염기서열과 상동성을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 접종 후 플라스틱 상자에 넣어 25℃ 항온기에서 6일 동안 배양 후 병징 발현과 병반 직경을 측정하였다. 자두 1개당 2곳에 접종하였으며, 3반복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 자두 탄저병균을 분리하기 위해 이병과를 자두과원과 유통과정에 탄저병이 발생하는 과실을 채집하였다. 병원균을 순수 분리하기 위해 병반부와 건전부위의 경계 조직을 5 mm×5 mm 크기로 절단한 다음 70% Ethanol에 1분 간 침지한 다음, 1% NaOCl에 침지하여 표면 살균을 하고 멸균수로 3회 세척하였다.
  • 5%)에 치상하여 25℃에서 배양하였다. 자라난 균사를 potato dextrose agar(PDA, Difco Laboratories)에 접종하여 탄저병균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탄저병균을 PDA에서 5-7일 동안 배양한 후 포자를 멸균수로 회수하여 4겹의 거즈로 거른 다음 포자현탁액(102 spores/mL)을 만들어 PDA에 100 μL를 도말하여 25℃에서 배양하였다.
  • 대조는 동일한 방법으로 멸균수를 사용하였다. 접종 후 플라스틱 상자에 넣어 25℃ 항온기에서 6일 동안 배양 후 병징 발현과 병반 직경을 측정하였다. 자두 1개당 2곳에 접종하였으며, 3반복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 탄저병이 발생한 자두에서 11개 탄저병균을 순수 분리하여 병원성을 검정한 후 PDA에 접종하여 25℃에서 7-10일 동안 배양하면서 각 균주의 균사 생장속도, colony의 특징과 색, 포자 형태 및 크기를 관찰하였다. 각 균주의 genomic DNA를 추출하여 rDNA-ITS 영역을 증폭한 다음, PCR을 하여 염기서열을 해독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16년 5월에서 9월 동안 경북 군위군, 영천시, 경산시 등 3지역 6농가와 과실 유통 시장에서 탄저병이 발생한 자두 이 병과를 채집하였다. 자두 과원에서 탄저병 발생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조사 농가 과원에서 10개의 이병과를 채집할 수 있었다.
  • rDNA-ITS 영역을 증폭하기 위해 White 등(1990)이 사용한 primer ITS1 5’ (TCC GTA GGT GAA CCT GCGG) 3’와 ITS4 5’ (TCC TCC GCT TAT TGA TAT GC) 3'를 사용하였다.
  • 분리한 탄저병균을 PDA에서 5-7일 동안 배양한 후 포자를 멸균수로 회수하여 4겹의 거즈로 거른 다음 포자현탁액(102 spores/mL)을 만들어 PDA에 100 μL를 도말하여 25℃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2-3일 후 한 개의 포자에서 자란 단일 균총(colony)를 순수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균주를 PDA에 접종하여 25℃에서 7일간 배양 후 균사체를 수확하여 Lee와 Taylor(1990)의 방법으로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저병 발생으로 나타날 수 있는 손실은? Colletotrichum 속에 의한 탄저병은 전 세계적으로 채소 및 과수 등 다양한 작물에 발생하여 품질과 수량을 저하시켜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일으킨다(Jeger and Bailey, 1992; Perfect et al., 1999).
국내 자두나무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의 변화는? )는 장미과에 속하는 과수로 Japanese plum 또는 Chinese plum이라고 불리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미국, 호주 등에서 재배된 다. 통계연감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자두 재배면적은 2015년 5,920 ha, 생산량은 67,810 ton으로 5,803 ha에서 64,816 ton을 생산하였던 2007년 이후 다소 증가하였다.
자두 과원의 탄저병의 특징은? 자두 과원에서 탄저병 발생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조사 농가 과원에서 10개의 이병과를 채집할 수 있었다. 병징의 특징은 발병 초기 과실 표면에 엷은 갈색의 작은 반점으로 시작해 점차 둥근 겹무늬로 확대되며 중앙부가 움푹 들어가고 병반 상에는 연분홍색의 병원균에서 분생 포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일반 과실류의 탄저병 증상과 유사하였다. 시장에서 유통 중인 자두에서는 이병과가 농가 포장에서 보다 빈도가 높게 관찰되었으며, 병징은 재배포장에서 발생하는 병징과 다르게 윤문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은 상태에서 부패가 진행되는 증상을 보였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bang, M. M., Winter, S., Green, K. R., Hoffmann, P., Mignouna, H. D., & Wolf, G. A. (2002). Molecular identification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ausing yam anthracnose in Nigeria. Plant Pathology, 51(1), 63-71. 

  2. Adaskaveg, J. E., &Hartin, R. J. (1997). Characterization of Colletotrichum acutatum isolates causing anthracnose of almond and peach in California. Phytopathology, 87(9), 979-987. 

  3. Bernstein, B., Zehr, E. I., & Dean, R. A. (1995). Characteristics of Colletotrichum from peach, apple, pecan, and other hosts. Plant Disease, 79(5), 478-482. 

  4. Choi, J. E., Lee, E. J., & Park, Y. S. (2000). Shot hole of peach and Japanese plum caused by Xanthomonas campestris pv. pruni and Erwinia nigrifluens in Korea. Research in Plant Disease, 6(1), 10-14. 

  5. Freeman, S., Pham, M., & Rodriguez, R. J. (1993). Molecular genotyping of Colletotrichum species based on arbitrarily primed PCR, A+T-rich DNA and nuclear DNA analyses. Experimental Mycology, 17(4), 309-322. 

  6. Hu, M. J., Grabke, A., & Schnabel, G. (2015). Investigation of the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species complex causing peach anthracnose in South Carolina. Plant Disease, 99(6), 797-805. 

  7. Jeger, M., & Bailey, J. A. (1992). Colletotrichum: Biology, Pathology and Control, pp. 1-26, First Edition,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8. Jeon, J. Y., Hassan, O., & Chang, T. (2017). Anthracnose of persimmon (Diospyros kaki) caused by Colletotrichum horii in Sangju, Korea. Plant Disease, 101(6), 1035. 

  9. Kim, D. H., Jeon, Y. H., Go, S. J., Lee, J. K., &Hong, S, B. (2006). Reidentification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C. acutatum isolates stored in Korean Agricultural Cultur Collection (KACC). Research in Plant Disease, 12(3), 168-177. 

  10. Kim, H. J., Eum, S. H., & Lee, Y. S. (2002). Analyses of genetic relationships of Colletotrichum spp. isolated from sweet persimon with RAPD and PCR-RELP.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38(1), 19-25. 

  11. Kim, S. H., Choi, S. Y., Lim, Y. S., Yoon, J. T., &Choi, B. S. (2001). Ett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ntrol of ripe rot in grape cultivar campbell early. Research in Plant Disease, 7(3), 140-144. 

  12. Kim, W. G., & Hong, S. K. (2008). Occurrence of anthracnose on peach tree caused by Colletotrichum species. The Plant Pathology Journal, 24(1), 80-83. 

  13. Kim, Y. S., Balaraju, K., & Jeon, Y. (2016). Biological control of apple anthracnose by Panibacillus polmyxa APEC128. The Plant Pathology Journal, 32(3), 251-259. 

  14. Lee, D. H., Kim, D. H., Jeon, Y. U., Uhm, J. Y., & Hong, S. B. (2007). Molecular and cultural characterization of Colletotrichum spp. causing bitter rot of apples in Korea. The Plant Pathology Journal, 23(2), 37-44. 

  15. Lee, S. B., & Taylor, J. W. (1990). Isolation of DNA from fungal mycelia and single spore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eds. Innis, M. A., Gelfand, D. H., Sninsky, J. J., & White, T. J.), pp. 282-287. Academic Press, New York, USA. 

  16. Lee, S. C., Han, K. S., Cho, S. E., Park, J. H., & Shin, H. D. (2012). Occurrence of powdery mildew of Japanese plum caused by Podosphaera tridactyla in Korea. Research in Plant Disease, 18(1), 49-53. 

  17. Lee, S. W., Lee, D. H., Choi, K. H., & Kim, D. A. (2007). A report on current management of major apple pests based on census data from farmer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5(3), 196-203. 

  18. Perfect, S. H., Hughes, H. B., O'Connell, R. J., & Green J. R. (1999). Colletotrichum: A model genus for studies on pathology and fungal -plant interactions. Fungal Genetics and Biology, 27(2-3), 186-198. 

  19. Martinez-Culebras, P. V., Querol, A., Suarez-Fernandez, M. B., Garcia-Lopez, M. D., & Barrio, E. (2003).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Colletotrichum pathogens of strawberry and design of PCR primers for their identification. Journal of Phytopathology, 151(3), 135-143. 

  20. Ryu, Y. H., Lee, J. H., Kwon, T. Y., Kim, S. H., & Kim, D. G. (2012). Occurrence of bacterial black spot on Plum by Xanthomonas aboricola pv. pruni and it's pathogenicity on varieties of some stone fruits. Research in Plant Disease, 18(1), 40-44. 

  21. Sato, T., Moriwaki, J., & Misawa, T. (2013). Molecular re-identification of strains of the Colletotrichum acutatum species complex deposited in the NIAS Genebank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ts member species. Japan Agricultural Research, 47(3), 295-305. 

  22. Shi, Y., Correll, J. C., Guerber, J. C., & Rom, C. R. (1996). Frequency of Colletotrichum species causing bitter rot of apple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Plant Disease, 80(6), 692-696. 

  23. Sutton, B. C. (1980). The Coleomycetes, Fungi Imperfecti with Picnidia, Acervuli and stromata. p 696, Commonwealth Mycological Institute, Kew, Surrey, England. 

  24. Talhinhas, P., Sreenivasaprasad, S., Neves-Martins, J., & Oliveira, H. (2005). Molecular and phenotypic analyses reveal association of diverse Colletotrichum acutatum groups and a low level of C. gloeosporioides with olive anthracnose.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71(6), 2987-2998. 

  25. Weir, B. S., Johnston, P. R., & Damm, U. (2012). The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species complex. Studies in Mycology, 73(1), 115-180. 

  26. White, T. J., Bruns, T. D., Lee, S. & Taylor, J. W.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eds. Innis, M. A., Gelfand, D. H., Sninsky, J. J., & White, T. J.), pp. 315-322. Academic Press, New York,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