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ndsat-8 OLI/TIRS 위성영상의 지표온도와 식생지수를 이용한 토양의 수분 상태 관측 및 농업분야에의 응용 가능성 연구
A Study on the Observation of Soil Moisture Conditions and its Applied Possibility in Agriculture Using Land Surface Temperature and NDVI from Landsat-8 OLI/TIRS Satellite Image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3 no.6 pt.1, 2017년, pp.931 - 946  

채성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박숭환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토양의 수분 상태를 고해상으로 관측 및 분석하고 농업분야에의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Landsat-8 OLI(Operational Land Imager)/TIRS(Thermal Infrared Sensor)의 광학 및 열적외선 위성영상을 연구자료로 전라북도 농업지역을 포함(연구자료 내 46%)하는 2015, 2016, 및 2017년 5-6월에 촬영된 영상 세 장을 이용하였다. 연구지역의 각 영상 촬영일의 토양의 수분 상태는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3 가뭄지수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각 영상은 보통, 습윤, 및 건조한 토양 수분 조건을 갖는다. 이러한 각기 다른 토양수분 조건을 갖는 영상을 대상으로 토양의 수분 상태를 관측하고 SPI3 가뭄지수로부터 획득한 토양의 수분 상태와 비교/분석을 수행기 위하여, TVDI(Temperature Vegetation Dryness Index)를 계산하였다. TVDI는 Landsat-8 OLI/TIRS 위성영상으로부터 계산한 LST(Land Surface Temperature) 및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의 관계로부터 추정하여 계산된다. LST-NDVI의 형상 공간 내 픽셀의 분포에서 NDVI에 따른 LST의 최대/최소값을 추출하고 이를 대상으로 각각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통하여 NDVI에 따른 LST의 Dry/Wet edge를 결정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NDVI에 따른 두 edge 사이에서의 LST 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TVDI 값을 계산한다. TVDI 값으로부터 관측된 영상 내 상대적인 토양의 수분 상태를 매우 습윤, 습윤, 보통, 건조, 매우 건조의 5단계로 분류하여 SPI3로부터 획득한 각각의 토양수분 상태와 비교하였다. 연구자료 획득시기인 5-6월 시기의 특성상 모내기로 인하여 영상 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논 지역의 영향으로 영상 전체 중, 약 62% 이상이 습윤 및 매우 습윤한 상태로 분류되었다. 또한, 보통으로 분류되는 픽셀은 영상 내 밭 지역의 영향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영상 전체에 대해서는 대략적으로 SPI3의 토양수분 상태와 대응하였지만 매우 건조, 습윤, 및 매우 습윤에 해당하는 세분류 결과에서는 SPI3 토양수분 상태와 대응하지 않았다. 또한, 영상에서 논과 밭의 농업지역을 추출 및 분류한 후, SPI3 토양수분 상태와 비교하였을 때, 논 지역의 토양수분 상태 관측 분류 결과는 매우 건조, 보통 및 매우 습윤에서, 밭 지역은 보통의 분류에서만 SPI3 가뭄지수와 대응하지 않았다. 이는 매우 건조한 나지 및 매우 습윤한 모내기로 인한 논 지역, 수계, 구름 및 산지 지형효과 등의 이상치로 인하여 잘못된 Dry/Wet edge 추정의 문제로 사료되어진다. 그러나 5-6월 시기의 농업지역 중, 밭 지역에서는 세분류된 토양의 수분 상태를 효과적으로 관측할 수 있었다. 고해상 광학위성 기반 농업지역에 대한 토양수분 상태의 시 공간적 변화를 관측하여 농업지역의 농업생산량예측 등 그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and analyze soil moisture conditions with high resolution and to evaluate its application feasibility to agriculture. For this purpose, we used three Landsat-8 OLI (Operational Land Imager)/TIRS (Thermal Infrared Sensor) optical and thermal infrared satelli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낮은 시간해상도(16일)를 갖지만 높은 공간해상도를 갖는Landsat-8의 OLI/TIRS 위성영상(OLI의 다중분광 영상및 TIRS의 열적외선 영상 공간해상도 각각 30 m 및 100m)을 이용하여 TVDI 값을 계산하고 토양의 수분 상태관측 및 농업분야에의 그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계절이 유사한 서로 다른 시기및 토양의 수분 상태를 갖는 동일 지역 Landsat-8 OLI/TIRS 위성영상을 획득하였으며, 이로부터 LST 및 NDVI영상을 생성하고 이 두 영상 간 관계로부터 TVDI를 계산하여 분석함으로써 영상 내 상대적인 토양의 수분상태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논과 밭의 농업 지역에 대한 토양수분 상태를 관측하고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시기에 획득된 위성기반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하여 토양의 수분 상태를 관측하기 위한연구로써,토양수분산정의불확실성을극복하고토양수분 모니터링 및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이를 위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많이 활용되는 Terra/Aqua MODIS 영상 또는 NOAA-AVHRR 영상보다 높은 공간해상도를 갖는 Landsat-8 OLI/TIRS 위성영상을대상으로 보통, 습윤, 및 건조의 서로 다른 토양 수분 조건(SPI3 가뭄지수)을 갖는 2015, 2016, 및 2017년 5~6월의 전라북도 지역의 영상을 수급하여 이로부터 토양수분 상태를 분석하였다.
  •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토양수분을 관측하는 연구 범주를 위성센서 별로 나누면 1) 광학(Optical) 및 열적외선(Thermal Infrared)센서, 2) 수동 마이크로파(Passive microwave)센서, 3) 능동 마이크로파(Active microwave)센서, 및 4) 멀티센서의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Zhang and Zhou, 2016). 본 연구는 위성영상 중 광학 및 열적외선센서의 다중센서로부터 취득된 영상을 융합하여 영상 내 토양수분의 상태를 관측하는 연구로 이하 마이크로파 센서의 토양수분 관측 연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 본 연구에서는 Landsat-8 OLI/TIR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TVDI를 계산하여 지표면의 토양수분의 상태를 관측 및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 관측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많이 활용되는 Terra/AquaMODIS 영상 또는 NOAA-AVHRR 영상보다 높은 공간해상도를 갖는 Landsat-8 OLI/TIRS 위성영상을 연구자료로 하였다. Landsat-8 위성은 2013년 2월 11일 발사되었으며, OLI와 TIRS의 두개의 센서가 장착되어 VNIR(Visible and near-infrared) 및 TIR(Thirmal Infrared) 대역의 위성영상을 제공하며, 현재 운용 중에 있다.
  • 특히, 호남평야의 농업지역은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변화에 따라 가뭄 등으로 인하여 농업생산량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에 다양한 토지 피복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에서 높은 공간해상도를 갖는 위성영상 이용 토양의 수분 상태 관측및그 응용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전라북도를 연구지역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수분의 역할은? 토양수분은 수문·순환에 있어서 지표면과 대기층을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여 육상의 생태환경 및대기 프로세스를 평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이에 기후학, 수문학, 기후 변화 및 환경 모니터링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여 가장 중요한 토양 환경 변수 중 하나이다(Sellers and Schimel, 1993; Song et al., 2009; Gao et al.
토양의 수분상태를 관측 및 분석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2014). 토양수분이 변화하면 지표면과 대기사이의 질량 및 에너지이동에 변화가 발생하여 날씨 및 기후, 수자원, 홍수, 가뭄, 농업생산량, 토양침식 및 산사태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토양의 수분상태를 관측 및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토양의 수분 상태를 관측 및 평가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지점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토양 특성, 지형 및 식생지역 규모에 따라 현장관측을 수행할 대표지역 선정에 어려움이 있으며, 그 방법이 복잡하고 공간적으로 관측하기에 시간과 인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등의 현실적인 문제가 존재 한다 (Goward et al.
토양의 수분 상태를 관측하고 평가하는데 있어서 생기는 문제점과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연구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 2002).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토양수분을 관측하려는 연구와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indlish, R., T. J. Jackson, A. Gasiewski, B. Stankov, M. Klein, M. H. Cosh, I. Mladenova, C. Watts, E. Vivoni, V. Lakshmi, J. Bolten, and T. Keefer, 2008. Aircraft based soil moisture retrievals under mixed vegetation and topographic condition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2): 375-390. 

  2. Chen, J., C. Z. Wang, H. Jiang, L. X. Mao, and Z. R. Yu, 2011. Estimating soil moisture using Temperature-Vegetation Dryness Index (TVDI) in the Huanghuai-hai (HHH) plai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2(4): 1165-1177. 

  3. Chen, S., Z. Wen, H. Jiang, Q. Zhao, X. Zhang, and Y. Chen, 2015. Temperature vegetation dryness index estimation of soil moisture under different tree species, Sustainability, 7(9): 11401-11417. 

  4. Choi, S., S. Lee, and B. Wang, 2014. Analysis of vegetation cover fraction on landsat OLI using NDV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2(1): 9-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Gao, Z. Q., W. Gao, and N. B. Chang, 2011. Integrating temperature vegetation dryness index (TVDI) and regional water stress index (RWSI) for drought assessment with the aid of LANDSAT TM/ETM+ image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13(3): 495-503. 

  6. Gao, Z., X. Xu, J. Wang, H. Yang, W. Huang, and H. Feng, 2013. A method of estimating soil moisture based on the linear decomposition of mixture pixels, Mathematical and Computer Modelling, 58(3-4): 606-613. 

  7. Gao, S.G., Z .L. Zhu, S.M. Liu, R. Jin, G.C. Yang, and L. Tan, 2014.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based on Bayesian maximum entropy method with auxiliary data from remote sen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32: 54-66. 

  8. Ghulam, A., Q. Qin, and T. Teyip, 2007. Modified perpendicular drought index (MPDI): A realtime drought monitoring method,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62(2): 150-164. 

  9. Goetz, S. J., 1997. Multisensor analysis of NDVI, surface temperature and biophysical variables at a mixed grassland site,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8: 71-94. 

  10. Goward, S. N., Y. Xue, and K. P. Czajkowski, 2002. Evaluating land surface moisture conditions from the remotely sensed temperature/vegetation index measure: An exploration with the simplified biosphere model,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9(2-3): 225-242. 

  11. Han, Y., Y. Q. Wang, and Y. S. Zhao, 2010. Estimating Soil Moisture Conditions of the Greater Changbai Mountains by Land Surface Temperature and NDVI,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8(6): 2509-2515. 

  12. Heim, R.R, 2002. A review of twentieth-century drought indices used in the United Stat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3(8): 1149-1165. 

  13. Irons, J. R., J. L. Dwyer, and J. A. Barsi, 2012. The next Landsat satellite: The Landsat Data Continuity Miss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22: 11-21. 

  14. Jeollabuk-do, 2016. Geography and Climate of Jeonbuk, http://www.jeonbuk.go.kr, Accessed on Dec. 12, 2017. 

  15. Liu, W., F. Baret, X. Gu, B. Zhang, Q. Tong, and L. Zheng, 2003. Evaluation of methods for soil surface moisture estimation from reflectance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4(10): 2069-2083. 

  16. Lobell, D. B. and G. P. Asner, 2002. Moisture effects on soil reflectance,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66: 722-727. 

  17. Luquet, D., A. Vidal, J. Dauzat, A. Begue, A. Olioso, and P. Clouvel, 2004. Using directional TIR measurements and 3D simulations to assess the limitations and opportunities of water stress indic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0(1): 53-62. 

  18.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Proc. of the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neheim, CA, Jan. 17-22, pp. 179-184. 

  19. Moran, M. S., R. D. Jackson, P. N. Slater, and P. M. Teillet, 1992. Evaluation of simplified procedures for retrieval of land surface reflectance factors from satellite sensor outpu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41(2-3): 169-184. 

  20. Moran, M.S., T. R. Clarke, Y. Inoue, and A. Vidal, 1994. Estimating crop water deficit using the relation between surface-Air temperature and spectral vegetation index,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49(3): 246-263. 

  21. Patel, N.R., R. Anapashsha, S. Kumar, S. K. Saha, and V. K. Dadhwal, 2009. Assessing potential of MODIS derived temperature/vegetation condition index (TVDI) to infer soil moisture statu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0(1): 23-39. 

  22. Qin, J., K. Yang, N. Lu, Y. Chen, L. Zhao, and H. Han, 2013. Spatial upscaling of in-situ soil moisture measurements based on MODIS-derived apparent thermal inerti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38: 1-9. 

  23. Rahimzadeh-bajgiran, P., K. Omasa, and Y. Shimizu, 2012.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Vegetation Dryness Index (VDI), the Temperature Vegetation Dryness Index (TVDI) and the improved TVDI (iTVDI) for water stress detection in semi-arid regions of Iran,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68: 1-12. 

  24. Rouse, J. W., 1974. 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the Great Plains with ERTS, Proc. of Third Earth Resources Technology Satellite-1 Symposium, Greenbelt, MD: NASA. Goddart Space Flight Center, pp. 309-317. 

  25. Sandholt, I., K. Rasmussen, and J. Andersen, 2002. A simple interpretation of the surface temperature vegetation index space for assessment of surface moisture statu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9(2-3): 213-224. 

  26. Sellers P. J. and D. S. Schimel, 1993. Remote sensing of the land biosphere and biogeochemistry in the EOS era: Science priorities, methods and implementation, Global Planetary Change, 7(4): 279-297. 

  27. Stephen, S., 2010. Determining soil moisture and sediment availability at White Sands Dune Field, New Mexico, from apparent thermal inertia dat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5(F2): F0219(1-23). 

  28. Song K., X. Zhou, and Y. Fan, 2009. Empirically adopted IEM for retrieval of soil moisture from radar backscattering coefficient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7(6): 1662-1672. 

  29. Svoboda, M., M. Hayes, and D. Wood, 2012.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user guid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30. USGS, 2016. Landsat 8 (L8) Data Users Handbook Version 2.0, EROS, Sioux Falls, South Dakota, https://landsat.usgs.gov/landsat-8-l8-data-usershandbook, Accessed on Dec. 8, 2017. 

  31. Verstraeten, W. W., F. Veroustraete, C. J. van der Sande, I. Grootaersn, and J. Feyen, 2006. Soil moisture retrieval using thermal inertia, determined with visible and thermal space-borne data, validated for European fores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1(3): 299-314. 

  32. Wang, L. and J. J. Qu, 2007. NMDI: A normalized multi-band drought index for monitoring soil and vegetation moisture with satellite remote sensing,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20): L20405(1-5). 

  33. Whiting, M.L., L. Li, and S. L. Ustin, 2004. Predicting Water Content Using Gaussian Model on Soil Spectr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9(4): 535-552. 

  34. Xin, J. F., G. L. Tian, Q. H. Liu, and L. F. Chen, 2006. Combining vegetation index and remotely sensed temperature for estimation of soil moisture in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7(10): 2071-2075. 

  35. Yan, F., Z. Qin, and M. Li, 2006. Progress in soil moisture estimation from remote sensing data for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Proc. of SPIE Remote Sensing, Stockholm, Sweden, Oct. 3, vol.6366. 

  36. Younis, S. M. Z. and J. Iqbal, 2015. Estimation of soil moisture using multispectral and FTIR techniques, The Egyptian Journal of Remote Sensing and Space Science, 18(2): 151-161. 

  37. Zhang, C., S. Ni, and Z. Liu, 2006. Review on Methods of Monitoring Soil Moisture Based on Remote Sensing, Journal of Agricultural Engineering, 6, 58-61. 

  38. Zhang, D. and G. Zhou, 2016. Estimation of soil moisture from optical and thermal remote sensing: A review, Sensors, 16(8): E1308(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