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척 비화진 유역 산불피해지의 2003년도와 2014년도의 식생구조 비교
Comparison of Vegetation Structure Change between 2003 and 2014 in Forest Fire Damaged Area of Bihwajin Basin, Samcheok in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2, 2017년, pp.150 - 168  

송주현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임주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  권진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  윤충원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2000년도 동해안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삼척 비화진 유역을 대상으로 2003년도와 2014년도의 식물사회학적 식생유형분류, 층위별 중요치, 종다양도, 군락유사도 분석을 통해 임분 구조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32개소의 식생조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식생유형분류 결과, 7개의 식생단위에서 4개의 식생단위로 감소하였으며, 11개의 종군에서 7개의 종군으로 감소하였다. 중요치 분석 결과, 교목층에서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졸참나무(Q. serrata), 굴참나무(Q. variabilis)가 각각 6.8%, 5.2%, 2.9% 증가하였으며, 소나무(Pinus densiflora)가 각각 2.8%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으며 밤나무(Castanea crenata),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a), 살구나무(Prunus armeniaca var. ansu), 복자기(Acer triflorum), 모감주나무(Koelreuteria paniculata) 등 대부분의 조림 수종들의 중요치가 감소되었다. 종다양도의 경우, 교목층에서 0.252에서 0.287로 증가하였고, 아교목층에서 0.252에서 0.434로 증가하였고, 관목층에서 1.293에서 1.333으로 증가하였지만 초본층에서는 1.745에서 1.646으로 감소하였다. 군락유사도의 경우, 각 층위별로 0.78, 0.65, 0.72, 0.55로 나타나 초본층의 변화가 가장 심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이 조사지와 유사한 산불피해지의 생태계 진단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stand structure in Bihwajin basin Samcheok-si, Gangwon-do, Korea for ten years between 2003 and 2014, in which occurred the east coastal forest fire in 2000. Data were collected from 32 quadrates that followed by the analysis of vegetation classification accor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노곡리에 위치하고 있는 삼척 비화진 유역은 2000년도 동해안 산불피해지 중 한 곳이며, 산불이 난 후 2003년도 산불발생 3년 후의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4년도 10년이 경과한후 동일한 지역의 조사구를 재조사하여 10년간의 식생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삼척 산불피해지 비화진 유역에서 2003년도 식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2014년도 식생조사 자료와 비교분석하여 식물 사회적 방법(Ellenberg, 1965;Braun-Blanquet, 1964)에 따라 식생유형분류를 실시하여 변화된 식생 모습을 파악하여 소유역 단위의 산불피해지의 생태계 진단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의 목적을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란원인 중 산불의 특징은 무엇인가? 교란은 군집을 구성하고 있는 기존 식물의 우점도를 감소시키고, 새로 출현하는 식물에게 필요한 자원의 이용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군집 동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offmann, 1996). 산불은 자연 생태계의 주요한 교란요인 중 하나로 산림 내 존재하는 가연성 물질들을 연소시킴으로써 생물량의 급격한 감소와 군집구조의 변화를 일으키며(Diaz-Delgado et al., 2002), 목재원이나 산채류와 같은 산림자원의 손실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홍수, 토사유출 및 어장의 피해와 같은 산불 후에 발생하는 2차 재해를 유발하기도 한다(Marques and Mora, 1988). 최근에는 산불의 빈도와 규모가 크게 증가 하고 있다.
교란의 역할은 무엇인가? 교란은 군집을 구성하고 있는 기존 식물의 우점도를 감소시키고, 새로 출현하는 식물에게 필요한 자원의 이용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군집 동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offmann, 1996). 산불은 자연 생태계의 주요한 교란요인 중 하나로 산림 내 존재하는 가연성 물질들을 연소시킴으로써 생물량의 급격한 감소와 군집구조의 변화를 일으키며(Diaz-Delgado et al.
국내에서 산불이 발생한 이후 식생 및 생태계에 관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2008). 국내에서도 2000년도 동해안 산불 이전부터 산화 후 초기식생회복과 종 다양성에 관한 연구(Cho and Kim, 1991), 강원도 고성지역 산불이 소나무림 토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Mun and Chung, 1996) 등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2000년도 동해안 산불 이후에는 동해안 산불피해지 공동조사단이 설립되어 산불이 영향을 미치는 식생 및 곤충, 토양 등 전범위에 걸친 대대적인 조사가 이루어졌다. 산불 후 경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식생 구조의 발달에 관한 연구(Lee et al., 2004), 산불 유형별 식생회복정도에 따른 현존생물량 비교에 관한 연구(Lim et al., 2012) 등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고 산불피해지 생태계변화 모니터링 및 복구관리기술 개발(Lim et al., 2016)에 관한 식생을 비롯한 생태계 많은 분야의 산불 후 모니터링 방법과 관리기술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하지만 산불 후, 식생 및 생태계 변화에 관한 연구는 산불 직후의 변화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는 경향이 있고, 유역단위로 조사지를 선택하여 동일한 지점에서 산불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rton, A.M. 1994. Gradient Analyses of Relationships among Fire, Environment, and Vegetation in a Southwestern Desert Mountain Range. Bulletin of the Torrey Botanical Club 12: 251-265. 

  2. Barbour, M. G., Burk, J. H. and Pitts, W. D.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The Benjamin/Cummings Publ. Co., California. U.S.A. pp. 634. 

  3. Braun-Blau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3rd Ed.). Springer-Verlag. New York. pp. 865. (in German) 

  4. Brower, J.E. and Zar, J.H.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Iowa, U.S.A. pp. 596. 

  5. Buell, M. F.?A. N. Langford?D. W. Davidson and L. F. Ohmann. 1966. The upland forest continuum in northern New Jersey. Ecology 47(3): 416-432. 

  6. Byeon, S.Y. and Yun, C.W. 2016. Stand structure of actual vegetation in the natural forests and plantation area of Mt. Jangunbong, Bonghwa-Gu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0(6): 1032-1046. 

  7. Chandler, C., Cheney, P., Thomas, P., Traubaud, L. and Williams, D. 1983. Fire in Forestry. Vol. I. Forest Fire Behaviour and Effects. John Wiley & Sons, New York, U.S.A. pp. 450. 

  8. Cho, Y.H. and Kim W. 1991. Early vegetational recovery and species diversity of pine forest after fire in Mt. Todok.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4(1): 15-23. 

  9. Choung, Y.B., Lee, C., Cho, J.H., Lee, K.S., Jang, I.S., Kim, S.H., Hong, S.K., Jung, H.C. and Choung, H.L. 2004. Forest responses to the large-scale east coast fires in Korea. Ecological Research 19: 43-54. 

  10.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 476-496. 

  11. Diaz-Delgado, R. Lloret, F., Pons, X. and Terradas, F. 2002. Satellite evidence of decreasing resilience in Mediterranean plant communities after recurrent wildfires. Journal of Ecology 83: 2293-2303. 

  12. Ellenberg, H. 1956.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E. Ulmer. Stuttgart. pp. 136. (in German) 

  13. Hill, M.O. 1979. TWINSPAN-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New York, U.S.A. pp. 50. 

  14. Hoffmann, W.A. 1996. The effects of fire and cover on seedling establishment in a neotropical savana. Journal of Ecology 84: 383-393. 

  15. Hong, S.C., Byen, S.H. and Kim, S.S. 1987. Colored Illustrations of Trees and Shrubs in Korea. Gyemyengsa. Korea. pp. 310. 

  16. Jeon, S.W., Song, W.K., Lee, M.J. and Kang, B.J. 2010.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ECVAM) by complement of the vegetation community stability item.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3(2): 114-123. 

  17. Jueon, S.Y., Cho, Y.C., Byun, B.K., Kim, H.J., Bae, K.H., Kim, H.S. and Kim, J.S. 2015. Initial responses of vegetation regeneration after strip clear cutting in secondary Korean red pine(Pinus densiflora) forest in Samcheok, Gangwon-do,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5): 785-790. 

  18. Jung, Y.S et al. 2002. Studies on the Ecosystem Restoration and the Polices in the East Coast Fire Region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pp. 244. 

  19. Korean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10.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http://www.kigam.re.kr 

  2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a. Korea Plant Names Index Committee. http://www.nature.go.kr/ 

  21.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b.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http://www.nature.go.kr/ 

  22. Lee, K.S, Chung, Y.S., Kim, S.C., Shin, S.S., Ro, C.H. and Park, S.D. 20004. Development of vegetation structure after forest fire in the east coastal regio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7(2): 99-106. 

  23. Lee, K.S and Park, S.D. 2005. Relationship between the above ground vegetation structure and fine roots of the topsoil in the burnt forest area,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8(3): 149-156. 

  24.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Korea. pp. 999. 

  25. Lee, W.T. and Yim, Y.J. 2002. The Phyto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412. 

  26. Lee, Y.T. 2007. Vegetation Regeneration for Ten Years following Goseong Forest Fire. Master Thesis in Kangwon University. pp. 58. 

  27.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6. Ecosystem Changes Monitoring and Development of Restoration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ea. pp. 201. 

  28. Lim, S.H., Kim, J.S., Shin, J.H., Bang, J.Y. and Yang, K.C. 2012. Comparison of biomass by forest fire type and recovery at Samcheuk-si, Gangwon-do,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4): 528-536. 

  29. Marques M.A. and Mora, E. 1998. Effects on erosion of two post-fire management practices: clear-cutting versus non-intervention. Soil and Tillage Research 45: 433-439. 

  30. Mun, H.T. and Chung, H.S. 1996. Effect of forest fire on soil nutrients in pine forests in Kosong, Kangwon province.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9(5): 375-383. 

  31. Nakagoshi, N., Nehira, K., Takahashi, F. 1987. The Role of Fire in Pine Forests of Japan(In The Role of Fire in Ecological Systems). SPB Academic Publishing, The Hague. pp. 119. 

  32. Oliver, C. D., Larson, B. C. 1990. Forest Stand Dynamics. McGraw-Hill, Inc, U.S.A. pp. 467. 

  33. Park, E.H., Kim, J.G., Lee, J.H., Cho, H.S. and Min, J.K. 2004. Vegetation of Liana dominating in the vicinity of Onsan industrial complex.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7(6): 335-345. 

  34. Shim, K.K., Ahn, Y.h. and Yoo, M.S. 1985. Studies on photosynthesis of perennial vines(Actinidia arguta, Celastrus orbiculatus, Lonicera japonica, Lonicera japonica var aureoreticulata, Lonicera semperviren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26(1): 44-50. 

  35. Shin, J.H. and Kim, C.M. 1996. Ecosystem classification in Korea(I): Ecoprovince classification. FRI Journal of Forest. Science 54: 188-199. 

  36. Song, J.H. 2016.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Changed between 2003 and 2014 in Forest Fire Damaged Area of Samcheok in Korea. Master Thesis in Kongju University. pp. 84. 

  37. Walter, H., Harnickell, E. and Muller-Dombois, D. 1975. Climate-Diagram Maps of the Individual Continents and the Ecological Climatic Regions of the Earth. Springer-Verlag. Berlin. pp. 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